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연혜경-
dc.creator연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6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0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667-
dc.description.abstract태초 인간의 정신유형은 무의식과 의식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과학의 발달과 교육의 성과로 인간정신 영역은 '의식'이라는 부분정신이 전체정신을 대신하게 되었다. 이는 문명화된 사회의 소산물로 인간의 의식이 점차 발달하면서, 자연과 인간이 근본적으로 '하나'였다는 존재를 부정하고 자연을 정복한 인간 스스로가 자신의 운명을 해(害)하는 비인간화된 사회로 변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인간의식의 변화를 순수한 태초의 자연과 인간이 '하나'였다는 심리적 동일성을 동양의 자연관과 융(C. G. Jung)의 정신적 분석심리학에서 그 근거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으로부터 추출한 내적 순수성을 미적차원으로 끌어올려 인간의 내면세계의 심상을 외부로 표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자연과 인간의 정신 그리고 예술작품에 나타난 정신적 근원의 원형(原型, Prototype) 및 대상(자연과 인간)의 이미지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의 이미지를 '성의 본능'에서 한층 승화된 에로스적 미의 관점에서 살펴 보았으며, 자연과 인간으로부터 느낀 이미지를 염색작품을 통해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의식의 발달로 동·서양의 자연과 인간관에 대한 사고의 차이는 현저하나 '의식'이 분화되기 이전의 사고관은 '심리적 동일성'을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고, 이 인식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을 성의 본능에 의한 미적차원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인간본연에 잠재되어 있는 성의 욕구를 조형적 사고로 승화시켜 내면의 심상을 표출할 수 있었다. 둘째, 에로스적 차원에서 표현된 꽃과 인체는 신비성과 공간감을 재구성할 수 있는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효과로 처리했으며, 처리된 방법으로는 납방염을 이용하여 꽃과 인체의 미묘한 관계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는데 적절한 소재임을 알았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해로부터 밑받침 되어 나오는 꽃과 인체에 대한 형태 탐구가 미비하여 작업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Since the beggining of the world, the human mind has been deeply concemed with both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education, consciousness, only a part of the human mind, stands for the mind itself, Putting unconsciousness out of the way. As one of the products of the civilized society, consciousness has grown up to estrange man from Nature. The 'oneness' between man and Nature broke down and, since then, man has been exploiting Nature. As a result, man constructs a society under the name of progress which brings rather misfortune upon himself. This study is to consider C. G. Jung's psychoanalytic theory that in the early phase of the advancement of consciousness there should exist a sense of 'oneness' between man and Nature in the form of a psychological bond. This thesis aims at expressing an aesthetically sublimated image of man's inner world or its purity extracted from the original, sincere, and ideal relation of man and Nature. There are some lengthened explanations of the psychological intimacies between man and Nature, a prototype of the fundamental spirit of art, the image expression of the objects--man and nature, which offer a sort of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scribing the sublimated image of man's inner world in relation to Nature. The image of man and Nature is observed from an aesthetic viewpoint of Eros as an uplift of sexuality. I have studied and analyzed the image of manand Nature in dye work, and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ly, though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ccompanied with division of the view on man and Nature in the East and the West, I found that there should be something psychologically nondiscriminatory before .the division. Aesthetic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of man and Nature in terms of sexuality has surpassed the mere sexual need hidden in the man's inner world to be an aesthetic, transcendent image. Secondly, the expression of flower and human body with the idea of Eros is formed under the effect of gradation which is quite available for reconstituting a sense of mystery and that of space. By employing Batik, I have effectively fulfilled my intention of creating the complicate relation of flower and human body. I regret the fact that there lacked a further study on the from of flower and human body. I intend to profoundly acknowledge this problem and make improvement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정신적 구조에 의한 예술의 의미 = 3 a. 자연과 인간 = 3 b. 인간의 정신 = 4 B. 예술작품에 나타난 정신적 표현세계 = 8 C. 대상의 이미지 표현 = 16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9 A. 작품제작 = 19 a. 제작의도 = 19 b. 제작과정 및 기법 = 20 B. 작품분석 = 22 Ⅳ.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55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능동적 상상력에 의한 꽃과 여인의 이미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age of Flower and Woman by Spontaneous Imagination-
dc.format.pagevii, 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