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吉弘-
dc.contributor.author鄭蕙守-
dc.creator鄭蕙守-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6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656-
dc.description.abstractKorea has experienced a noticible developmen:, in economy during’ 1970’s, which also caused the rapid changes in many social features. Amongst these was the health care field with a marked increase of demand and related hospital bed supply facilitated by the start of medical insurance scheme. in 1977. Presently, the evaluation studies are going on, especially in the newly introduced filed of health economics and hospital planning, and the problens they have pointed out are summerised as follows: 1. present uncontrolled health care system make it difficult to utilize the limited resources effectively, and togather with this pertinent health care system is necessary for assuar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provided in the existing health care institutions. 2.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facilities to the patient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living and economic situation.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hich caused severe pressure to the hospital cost has been the occupancy of general accute beas by long-term in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Only recently Korean government has decided to carry out the building programm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or skilled nursing home) to accommodate this kind of patients. This study was started on the above background, where the existing health care facilities lack a rich medic:ù care environment which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kye factors for patients’ recovery from their illness. Therefore, through the exercise in modelling the functional and aesthetical facilith in the context of Korean health care, it was tried to develop a design considerations which can be generalized in all health care facilities and their environment Design characteristics and planning process in developing the model facilith are as follows : 1. A medical care environment should be understood as a system rather than a simple collection of factors such as, the flow of goods, information, and energy, the facility users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2. The environmental condition which patients' phys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general requirements of a patient's daily living to provide the specific medical care, and not to make the facility as an ordinary sanatorium. Also by setting an appropriate role in the total health care system this facility should establish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t;ypes of existing health care institutions. 3. Concept of 'hospital street' and ’NUCLEUS standard shape' were employed respectively to solve the cretical problems of traffic and changes in hospitals. 4. Low-rise building shape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patients’ physical disabilities, psychological aspected and disease patterns. Safety wa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icision. Cruciform of buildings enabled the maximum introduction of daylight and natural ventilation. 5. During the design process it was assumed that the approach should be multi-disciplinary since the requirement of uses might be varied considerably, and the design philosophy should be based on the equal access and the provision of users to the facility. 6. Assuming that interior design positively affects the early recovery of patients’. in future the relationship and hierarchy of the factors existing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patients' behavioural natures should be studied in depth. In conclusion, as an environment for medical services influences the patient's recovery to a great extent, the various problems developed from within it should be approached to a solution through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internal struggle between functional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al super-structure of a space used in medicine followed by related design process.;우리나라는 1970년대의 경제개발기간을 거치면서 사회 각 방면에 걸쳐 괄목할 만한 변화를 겪어 왔다. 그중 보건의료 분야는 의료보험의 실시와 함께 폭발적인 의료수요의 증가를 가져왔고, 이에따른 의료시설의 대규모건립이 추진되어왔다. 그간 새로이 대두된 학문분야인 보건경제학, 병원계획학등의 분야에서는 이에 대해 재평가 연구가 진행중인데, 여기서 지적되는 문제점은 크게 다음의 두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현재의 의료체계상으로 볼때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우며 ,의료전달체계의 확립과 함께_현존하는 의료시설, 특히 병원에서의 적절한 진료관리가 요구된다. 둘째, 양적인 시설의 팽창못지않게 경제수준에 맞는 적절한 수준의 환경제공이 필요하다. 이들중 실제로 병원경영에 큰 압박을 주어온 요인중의 하나인, 만성질환에 의한 장기입원환자의 장기적일 병상점유문제는 대체의료시설인 전문적 숙련간호시설의 필요성을 대두시켰고, 이들에 대한 포괄적 의료를 제공할 시설건립이 시급한 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종래 우리나라의 의료시설이 기능적 문제의 해결에 주로 역점을 두어 건립되어온 것을 지양하고 바람직한 진료환경의 제공이 환자의 진료에 필수적 요소임을 인식하여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건립된 예가없는 본격적안 장기입원시설의 시설계획적 , 환경관련요소를 추출해내고, 한국적 의료현실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모형을 개발하는데 이용된 계획과정과 관련요소의 디자인화 특징은 다음과같다. 첫째는 장기요양시설의 이용자, 물자의 흐름·정보·에너지·관리체계등의 기능설정을 통하여 이들이 하나의 내적질서를 갖추고 적절한 의료환경조성에 작용하도록 계획하였다. 둘째는 장기요양시설의 의료체계내에서의 좌표설정을 통하여 여타 의료기관과의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고, 단순한 불치환자의 수용기능에서 벗어나 적절한 수준의 전문진료제공과 함께 장기간의 입원환경에서 요구되는 일상적 생활환경으로서의 요구사항과 입원대상환자의 특성 분석을 통한 신체적,심리적 환경조건이 조화를 이루도록 고려하였다. 셋째는 동선체계의 수립과 가종 이동체계의 해결이 의료시설계획의 요체를 이루는 이유는, 다양하고 복잡한 동선의 단순화가 서비스제공의 효율을 높히며, 의료시설의 기본적 성격인 계속적인 성장과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모형설정에 있어서는 'Hospital Street,'개념과 ' Nucleus' 가변형 의료시설모델을 이용하여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넷째로는 입원대상환자의 질환적, 신체적, 심리적, 행동제약범위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평이동체계와 저층분산형 건물형태를 채택하며, 중정 ( Courtyard)의 설치등으로 자연채광·자연환기의 적극적 도입과 함께 자연환경과의 교류를 극대화 시켰다. 다섯째는 다양한시설 이용자의 인적구성에 대한 요구충족과 의료서어비스제공의 효율 극대화를 이루며, 환자의 조기 회복을 유도하는 기능적이고 다목적적인 환경디자인으로 의료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디자인요소들이 기능과 미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유기적 종합체가 되도록 하였다. 여섯째는 실내환경은 의료환경의 질적 향상과 합리적인 의료환경의 조성을 위 하여물리적 요소와 심리적·형태적요소들을 결합시키는 종합적인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계획하였다. 이것은 장기입원환자들이 단일한 물리적 환경과 행동제약내에서 거주해야하는 점에 비추어 실내환경의 물리적 성질과 환자의 심리·행동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연관성을 그 질적향상과 인간화를 통하여 규명하고, 따라서 진료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계획한 것이다. 본 연구의 장기입원시설의 한국적 모형설정을 위한 디자인의 해결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의료환경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총제적이며 이것에 의해 제시되는 다양한 환경상의 문제점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환경디자인 단계에서 기능적하부구조와 심리적 환경영향의 결과인 상부구조와의 원활한 조절작업이 일관된 의료시설의 디자인을 통하여 구현됨으로써, 의료환경시스템내에서의 관련 제요소간의 질서를 수립하는 것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 가능케 하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연구배경과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Ⅱ. 장기입원시설의 문헌적 고찰 = 7 A. 개념 = 7 B. 발전과정 = 8 C. 의료체계와의 관계 = 9 Ⅲ. 장기입원시설계획의 결정요인분석 = 13 A. 현황분석 = 13 1. 사회적 요구도 = 13 2. 기능적 요구도 = 16 B. 수용대상 분석 = 17 1. 진료적 특성 = 17 2. 행동적 특성 = 22 3. 심리적 특성 = 24 Ⅳ. 장기입원시설계획 = 26 A. 계획개념 = 26 1. 기능계획 = 26 2. 건축 계획 = 31 3. 실내계획 = 39 4. 환경심리적 접근 = 71 B. 디자인 전개과정 = 78 1. 배치계획 = 78 2. 평면 계획 = 91 3. 입면계획 = 116 4. 단위공간별 실내환경계획 = 118 5. 가구계획 = 147 Ⅴ. 결론 = 151 참고문헌 = 153 ABSTRACT = 159 부표 = 1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253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장기입원시설의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실내환경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DESIGN OF KOREAN LONG-CARE FACILITY MODEL : with main focus on the factors composing interior environment of patient care-
dc.format.pagex, 1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