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한국 피아노 연주사 연구

Title
한국 피아노 연주사 연구
Authors
薛惠媛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악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徐佑錫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systematic review on the history of the piano performances in Korea since 1923. A special emphasis has been given not on the reputation of the performers or the musical value of their performance, but on the repertory in their performance programme. After 1960, only the piano recitals are regarded for this study purpose excluding other performances such as concert. It is expected in this study that some recitals and repertory have been omitted due to lackness of the systematic data concerned. The review from 1923 to 1945 is based on the records of annual reports and the programmes of 16 performances. The following data have been referred for the study from 1945 to 1974: 1. 20 recitals with the specific repertory unknown 2. 20 recitals without programme but its repertory available 3. 200 programmes of recitals and other performances. The activities of Kim, Youngwhan (1923, with repertory unknown), Kim, Youngue (June 1935, repertory available) and Kim, Mary (November 1935, repertory available) were the daybreak of the initial stage of the piano performance in Korea, and such activities were continued until 1945. It is remarkable that piano recitals had been continuously performed during the chaotic period after Korean Independence as well as during the Korean War. After 1957 the piano performances had been rapidly increased and these performances got prevalent by gaining in public interest. In 1957, 6 recitals had been held and this marked a striking increase in the volume of recitals comparing just two recitals in 1958. In spite of the instability of its volume, the increasing trend of piano recitals had been continued. The first half of 1960's was the booming era when the recitals by the children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vailing. But this trend was not protracted and their recitals had been rapidly decreased in its number by knowing that just having a recital could not be highly reputed. This thesis, in general, is based on the consideration into the repertory itself and that it is the premier performance in Korea or not, the change of the repertory selec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repertory. An effort was made to distinguish the first and last number performed in a recital. The total period in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wo periods before and after Korean Independence. The period after Korean Independence also divided in the light of the rapid increase of the recital volume in 1957 and 19 1964. In an effort to simplify the output of this study, various data have been tabulated after systematic review.;본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피아노 연주 역사를 연주곡목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는 것이다. 연주수준에 관계없이 어떤 곡이 독주회의 프로그램으로 기록되었었는가를 중시하여 연주 역사를 살펴본 것이다. 또한 1960년 이후에는 협주곡을 제외한 피아노 독주회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자료가 없으므로해서 누락된 독주회나 연주곡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945년 까지는 년감의 기록과 16회의 음악회의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다루었고 1945년 이후 1974년까지의 자료는 20여회의 연주곡목을 알 수 없는 독주회와 실제 프로그램은 없으나 연주곡목을 알 수 있는 독주회 약 20여개와 200여장의 실제 독주회 및 기타 음악회의 프로그램을 자료로 해서 살펴보았다. 김영환 ( 1923년, 곡목미상, 찬조출연 ) 김영의 ( 1935년 6 월 연주곡목의 기록이 있음), 김메리 ( 1935년 11월 연주곡목의 기록이 있음 ) 등의 초기의 활약에 이어 1945년 까지 음악은 면면히 이어져 왔다. 해방이후의 혼란스러운 중에서도 피아노의 연주는 계속되었고 6.25동란등의 어려운 시기에서도 끊이지 않고 피아노 음악의 연주가 있었다. 그 이후 피아노 음악의 연주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1957년경 부터이다. 1957년에는 6회의 독주회가 있었는데 이는 그 전해인 1956년의 2회에 비해 급격히 증가한 것이다. 1957년 이후는 해에 따라 독주회 횟수에 다소간의 기복이 있었지만 계속해서 피아노 독주회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때 ( 1960년대초 ) 어린이와 중고등학생의 연주가 성행한 때도 있었으나 1970년 이후에 와서는 1960년대초에서 처럼 독주회를 했다는 사실로만은 평가 받지 못하게 됨으로서 어린이와 중고등학교 학생의 독주회는 줄어들었다. 전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연주곡목의 경향과 그의 초연 여부 곡목선택에 있어서 변화등과 자주 연주되는 작품의 연주빈도수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첫번째 연주된 곡목과 끝으로 연주된 곡목도 살펴보았다. 해방이전과 해방이후를 나누었고 독주회가 급격히 증가하는 1957년과 1964년을 기점으로 해서 해방이후의 시기를 구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도표로 만들어 가능한한 간결하게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