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黃秉冀-
dc.contributor.author李明惠-
dc.creator李明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3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730-
dc.description.abstract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은 世宗 때 會禮樂舞로 創製된 保太平·定大業을 祭禮樂으로 使用하기에는 歌詞와 音樂이 너무 길기 때문에 수정, 改作한 것이다. 이리하여 世祖 때 定廟祭禮樂으로 採擇된 保太平·定大業은 그 後 약 500年 동안 繼承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리듬만 바뀌었을 뿐 旋律은 거의 그대로 유지되어 現行 保太平·定大業의 原型인 것이다. 이러한 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의 音樂을 깊이 把握하고 硏究하기 爲하여 이 音樂이 갖는 音樂的인 特性, 卽 旋律과 杖鼓 長短의 구조에 중점을 두어 硏究하였다. 參考資料로는 世宗實錄卷138과 世祖實錄 卷48에 收錄 되어진 樂譜를 使用하였다. 필자는 이 두 樂譜를 比較, 分析하는데 便利하게 하기 위하여 世宗實錄 保太平은 林을 C로, 定大業은 南을 C로 移調하였으며, 世祖實錄 保太平과 定大業은 그대로 宮을 C로 하여 오선보로 譯譜하였다. 먼저 Ⅱ章에서는 이 曲들의 音樂的 分析을 하기에 앞서 世宗實錄 保太平·定大業을 改正하여 만든 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 音樂的인 意義를 논술하였다. 改正된 事實들中 特技할만한 것은 記譜法의 改正인 것이다. 世宗實錄 保太平·定大業은 1行 32井間의 律字譜로 되어 있는데 比하여 世祖實錄의 것에서는 이를 1行 16井間으로 改正하므로써 리듬의 表示를 더욱 分明히 하였고, 五音略譜를 使用하여 演奏하기에 便利하게끔 하였다. 이러한 事實들을 토대로 하여 이 記譜法의 창안된 동기와 合理性을 찾아 보았다. 또한 旋律의 改正에 있어서, 世宗 保太平의 林鍾宮과 世宗 定大業의 南呂宮을 世祖 保太平·定大業에서는 모두 黃鍾宮으로 移調시키므로써 음역을 확대시켰다. 世宗 保太平과 定大業에 있어서 旋律 進行相 비슷한 旋律이 자꾸 反復되는 部分이나 고음역을 많이 使用한 部分을 省略하여 길이를 단축시키므로써 생겨진 世祖 保太平·定大業의 旋律의 性格을 把握해 보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硏究는 本 論文 Ⅲ章에서 樂譜와 함께 說明을 하여 다루었다. Ⅲ章에서는 Ⅱ章에서 밝힌 事實들 中 特히 音樂的인 面에 重点을 두었다 먼저 保太平의 11曲의 各曲을 音의 進行關係와 음역 등 旋律構造에 對하여 分析을 하였다. 杖鼓長短이 어떤 유형으로 어떤 주기를 갖고 있는 지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그리하여 保太平 11曲의 各曲을 旋律構造, 杖鼓長短, 世宗實錄과 다른점으로 區分하여 各曲의 特徵을 논술하였다 保太平 11曲의 分析 結果 얻어진 各曲들의 공통점과 全體的인 짜임새를 綜合하여 다루었다. 그 다음, 定大業에 있어서도 그 11曲을 保太平과 같은 方法으로 分析, 考察하였다. 이러한 硏究 結果 保太平과 定大業 各穀들 간에 어떤 相互關係가 있는지에 대하여도 살펴 보았다. 이와같이 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의 音樂을 分析·考察해 본 結果 이 音樂은 世宗實錄 保太平·定大業을 개작하므로써 音樂的으로 더욱 짜임새 있고 세련화 됐으며 保太平·定大業 全曲에 있어서 規模있는 안정감과 統一性을 갖추고 있음을 發見할 수 있다. 그러므로 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은 이렇게 탁월한 기법의 旋律構造를 이루고 있어서 現在에 이르기까지 그 旋律이 그대로 유지되어 내려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Potaepyong and Chungdaeup found in the Chronicles of Sejong, were at first used for court function, since their words and music were too long to use for the Royal Ancestral Shrine ceremony music. Later, in the Chronicles of Sejo, they were altered; King Sejo decided Potaepyong and Chungdaeup should be us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ceremony music and they have been performed for over 500 years without changing the melodies. Unlike other Korean music, the present melodies of Potaepyong and Chungdaeup are almost the same in the melodies as they were in the Chronicles of Sejo. To better understand Potaepyong and Chungdaeup in the Chronicles of Sejo. I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the melodic structure and the change rhythm. I used the musical notation found in vol.138 of the Chronicles of Sejong and in vol.48 of the Chronicles of Sejo for reference materials. To compare and analyze these two musics more easily, in the Sejong Chronicle I transposed Nam to C for Potaepyong and Im to C for Chungdaeup. In the Sejo Chronicles I noted Koong as C for both musics and arranged them in western notation. In Chapter Ⅱ, before analyzing this music, I stated the revised meaning of the music of Sejo. The Chronicles of Sejong were written in Chungyanbo with 32 squares to a column and Chinese note names. In the Chronicles of Sejo, the columns of 32 squares were devided in half, making l6-square columns 6 kangs; this clarified the notation of the rhythm, the Chinese note names were replaced by 0 Um Yakpo, making it easier to perform. Based upon these things, I research the motive of making this notation and it's rationality. In revising the melodies in the Chronicles of Sejo, Im Chong Koong (the key note of Sejong Potaepyung) and Nam Ryu Koong (the key note of Sejong Chungdaeup) were transposed to Hwang, thereby making their intervals larger. In chapter Ⅲ I emphasized musical analysis. First, I analyzed the relations of the notes and their range in the 11 pieces of Potaepyong. I researched the rhythmic pattern and it's cycle in the change rhythm. So, for each of the 11 pieces of Potaepyong, I classified the melodic structure, the change rhythm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Chronicles of Sejong and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In concluding the analysis of the Ⅱ pieces of Potaepyong,I pointed out what the pieces and the whole structure had in common. Next, in Chungdaeup I analyzed the 11 pieces by the same method as Potaepyong. I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taepyong and Chungdaeup. After this, I found the refinement, the unity and the superior techniques in melodic structure in the music of Potaepyong and Chungdaeup in the Chronicles of Sejo. So, these melodies are still performed tod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Ⅰ. 序論 = 1 Ⅱ. 世祖時代에 定大衆과 保太平이 改正된 音樂的 意義 = 3 A. 記譜法의 改正 = 3 B. 旋律의 改正 = 6 C. 樂器編成法의 確立 = 7 Ⅲ. 世祖實錄 保太平 定大業의 音樂的 特性 = 11 A. 硏究 方法 = 11 B. 保太平의 分析 = 13 C. 定大業의 分析 = 35 結論 = 52 參考文獻 = 54 ABSTRACT = 55 附錄樂譜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38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c.title世祖實錄 保太平?定大業의 音樂的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악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