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 Download: 0

유희적 사고에 의한 사물의 은유

Title
유희적 사고에 의한 사물의 은유
Other Titles
Metaphor of Things through Playful Thought Process
Authors
이하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봉구
Abstract
Started with a curiosity about the process of human perception of things,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another open possibility of interpreting things differently as well as conceptualized approaches to form, language, and functional usage of them. Perception of things based on the playfulness of uncertainty defers a decisive interpretation of a thing and make us continuously seek another new meaning of i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resent things play. In this study works in which metaphoric expressional techniques could be seen were investigat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assumption that things could be perceived anew. Total 7 works were chosen as the subject and they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expressional substances and techniques. As for the substance of expression, there were appearances of transformed things through fusion with the subject of perception. Things appeared in those works included pin, tape measure, cup, mirror, piece of button, front part of shoe, half of hair pin, glass, bag, sewing machine, clothe, bolt, nut, lock and so on. And they transformed into imaginary things and became objects of expression in the playful mind of the author of this study in which her experiences and thoughts were projected. Sizes of those things were reduced or enlarged according to her psychological perspective, and shapes were omitted, twisted or outlined to be freed from everyday life context and to lose some of their original functions, Meanwhile, the physical transformation of living things were to suggest that the animate and the inanimate are the same symbolic languages in the playful process of thinking, so body parts came to have thing-like shapes with objective materials. Things were placed in unfamiliar settings to show their transition to a new meaning. Various everyday life materials such as tree, marble, cloth, plaster, F.R.P. sponge, wire and paper were chosen and used to express their freedom from fixed views of them. Their original colors were unchanged. As a result, sizes of things were variable regardless their natural proportions and sizes and the outlined or defunctioned things through intentional misuse of materials revealed imitated images or representations of natural objects. Resulted works were put on the wall to demonstrate freedom of things from familiar daily life and their transition to a new meaning in a playful perception. In the author's works, things perceived from a playful perspective metaphorically reveal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he author, a subject of perception, according to her expressional subjective will.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layful thinking makes us see things which have been locked in fixed ideas from a new perspective and through harmon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perception, enlarge the range of our perception, and get nearer to the realm of truth meaningful to us.;사물의 인식 과정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형태, 언어, 기능적 쓰임 등의 관념화된 접근 뿐 아니라 또 다른 열려진 해석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불확실성의 유희를 통한 사물의 인식은 결정적 해석을 유보시키면서 사물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나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희로서 인식된 사물을 표현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 사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전제로 은유적 표현 방법이 보여지는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작품 분석에서는 작품 7점을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배경 및 표현내용과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표현 내용은 유희적 사고 과정을 통하여 인식의 대상인 사물과 인식의 주체가 융화되어 변화된 사물의 모습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옷핀, 줄자, 컵, 거울, 단추 조각, 신발의 앞부분, 머리핀 반쪽, 유리잔과 가방, 재봉틀과 옷, 볼트와 너트, 잠금장치 등의 사물은 달인의 경험과 사유가 투사되는 유희적 사고 속에서 상상의 사물로 변화되어 표현되어진다.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물은 심리적 원근법에 따라 크기를 축소하거나 확대시키고, 사물의 일상적 맥락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기능을 상실시키거나 윤곽선으로 나타내어 사물의 형태를 생략하거나 왜곡시켰다. 생물의 물질적 변형은 유희적 사고 과정에서는 사물과 생물이 동일한 기호적 언어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신체의 부분을 물질적 재료를 사용하여 하나의 사물로서 표현하였다. 새로운 의미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낯선 곳에 두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현 재료도 본래의 사물의 맥락에서부터 자유롭기 위해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나무, 대리석, 천, 석고, F.R.P, 스폰지, 철사, 종이 등의 다양한 재료들을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사용하였으며, 재료가 지닌 색을 그대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작품의 형태는 현실적인 비례와 크기에 상관없이 크기가 변화되어지며, 재료의 특성을 고려한 모순된 재료의 사용에 의해 탈 기능화된 사물과 윤곽선으로 표현되어진 사물은 실제 사물의 이미지만을 모방하며 재현된다. 작품은 벽면에 걸어 설치함으로서 유희적 인식에 의해 변화된 사물이 일상에서의 익숙함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의미로 전환된다. 본 연구의 작품은 유희적 사고를 통하여 인식된 사물이 주관적 표현의지에 따라서 인식의 주체인 본인의 경험과 사유가 은유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유희적 사고는 인식의 주체와 인식의 대상인 사물과의 융화에 의해 관념 속에만 머물던 사물을 새롭게 인식하고, 고정된 사고의 폭을 확장시켜 우리가 관계하고 있는 진리의 영역에 접근시킨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