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박수경-
dc.creator박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1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28-
dc.description.abstractA self-regulated learning is required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learn the language on their own initiative, because it allows them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ir learning being dictated by the purpo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is designed to urge learners to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es rather than let them controlled by some extern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it is in collusion with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principle that learners should have a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how much frequently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nalyze the correlations among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their level of comm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their learning performances and thereby,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comm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the learning performances. For this purpose, 82 learners from the Japanese-speaking regions who wer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t 'E' and 'S' universities in Korea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a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us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thereupon,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level of comm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learning performan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using the behavior-regulating strategy most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hat their level of commanding the Korean language was affected by planning strategy (F=3.802, p<.05), sense of self-efficacy (F=3.343, p<.05) and learning time management strategy (F=3.104, p<.050). The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 which was correlated with learners' learning performances was motive regulation (r=.331, p<.01), specifically purpose-orientation (r=.32, p>.01) and value of achievement (r=.286, p<.05). As stated above, the more skilled a learner was, he or she tended more to plan his/her learning contents and sequences in details, were more confident in his/her learning ability and made more efforts to spare time to learn the target language effectively. In all, such strategies may well be required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and learning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motive regul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achievement. This finding agreed to the findings of preceding studies that an internal motivation is important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On the other hand, learners' emotional factors were proven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learning performances. Such a finding supports the argument that learners' attitude towards and belief in the target language affect their uses of learning strategies enough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positively and actively in learn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specifically, the factor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In addition, it is also hoped that future studies will develop some specific teaching methods apply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o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o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be aware of cognition-, motive- and behavior-regulating factors of the self-regulating learning and thereby, apply them to their learning conditions and purposes.;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학습자 역할도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학습자를 학습의 주체로 보면서 자율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로의 전환을 수반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의 전환을 위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목적 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학습을 위해 필요함을 주장한다. 자기조절학습은 효과적인 학습이 외적 환경에 의해 발생하기보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보는 개념으로,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학습을 위해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가져야한다는 원리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 사용빈도를 살피고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과 숙달 수준 및 학업 성취도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요인 중 학습자 숙달 수준 및 학업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E대학교와 S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 학습자 82명을 본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 응답 결과와 학습자 숙달 수준 및 학업 성취도 점수를 기초 자료로 수집했다. 이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 빈도를 살피고, 자기조절학습 요인이 숙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및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자기조절학습 요인 중 행동 조절 전략을 제일 많이 사용하고, 학습자의 숙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계획 전략(F=3.802, P<.05), 자기효능감(F=3.343, P<.05), 학업 시간 관리 전략(F=3.104, P<.050)이었다.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과 상관 관계를 보인 자기조절학습 요인은 동기 조절(r=.331, P<.01)이었고, 구체적으로 숙달목적지향성(r=.32, P<.01)과 성취 가치(r=.286, p<.05)로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을 위한 세부적인 내용과 순서를 계획하고 한국어 학습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며 자신이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수록 숙달 수준이 높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를 근거로 이 전략들이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발달을 위해서 필요한 전략들이라 판단할 수 있다.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는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 중 동기 조절이 한국어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내적 동기화가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가 한국어 학습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남을 입증했다. 또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이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증명했고 구체적으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믿음이 학습전략사용을 유도하고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기조절학습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학습을 위한 자기조절학습의 내용을 밝히려는 연구가 필요한데 구체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의 내용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요인 분석 연구 등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내용을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 방법의 개발도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6 Ⅱ.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학습과 자기조절학습 = 13 A.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 13 1. 자기조절학습의 이론적 발달 = 13 2. 자기조절학습의 정의 = 17 B. 자기조절학습의 구성 요소 = 24 1. 학습자의 인지 조절 = 24 2. 학습자의 동기 조절 = 26 3. 학습자의 행동 조절 = 28 C. 한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필요성 = 32 Ⅲ. 연구 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 39 C. 측정 도구 = 44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 = 44 2. 학업 성취도 검사 = 47 D. 연구의 제한점 = 48 Ⅳ. 연구 결과 = 50 A.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이 숙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 50 1.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 수준 분석 결과 = 50 2.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이 숙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 53 B.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 관계 = 57 1.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분석 결과 = 57 2.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 관계 = 58 Ⅴ. 결론 = 63 A. 요약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3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89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요인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본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dc.format.pagev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