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2 Download: 0

內的必然性에 의한 繪畵性追究

Title
內的必然性에 의한 繪畵性追究
Other Titles
A painting being pursued by the inner necessity
Authors
김상영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壽在
Abstract
"예술은 개인, 유파, 국토 및 종족의 양식인 동시에 시대양식이며, 모든 양식은 한 시대의 지배적인 정신 내지 감정의 표출이다." 그러므로 현대의 추상미술은 현대인의 지배적인 감정의 시각적 표출이다. 그 지배적인 감정이란 과학기술의 발달과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통해 경험한 인간정신의 위기의 감정이며 현실세계에 맞서 내면세계에로의 탐구로 집약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추상미술은 크게 감성적 성향의 서정적 추상과 단순개념의 절대적 양식인 기하학적 추상의 두 흐름을 형성하여 왔다. 이 두 흐름은 오늘에 와서는 투정양식이 아닌 일반적인 추세이고 이에 대해 미술가 들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접근방법을 취하고있다. 본인은 추상미술을 우리 시대의 지배적인 감정의 양식으로 인식하고 추상의 두 흐름과 관련시켜 의미있는 화면을 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의 의의와 이론적 기반, 창작의 방법을 점검하고 모색하는데 있다. 즉 수평이라는 순수 조형요소와 유기적인 곡선이 지니는 생명감 과의 결합을 통하여 화면을 단순화 시키고 비 정형적인 색점을 통해 밀도와 리듬을 추구함으로써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려 하였으며 이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회화상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이론적 기반으로는 칸딘스키의 내적필연성의 원리, 프로이드와 융의 심층심리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방법적으로 통상적 이미지를 시작화한 Autonatism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명상적 작품을 유도한 Ma가 Rotheko ( 1903~1910 ), 기하학적 관계에 근원을 둔 Jack Tworkov의 작품세계를 연구하였다. 이와함께 본인의 작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업 즉 내면의 유통생성하는 형체가 지적 통제를 받으며 생동하는 질서 있는 하나의 세계로 표현 될 수 있는가 하는 조형과 표현기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Art is the mode of an individual, a school, a country, a race, and a period. The mode means the expression of prevailing spirit or emotion of the age. Therefore, modern abstract art is the visual expression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emotion of modern people. The prevailing emotion is a kind of critical one experienced th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wo times of the world war. It is also focused on the inquiry of the inner world against the real world. After the World War Ⅱ, abstract art has been divided into two kinds; lyric abstract inclined to sensitivity and geometrical abstract inclined to the absolute mode on the conceptions of simplicity, both of abstract arts became general mode, not the specific mode of the present time, and artists take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way to approach them. I consider the abstract art as the mode of the prevailing emotion of our age, and my works are connected with two kinds of abstract arts. Consequently, my study is to seek an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such works as my work, the fundamental theory on creation, and the way of creation. 1. My canvas was simplified through the liveliness in the organic curves and the horizontal element in the pure formative arts 2. Inner world was expressed by pursuing the rhythm and the density with the informal colour and spot. 3. It was studied the possible problems of paintings while working. The theoretical base of this study was the principle of inner necessity of Kandinsky. In a study on the way of expression, there were studied as follows; 1. Automatism which made visualized the dream image. 2. The work of M. Rotheko who introduced the contemplative work. These studys were analized compared with my work with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echnique for expression and of the modeling which made a shape in mind express one world animating and orderly under the control of the in tellig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