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조성윤-
dc.creator조성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3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내담자의 낙관성 수준과 내담자의 상담 회기 및 상담자 평가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가설1)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이 더 깊이 있었다고 평가할 것이다. (가설2)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이 더 순조로왔다고 평가할 것이다. (가설3)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의 전문성을 더 높게 평가할 것이다. (가설4)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의 호감을 더 높게 평가 할 것이다. (가설5)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의 신뢰성을 더 높게 평가할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E여자대학교에서 청년심리학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17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낙관성 평가 척도, 상담회기평가 질문지, 상담자 평가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이전 상담경험 유무를 묻고, 참여자들의 낙관성 정도를 측정했다. 두번째로, 상담과정을 보여주는 비디오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 비디오 시청 뒤 상담 평가와 상담자 평가 질문지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t검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우선 예비 검증으로 상담 경험 유무에 따른 낙관성 수준 차이, 상담회기 평가 차이, 상담자 평가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담 경험 유무에 따라 낙관성 수준과 상담 및 상담자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이 더 깊이 있었다고 평가할 것이다. 낙관성이 높은 집단이 낙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설1은 기각되었다. 가설2.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이 더 순조로왔다고 평가할 것이다. 낙관성이 높은 집단이 낙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에서 상담을 순조롭게 하였다고 평가하여 가설 2는 지지되었다. 가설3.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를 보다 전문적으로 평가할 것이다.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가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보다 상담자를 전문적으로 평가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설4.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의 호감을 더 높게 평가 할 것이다.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가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보다 상담자에 대한 호감을 높게 평가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가설5.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는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 보다 상담자의 신뢰성을 더 높게 평가할 것이다. 낙관성이 높은 내담자가 낙관성이 낮은 내담자보다 상담자의 신뢰성을 높게 평가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내담자의 낙관성 정도가 높을수록 상담 회기평가와 상담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보여준다. 이는 내담자의 낙관성 수준이 실제 상담 장면에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를 상담 장면에서 적극 활용하여 상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counseling evaluation and the client's optimism level. So I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session evaluation and the counselor rating according to the client's optimism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7 students of Ewha Womans University. At the very beginning, subjects answered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Secondly the subjects saw the video taped analogue counseling session and then evaluated the counseling session and counselor. In this study, the measure to evaluate the client's optimism level was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Scheier, Carver, & Brides, 1994) which is composed of the optimism, pessimism and filler item. The measures of counseling evaluation wer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SEQ) developed by Stiles and Snow(1984) and the Counseling Rating Form-Short version developed by Corrigan and Schmidt(198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clients on high optimism level estimated that the session evaluation was higher than clients' on low optimism level. Second, clients on high optimism level estimated that the counselor rating was higher than clients' on low optimism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lients were higher optimism level, counseling evaluations were bett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the future research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counse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요약 = vi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문제 및 가설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낙관성 = 6 1. 낙관성의 개념 및 특성 = 6 2. 낙관성과 상담 성과 = 11 B. 상담 평가 = 15 1. 상담회기평가 = 15 2. 상담자 평가 = 17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측정도구 = 21 1. 낙관성 측정 척도 = 21 2. 상담회기 평가척도 = 22 3. 상담자 평가척도 = 23 4. 모의 상담 = 25 C. 연구절차 = 25 D. 자료 분석 = 27 Ⅳ. 연구결과 = 28 A. 상담경험에 따른 집단간 차이 검증 = 28 1. 상담 경험에 따른 낙관성 수준의 차이 = 28 2. 상담 경험에 따른 상담 회기 평가 차이 = 28 3. 상담 경험에 따른 상담자 평가 차이 = 29 B. 낙관성 수준 정도에 따른 차이 검증 = 31 1. 낙관성 수준에 따른 집단 분류 차이 = 31 2. 낙관성 집단에 따른 상담 회기 평가 차이 = 32 3. 낙관성 집단에 따른 상담자 평가 차이 = 33 C. 상담 회기 평가와 상담자 평가간의 관계 = 35 Ⅴ. 논의 = 37 A. 요약 및 논의 = 37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1 참고문헌 = 43 부록 1. 실험 절차 내용 안내 = 50 부록 2. 낙관성 척도 = 51 부록 3. 비디오 지시문 = 53 부록 4. 상담장면 비디오 대본 = 54 부록 5. 상담 회기 평가 질문지 = 61 부록 6. 상담자 평가 질문지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313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내담자의 낙관성 수준에 따른 상담 회기 및 상담자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ession Evaluation and The Counseling Rating on the Client's Optimism Level-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