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김미화-
dc.creator김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1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72-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의상의 소재로 50%는 프린트류가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독창적인 무의의 개발은 디자이너에게 창작활동을 보다 자유롭게 해주며 고부가 가치의 상품을 창출하여 독특한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시대성에 따라 필연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물 무의의 개발로서 지표면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형태에서 얻어지는 무의를 모티브로 선택하였으며 시각적 질감의 효과를 사실적으로 살리기 위하여 사진형 실크스크린 프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로써 직물무의의 개발에 의한 의상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대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시각적 질감에 대한 고찰로 개념 및 종류와 날염 패턴을 위한 시각적 질감의 표현기법을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지표면에 대한 고찰로는 형성 및 종류를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지표면에서 얻어지는 미적 체험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질감을 응용한 사례를 패션잡지의 작품들을 통하여 수집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표면의 시각적 질감을 응용한 의상작품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표면은 조형예술에 있어서 창의적인 시각적 형태의 탐구에 중요한 매체로 항상 사물을 새롭게 인식하는 창조적인 시각으로 볼 필요성을 재 확인하였다. 둘재, 독특한 단위형태로 구성된 지표면의 형태는 변화속의 통일성을 이루어 직물 문양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모티브였으며 현대인의 독창적인 개성미를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진형 실크 스크린 프린트 기법은 독특한 질감의 코팅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색채는 흑백 조화의 명암대비를 강조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이미지를 창출하였다. 앞으로 의상디자이너의 보다 창의적인 조형추구와 아울러 이를 뒷받침 해주는 소재개발 기술의 발달이 조화를 이루어 보다 독창적인 의상디자인의 개발이 되길 바라며 본 연구에서 시도해 보지 못한 지표면에서 얻어질 수 있는 독특한 색채 표현에 의한 조형성의 시도와 사진과정에 의한 직물디자인 개발은 무한한 아이디어의 보고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The pattern of fabrics created almost naturally by a man's aesthetics and his instinct to ornament something has been developed ceaselessly since the dawn of human history. Those patterns ensures more creative freedom for able costume designers and the development of special patterns in times is needed necessariliy by the modern customers who seek for their own individu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expressiveness of costume design bv adopting visual texture to fabric patterns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photo- graphic hand screen printing method. An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uch patterns, plastic patterns are taken as motive, which may be obtained as they are generated naturally on the ground surface. Theoretically, visual texture and the ground surface are reviewed to support the study. The review of visual texture includes not only the study of literature concerning about their concepts, kinds, and expression methods but also the analysis of fashion design cases covered in fashion magazines. To study the ground surface, several literatures are referred to understand its origin and kinds and the plasticity of an aesthetic experience from the ground furface is analyzed, 8 pieces of costumes are produced in all using visual texture on the ground surface on the basis of results. The t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 have to learn observing things from new and creative viewpoints, as nature is an important medium for the study of creative, visual forms in a plastic art. Second, it is revealed that patterns shown on every ground surface are united though in the changes of special units are suitable to express the beauty of nature, plasticity. Therefore, it suggest a possbility to meet not only the modern man's hope to return to nature but also his need of original design. Third, the photographic hand screen printing method is demonstrated to express undisguised feelings of nature as they are and to be able to create modern images by emphasizing the contrast between white and black in terms of color. Four, applying painting resin dyes to silk has an coating effect of a silk screen, which is proper means to express the characteriotion made on ground surface as simple silhouette using soft chiffon, satine with strong drape, and shantung which may use the form of design. Unfortunately, this study does not try the plasticity through the peculiar color expression which can be obtained on the ground surface. Further required is the education of creative designers with their own continuous efforts to pursue plasticity following an epoch-making improvement of raw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 Ⅱ. 이론적배경 = 3 A. 시각적 질감에 대한 고찰 = 4 1. 시각적 질감의 개념 및 종류 = 4 2. 날염 패턴을 위한 시각적 질감의 표현기법 = 6 B. 지표면에 대한 고찰 = 21 1. 지표면의 형성 = 21 2. 지표면의 종류 및 조형적 분석 = 22 Ⅲ. 시각적 질감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 33 A. 자연적인 질감과 장식적인 질감에 의한 의상디자인 = 34 B. 기계적인 질감에 의한 의상디자인 = 35 Ⅳ. 작품제작 = 45 A.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45 B. 작품해설 = 48 Ⅳ. 결론 = 85 참고문헌 = 87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32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title지표면의 시각적 질감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stume Desing Using Visual texture of Earth Surface-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