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時間構造와 空間構造에 나타난 事象性 硏究

Title
時間構造와 空間構造에 나타난 事象性 硏究
Authors
韓惠善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御寧
Abstract
人間이 自己를 포함하는 外界를 認識하는 데에는 對象이 事件과 연결됨으로써만 可能하다. 事實存在論(fact-ontology) 을 주장하는 Russell, Wittgenstein 또는 Ayer 들을 詳論하지 않아도 우리는 序頭의 말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事物은 事件속에서만 우리에게 意味있는 것이 된다면 인간의 認識에 있어 時間과 空間 槪念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 된다. 왜냐면 事物은 必然的으로 時·空間性을 띠어야만 하며 事件 역시 時間과 空間의 次元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 작가의 作家意識 또는 世界觀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는 그 作家가 作品에서 어떤 時·空觀을 보여 주는가를 파악함으로써 쉽게 이룰수 있는 것이다. 文學에 있어 時間과 空間은 인간을 不自由하게 하는 源初的인 規制者이다. 그러므로 原始시대부터 人間은 祭儀와 神話를 通해서 拘束的인 日常의 存在에서 脫出하려는 意志를 길러 왔다. 神話는 太初에 발생했던 일을 우리에게 說明하여 주는 것으로 神聖한 時間의 순간 즉 최초의 非時間的 時間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神話를 口述하고 듣는 單純한 행위는 象徵的으로 風俗한 時間과 空間을 폐지하는 것이다. 日常的 人間은 神話속에서 歷史的 狀況을 잊어버리고 神聖한 偉大한 時間 즉 永遠한 흐르지 않는 그리고 拘束되지 않는 自由의 空間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文學의 가장 源形的인 形態인 神話의 意志는 現代人의 마음속에 하나의 遺傳因子처럼 이어 내려오고 있다. 많은 硏究家들이 한국에 있어 最初의 現代的 作家임을 否定하고 있지 않는 李箱의 두 소설 〈□?會豕〉〈失花〉 를 新批評主義와 構造主義의 方法論을 적용하여 李箱의 時間과 空間意識을 살펴 보려 한다. 먼저 두 소설의 構成 (plot) 을 時間構成과 空間構成으로 나누어 分析하여 綜合하였을 때 우리는 〈意識의 흐름〉 의 技法을 사용하여 李箱은 과거의 傳統的인 時·空間으로, 人間은 그 안에 운명지워진 存在로 파악된 時·空間 意識에 대하여 저항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內容의 分析을 위하여 두 소설의 時間的 Image 와 空間的 Image 를 考察해 볼 때 李箱의 時間과 空間의 暴力에 대한 反抗은 즉 그것들로 부터 벗어나려는 意志의 强熱함을 알 수 있게 된다. 李箱의 두 소설의 形態論的 考察인 構成의 分析과 內容의 연구인 Image의 分析을 綜合하여 볼 때 즉 두 作品의 構造 - 時間構造와 空間構造 - 의 事象性을 解釋해 보는 것은 李箱의 時·空間에 對한 思考를 全體的으로 照明해 보는 것이 된다. 〈□?會豕〉 와 〈失花〉는 構造에 있어 거의 同一한 모습을 보여준다. 두 소설 다 事件들의 연결은 過去, 現在, 未來의 區分을 뛰어 넘어서 現在로써 存在하는 樣態를 지니며 모든 意識의 時間은 한 時點으로부터 出發하여 퍼져가며 다시 그 時點으로 되돌아 오는 것이다. 이 時間은 〈□?會豕〉 에서는 오후 네시이며 〈失花〉 에서는 十二月 二十三日 저녁이다. 이 두 時點은 그가 영위한 삶과 그리고 영위될 삶을 한꺼번에 投影해 보여주는 순간으로써 李箱이 李箱 自身의 存在가 되는, 實存을 얻는, 永遠한 現在의 時間인 것이다. 그리고 空間에 있어서도 〈□?會豕〉 와 〈失花〉의 房은 앞에서 말한 午後 네시와 十二月 二十三日 저녁과 같은 意味를 가지는 場所인 것이다. 이 空間에 두 다리를 내리고 서 있을 때 李箱은 그 時間과 그 地點에 조건되어 지는 人間으로서가 아니라 地域性을 뛰어 넘는 自由로운 存在가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어떠한 空間으로 飛翔할 수 있는 것이다. 結論的으로 말하여 李箱의 소설을 그 Text에 의하여 充實히 分析해 볼 때 그의 作家意識은 時·空에서 超越하여 영원히 살기 위하여 反抗한 저항의 의식이 根本이 있음을 밝혀 낼 수 있는 것이다. 一般人들이 사랑 또는 죽음에 의하여 自由를 追求하다가 坐折함에 그는 이 세상에서의 삶을 누리면서도 意識의 自由로써 永遠性과 非制約性을 얻을 수 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에 있어 作品의 創作은 변형된 神話를 口述하는 行爲 바로 그것이다 하겠다.;We can understand the world that contains our being too, only when the things are related with the event. This is standed by Russel. wiettgenstein and Ayer who are the philosophers of Logical positivism. This fact-ontology may be very easily accepted. For the things can be existed in the categories of time and space, and the event happens always in dimention of time and space too. So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is very important to our perception. We must analyse the writer's view of time and space in his work so that we grosp the philosophy of the write on his view of the world. Time and space in literature is the origianl controler that makes man redtricted. Man has, thuefor raised the will of escape from the restricted common life through the ritual and the myths since the primitive days. The myth tells us the event of the Beginning the sacred time, the first non-temporal time. The true story, myth can thus make man transcend his historically conditioned situation and enter the eternity and freedom. The will of the myth, original form of literature has inherited in our mind as a gene. Most scholars has said Lee sang is one of the first modernwriters. We study now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of Lee Sang from the two novels. Chichuhoesi and silhwa. The method of studys is come from the New criticism and the Structuralism. First we study the plots of time and space of the two novels, and we get the conclusion that the particularity of the plots are the technique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Lee Sang resist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we analyse the time and space images of the novels for study of the contents. Thus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his Novels- the penomenon of the time and space structure and then we know the thought of Lee Sang wholly. Chichhoesi and Silhwa have the almost same structure. We see their novels relation of events transcend the divis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all time are existed always now and they make a ciclicview of time. In chichihoesi this time is 5 PM and in Silhwa the night of twenty therd in December. These two point of time is the period which projects his past, present and future life at a stretch. This time when he becomes himself and get his existence is evelasting present to him The room of Chichhesi and Silhwa is the same space that he can transcend the regionally and be a being free from. So when he roots his feet on that space point he can flies everywhere. When we analyse Lee Sang's novels by close-reading text, we know his spirit of writing is the concept of resistence to the control of time on space, and the hope of eternal life. The ordinary man is discouraged to get freedom by love and death. But he shows us that we live in this world and can get the eternity and freedom by free will. So for him the creation of the work is just same as the primitive man's nanating the transformed my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