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洪那英-
dc.contributor.author김정미-
dc.creator김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3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to research how the gold was applied in the fabric and to quote some examples of the gold used in the fabric from the documents made in Chosun(朝鮮) Dynasty. The "gold applied to the fabric" is defined as the fabricated or regular gold attached on to the fabric. This thesis uses the chronicle approach to study the gold attached fabrics as well as the methodology of applying gold. The main focus will be on the Chosun Dynasty. From the Era of Three Kingdoms to Chosun Dynasty, the gold has decorated fabrics both in Korea and in China as follows: The documents testified that gold was used for fabric prior to the Era of Three Kingdoms, when the gold was used to identify the users with their social classes. Aristocrats apparently wear more gold than other classes. During the Unified Shilla(統一新羅) Dynasty, the printing and dyeing 'made vibrant development, inspired by the non-Korean technologies. Gold in fabric underwent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ies at that time. The dress codes regulated the golden ornament, indicating that gold was for the ruling class. Fabric with gold or golden decoration was one of the main items for the international items. The brisk international trade brought with it the techniques in use and the styles in fashions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Koryo Dynasty, the factories and mills were more industrialized. The international trade expanded into Keoran(거란) and Yeojin(女眞) from China and the fabric with golden ornament was one of the major items. The fabric with gold and golden print had more applications than the formal dress for aristocrats and silk. The military uniform and wool also came with golden decoration. In Chosun Dynasty, the Confucianism dominated the society including the fabric industry and the application of gold was restricted. In China, gold started to be used in fabric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and they weaved the fabric using the golden or silk thread and put on the golden printing on the fabric. In Song(宋) Dynasty, they adopted the gold-thread artworking technology from the Uighurs(위그르인). Later during the age of Won(元) Dynasty the country absorbed the Mongolian nomadic, Mid-eastern culture based on the hosting Chinese culture. This open-door policy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using gold in the fabric. The Mongolians set up the 'Nabseokshilguk(納石失局)' and took the weaving and the printing the golden fabric under the full government control. The golden fabric was widely used in the age of Won Dynasty. A good example will be the military pavilion made of the golden fabric. The Ming(明) Dynasty exported fabrics to neighboring countries, giving a boost to the industry. The period was flourished with the fabric inserted of golden or silver thread and fabric woven by them. The tradition passed down to Ching(淸) Dynasty that later accepted the technology from the West. The technique of weaving the golden threat advanced, leading up to the development of variety of fabric. Gold used for fabric took many different forms and it can be categorized into weaving with gold thread; printing with gold powder or the gold foil; embroidery with gold thread. The weaving with the gold thread can be broken down to Jik-geum(織金), Geum-ran(금란), Go-geum(庫金), Pyun ji-geum(遍地金), Nap-seok-shil(納石失), Geum-seon-geum(金 錦), Jak-geum-ni(雀金泥), Hae-geum(解金) and Jang-geum jik-mul(장금직물). Jik-geum, Geum-ran and Go-geum refer to the silk weaving with gold thread forming a pattern. Jik-geum was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Geum-ran was used in Japan and Korea, while Go-geum was mainly used in China. Pyun-ji-geum refers to fabric woven with gold thread, with the color thread added for a pattern. Nap-seok-shil was the fabric made during the age of Won Dynasty in China. Geum-sun-geum came from Persia; Jak-geum-ni has the interlocking the feather of peacocks and gold thread. Two types of fabric became unique to China. The methodologies of putting gold on the fabric are Geum-ni(金泥), So-geum(銷金), Geum-bak(金箔), Sal-geum(撒金), Cheop-geum(貼金), Myung-geum(明金), Reong-geum(楞金), Bang-geum(榜金), Geum-ni-bong(金泥縫), Pyun-geum-yun(片金緣) and Ran-geum(蘭金). Geum-ni is the painting with the gold powder. Bang-geum, Geum-bak, Sal-geum and Cheop-geum uses adhesive to put gold powder or the print on the fabric. Geum-ni-bong, Pyun-geum-yun and Ran-geum are the ways to line the fabric with the gold decoration. Chosun Dynasty had the history of using gold in the fabric, which was recorded through the written documents. In the 'Chosun Dynasty Chronology(朝鮮王朝實錄)', Jik-geum, Geum-ran, Geum-dan, Geum-bak and So-geum were recorded as the methodology of using gold in the fabric. Fabric with gold was made a gift to China or to Japan as a way of diplomatic good will. The gifts were mainly bound for China, however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世宗), they sent out fabric with gold to Japan. Jik-geum was the most notable fabric in the Chronology, leaving the scholars guessing that the fabric was the most valuable of the trade items. The Jik-geum and So-geum were used for the trading with Ming Dynasty and the Geum-ran was sent to Japan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The Geum-ran was originally from China and passed on to Japan where gold thread was woven into the fabric. The international trade was most vibrant during the King Sejong. The trade with Japan was also conducted during that time. The growing infra-country trading volume and the availability of goods for trade facilitated the international trading,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fabric with gold. After that period, the fabric with gold was less to be found from the official document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re was only one note after the King Hyojong. The transition of dynasties and the unfair trading practice of Japanese merchants caused the gradual demise of the national trading. The fabrics found in 'Balgi(發記)' are Jik-geum, Bu-geum, Geum-bak, Ni-geum, geum-dan, Geum-seon and Geum-seon-dan. Bu-geum was most frequently found word and mostly widely used as well. The time when Balgi was invented - the late Chosun Dynasty gave an idea that the Bu-geum was more frequently used word for the gold printing, instead of Geum-bak. The golden ornament represents the social class; court ladies had Bu-geum in their Bal-gi and the kings had Jik-geum in their Bal-gi. The existing theory goes that the court ladies were not allowed to have Geum-bak except in the Dae-dae(大帶) and few other accessories. The old pictures of court ladies wearing Won-sam(圓衫) and Seu-ran(스란) ornate with Bu-geum overturned the theory, reasserting the occasion determined whether they could wear the gold decoration. To sum up, the methodologies of using gold in the fabric are roughly categorized into Jik-geum, Geum-bak and Geum-su. The first record of gold in fabric rolled back to ages before the Era of Three Nations, however the oldest relic is the surplice made in the Unified Shilla Dynasty. The heritage of gold passed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use has become more diversified. This thesis will shed a light on the gold in fabric that has rarely be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fabric. The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defines the terminology on the fabric with gold in China and Japan as well as Korea. It was a also research on the goldthread weaving and gold printing during the Chosun Dynasty that went the great length to record all the records of the gold used for fabric.;본 논문은 직물에 金이 이용된 방법을 정리하고, 조선시대의 문헌에 나타난 그 사용 예를 통하여 직물에 金이 사용된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金이 직물에 사용된 방법'이란 織金이나 金을 직물 위에 부가시킨 것을 경우를 가리킨다. 본 논문에서는 金이 사용된 직물을 시대별로 고찰하고 金이 직물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의 문헌을 통하여 그 쓰임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기간에 한국과 중국에서 직물에 金이 사용된 것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직물에 金이 사용된 기록은 삼국시대 문헌에서 볼 수 있으며, 이 시기에 이르면 金이 사용된 직물은 지배계급의 성격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이용되면서 그 예가 상류층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후 신라시대에는 여러 국가와의 교역을 통해 염직 기술의 발전을 이루어, 직물에 金을 장식하는 기술도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복식금제에 金장식물이 포함된 것으로 미루어보면 金을 사용한 직물은 지배계급의 전유물이 되었으리라 추정되며, 織金이나 金장식이 된 직물은 국가 간의 교역 수단으로 이용되어 주변국의 영향을 받게 된다. 고려시대에는 직조기관과 공장들이 조직화되고, 중국 이외의 거란, 여진 등의 주변국과의 교역이 활발히 이루어져 국제 교류에서 金으로 장식된 직물이 많이 보여진다. 또한 織金이나 金箔織物이 귀족계급의 의복이나 견직물 이외에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군복이나 모직물에도 이용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이 강화되고 복식에 대한 엄격한 禁制로 직물산업이 제약을 받아, 金을 직물에 이용하는 방법 역시 간소화된다. 조선시대 문헌을 통해 金이 사용된 직물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직물에 사용된 金의 유형은 織金, 금란, 金段, 金箔, 銷金 등이 있다. 이러한 金이 이용된 직물이 사용된 목적은 거의 모두가 외교적 성격을 띤 하사품 또는 상납품으로 주요 대상국은 중국이며 세종대에는 일본과의 교역도 볼 수 있다. 직물에 金이 사용된 여러 가지 형태 중에서 實錄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織金인데, 이를 통해 볼 때 織金이 무역품으로 가치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織金과 銷金은 明과의 관계에서, 금란은 세종대에 일본과의 교역 속에서 보여지고 있다. 이중 금란은 중국의 金織物이 일본으로 건너가 金絲로 직물을 제직하면서 생겨난 용어라 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世宗代에 교역이 가장 많이 일어났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일본과의 교역도 나타난다. 이것은 이 시기에 국가 상업이 발전하고 무역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무역량이 늘고 이에 따라 金이 사용된 직물의 교류도 함께 증가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후로는 金織物이 나타나는 횟수가 줄어들어 호종 이후에는 단 한차례의 織金의 기록이 보일 뿐이다. 이것은 淸으로의 왕조 교체와 일본 상인의 횡포로 인하여 공무역이 줄어 든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發記』에 나타나는 金을 사용한 직물의 유형에는 織金, 附金, 金箔, 泥金, 金緞, 金線, 金線緞 등이 있다. 이 중 金箔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附金이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사용대상 또한 많았다. 따라서 발기가 조선후기의 기록임을 고려할 때, 조선후기에는 金箔보다는 附金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궁옷의 발기에는 附金만이, 대전발기에는 織金이 사용되어 신분에 따른 차이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궁의 의복에는 대대와 같은 일부분을 제외하면 金箔이 불가능하다는 기존의 설이 있으나, 원삼과 스란 등에 附金을 한 것을 궁중 발기와 사진을 통해 볼 수 있어 상궁의 옷에도 경우에 따라 金箔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金이 직물에 이용된 것은 戰國時代부터이며, 金·銀絲로 직조하거나 金箔 등의 방법으로 문양을 표현하였다. 宋代에는 위그르인의 金線 기술을 받아들였다. 이후 元代에 이르면 漢문화, 몽고의 유목문화와 함께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의 문화와 기술을 받아들이면서, 직물에 金을 사용하는 기술도 발달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納石失局'을 두고 정부의 통제 하에 金織物을 전문적으로 제직하였다. 元간에는 의복 외에 군대의 장막 등에도 織金이 사용되어, 金의 사용범위가 매우 넓어진 것으로 보인다. 明代에는 많은 직물을 여러 국가로 수출하면서, 직물 산업이 발전한다. 이 시기에는 金線을 사용한 '狀花緞' 즉 '金包地' 또는 金·銀絲를 함께 사용하거나 바탕을 金絲로 한 직물 등이 발전하였다. 淸代 직물은 明의 전통을 바탕으로 서구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또한 金絲를 제조하는 기술이 성장하면서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여러 형태의 織金이 발전하게 된다. 직물에 金을 사용한 직물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金絲를 이용하여 직조하는 織金, 金粉이나 金箔을 직물 위에 부가시킨 金泥와 金箔, 金絲로 繡를 놓는 방법이 있다. 織金과 같은 의미를 지닌 직물로는 금란, 庫金, 遍地金, 納石失, 금선금과 장금직물 등이 있다. 이중 織金, 금란, 庫金은 모두 유의어로 비단으로 그 바탕을 하고 金絲로 무늬를 짜 넣은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織金이 한국, 중국, 일본에서 모두 사용된 것에 비해, 금란은 일본과 한국에서 庫金은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遍地金은 金絲로 바탕을 이루고 색사로 무늬를 한 직물을 말하며, 綠石失은 元代에 織金 직물을 일컫는 용어로 중국에서 사용되었다. 금선금은 페르시아에서 유래된 직물을 말한다. 今을 직물 위에 부가시켜 장식하는 방법에는 金泥, 金箔, 金繡 등이 있다. 金泥가 금가루로 직물 위에 그림을 그린 것에 비해 鎖金, 撒金, 貼金은 직물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金을 부가한 것으로 金箔과 동일하다. 위의 사실을 종합하면 金을 사용된 직물의 종류로는 크게 織金, 金箔, 金泥, 金繡 등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문헌에 金이 사용된 직물의 최초 기록이 보이며, 유물로는 신라시대의 금란가사가 있다. 이러한 金의 사용은 조선시대를 거처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으며, 그 쓰임과 대상도 다양하다. 이상에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織物史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金이 사용된 직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 조선시대에 쓰인 織金, 金箔 직물을 알아보았으며,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사용된 金이 직물에 이용된 용어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내용과 방법 = 2 Ⅱ. 金이 사용된 織物의 변천 = 4 A. 10세기 이전 = 4 1. 삼국시대 = 4 2. 魏晉南北朝·隋·唐 = 6 B. 10세기~15세기경 = 7 1. 고려 = 7 2. 宋·元 = 10 C. 15세기~19세기 = 12 1. 조선 = 12 2. 明·淸 = 33 Ⅲ. 金을 사용한 직물의 유형 = 35 A. 織金 = 36 B. 金箔 = 41 C. 金泥 = 43 D. 金□ = 45 E. 기타 = 46 Ⅴ.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9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608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金을 사용한 織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gold applied in the fabric-
dc.format.pagex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