View : 2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혜-
dc.contributor.author유연자-
dc.creator유연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6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682-
dc.description.abstractBirth, as a natural process of life, is one of the most mysterious and wondrous of human experiences. But the discomfort of episiotomy, done frequently at the time of delivery, is a major problem for women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ccording to Neuman, purposeful nursing interventions are directed atthe reduction of stress factors that affect the optimal funtioning of the individual. Therefore, for nurses working with postpartum women, the planning and practice of mor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to reduce this discomfort is a challeng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ld and warm sitz baths on the relief of perineal discomfort, Sixty women who had a vaginal delivery accompanied by episiotomy at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city, agreed to be the convenience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10, 1990. The same treatment, either cold or warm sitz baths, was given to woman at two six-hour intervals. Perineal discomfort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and after one half, two, four, and six hours, and perineal edema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and after two/ four, and six hours. As research tools, a zero to one hundred(0 to 100) numerical scale was used to estimate perineal discomfort, and the REEDA scale, developed in1970 by Davidson and adapted by Carey and Bolles, was used to estimate perineal edem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x_(2)-test, ANOVA, and ANCOVA by an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perineal disconfort after cold sitz baths will be less than after warm sitz baths, was statistically supported only for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each treatment(F=14.545 P=0.000, F=6.598 P=0.013).It can be said that cold sitz baths provide immediate relief of discomfort compaired with warm sitz baths. 2. The hypothesis that perineal discomfort will be less after each treatment than it was before the treatment with either cold or warm sitz baths was supported(P〈0.01). It can be said that both cold and warm sitz baths are effective for the relief of Perineal discomfor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iscomfort and edema and, no difference in edema according to the treatment, whether by cold or warm sitz baths. Of the 30 women receiving cold sitz baths, 23 evaluated them positively and said they would recommend them to other women. The results suggest that either method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preference of the woman although warm sitz baths have been the usual practice for postpartum perineal care until now. Either method contributes to relief of discomfort which reduces the stress response and enhances the reconstitution of the normal lines of defence and the lines of resistance, thus helping to strengthen the adaptation mechanism. Therefore, nurses, while facing the realities of clinical circumstances, should develop nursing skills to promote patient comfort based on verification by research.;분만이란 생의 자연적인 과정의 일부로서, 인간이 경험하는 여러 사건중 가장 신비롭고 경이로운 사건의 하나이다. 그러나 분만시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회음 절개술후 불편감은 산모가 겪게되는 건강 문제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경험하는 산모와 함께 지내는 간호사로서는 이러한 불편감을 경감시키기 위해 Betty Neuman의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한 후 조기이상의 발견과 조기 증상완화에 관여하는 2차 예방 단계의 간호중재를 계획·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회음부 불편감을 완화시켜 주기위한 방법으로서 냉자욕과 온좌욕을 실시하여, 두 방법간의 회음부 불편감 완화정포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 U ’ 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 분만실에서 회음 절개술을 동반하여 질식분만 ( Vaginal delivery )한 산모 60 명을 대상으로 냉좌욕군과 온좌욕군으로 나누어 1990년 9월 23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험처치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처치 실시는 각 대상자에게 같은 처치를 6시간 간격으로 반복 시행하였으며, 두군간의 처치후 시간 경과에 따른 회음부 불편감 정도와 부종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회음부 불편갛을 측정하기 위해 0 - 100 숫자척도를 이용하였으며, 회음부 부종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1970년 Davidson이 개발하여 Carey와 Bolles에 의해 수정된 REEDA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에 의해 백분율·평균·표준편차·x^(2)-test·paired t-test·ANOVA·ANCOVA로 분석하였으며 ,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냉좌욕군이 온좌욕군에 비해 회음부 불편감이 적을 것이라는 가설은 각 처치직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 F= 14.545 P=0.000,F = 6.598 P = 0.013 ) 냉좌욕이 온좌욕에 비해 처치직후의 편감완화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즉각적인 불편감 완화를 위해서는 냉좌욕이 온좌욕에 비해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2. 냉좌욕군과 온좌욕군은 처치전과 처치후 시간경과에 따라 회음부 불편감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처치전에 비해 6시간후까지 계속해서 유의한 차를 나타내어 ( P〈 0.01 ), 회음부 불편감 완화에는 냉좌욕·온좌욕 모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수있다. 그리고 회음부 부종정도에 따른 회음부 불편감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며 ( P 〉 0.05 ), 냉좌욕군과 온좌욕군간의 회음부부종 완화정도도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 〉 0.05 ). 그리고 냉좌욕 실시후 냉좌욕에 대한 선호도는 대상자 30 명중 23명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것은 현재까지 산후 회음부 간호로 주로 온요법만 실시하던 것을 대상자의 상황이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Neuman의 건강관리체계 모형의 2차예방단계의 간호중재를 적용하여, 스트레스 반응인 불편감을 감소시키므로서 정상 방어선이나 저항선의 재구성이 빨리되고 강화된 적응기전을 갖도록 대상자의 현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대상자가 보다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증간호법을 개발하고 이를 연구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6 Ⅱ. 문헌고찰 = 7 A. 회음 절개술 및 회음부 불편감 = 7 1. 회음절개술의 역사적 고찰 및 산과적 의의 = 7 2. 회음부 불편감 = 8 B. 회음부 불편감 완화를 위한 간호 = 10 1. 냉요법 = 12 2. 온요법 = 14 3. 냉요법과 온요법의 선행 연구 = 15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 설계 = 17 B. 연구 대상 및 기간 = 18 c. 연구 도구 = 18 D. 연구 진행 절차 = 22 E.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24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25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 25 B. 가설 검정 = 27 C. 산과적 특성에 따른 회음부 불편감 = 32 Ⅴ. 결론 및 제언 = 38 A. 결론 = 38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51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49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냉좌욕과 온좌욕에 따른 산후 회음부 불편감 완화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IEF OF POSTPARTUM PERINEAL DISCOMFORT THROUGH COLD AND WARM SITZ BATHS-
dc.format.pageviii,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