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과학과 평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과학과 평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의 본질에 대한 해석이나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따라 변화되어왔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학습목표에 따른 적절한 학습평가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기존의 우리나라의 과학교육평가방법으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을 이루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직시하고 창의력이나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사고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과학과 평가방법의 실태를 알아보고, 과학학습 평가에 있어서의 주요 평가항목들과 각 항목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평가방법들을 조사하여 평가방법개선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과학과의 평가실태를 조사를 위해서는 입시에 대한 부담이 없는 비평준화지역인 서울시에 소재한 15개의 중학교의 99년도 평가계획을 살펴보았으며, 과학과 평가항목과 평가방법 선정을 위해서는 현장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1차 설문과 문헌조사를 통해 선정하였다. 현장 과학과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평가항목과 평가 항목에 적절한 평가방법 산정을 위해서는 서울시 현직 과학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차 설문을 실시하여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현장에서는 정규고사 대 실기평가가 약 70:30의 비로 실시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학교에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 '태도'의 항목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정된 평가항목들간의 가중치를 살펴보면 탐구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평가방법간에는 지필평가와 보고서평가가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적 영역 중 지식 및 이해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지필평가가, 적용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보고서평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관찰평가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탐구능력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탐구수행능력을 제외하고는 보고서평가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탐구수행 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관찰평가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창의력 평가를 위해서는 창의력의 세부항목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The aim of science education has changed along the analysis of the essence of science or periodic, social demand. It is a fact that there is no proper evaluation about the aim of study for students at school. Especially, we need to study out better evaluat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higher ability of thinking such as creativity or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since we have to face the fact that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against performing 'autonomous and creative Korean who are going to lead the 21st century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which the 7th education process demands by the evaluating methods of science teaching which. we have. In this paper, I'm trying to show the alternative proposals about the improvement of evaluating methods after studying the present state of science evaluation and efficient methods for evaluating the main evaluation items and each item of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I studied the plans of 1999's evaluation of 15 middle schools in Seoul which is an equalized area in order to get the state of science evaluation. I used some references and 1st question paper to school science teachers in order to choose science evaluating method and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ing items which school science teachers have and the proper choice of evaluating method on the evaluation items, I asked the teachers to fill the 2nd paper then analyzed them by AHP. The study shows that they carry out formal exam and practical exam by 70:30 at school and evaluate the item 'manner' for the definitive field at most school. If we take a close look at the intensive values among chosen evaluating items we can see that the evaluation of ability of research is most highly analyzed. Among evaluating method, the study shows that writing evaluation and reporting evaluation have the highest intensive values. Among recognition fields, for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comprehension writing evaluation is, for the evaluation of application reporting evaluation is most proper. The intensive value of reporting evaluation is most highly analyzed except the ability of research and practice for the evaluation of definitive field, and the intensive value of observational evaluation is most highly analyzed for the evaluation of the ability of research and practice. It is analyzed that we need various evaluating methods b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items of creativity for creativity eval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