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점-
dc.creator김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1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9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93-
dc.description.abstract외국인직접투자는 저개발국가들이 민영화, 기업 인수, 합작에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경제 체제를 자유화하면서 경제 개발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유치하는 국가들은 정치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직접투자로 인해 기대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정책을 수립한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직접 투자 효과를 실증 분석을 통해 평가하고, 가정되는 직접투자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저개발국가에서의 외국인 직접투자의 역할을 평가했다. 기술이전과 고용효과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국가에서 일차적으로 기대되는 효과이고 외국인 직접투자에 관한 정책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외국인 직접투자의 긍정적인 효과들 중 기술 이전과 고용 효과를 평가한다. 조사 결과를 유치국의 상황 등과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에는 브라질과 말레이시아가 선택되었다. 통계 자료는 해당국가의 정부나 국제 개발 기구에서 발표된 1986년부터 1998년 까지의 자료이며 제조부문에 한해 있다. 실증 분석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는 노동 생산성으로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브라질의 제조 부문에서는 긍정적인 기술 이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말레이시아의 제조 부문에서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나라의 외국인 직접투자의 비교를 통해 저자는 기술이전 효과의 중요한 결정 요인은 외국 기업들과 국내 기업들간의 협조적 관계라고 추론한다. 브라질에 지역적으로 정착한 외국 기업들은 국내 시장에 적응하고 지역시장(Mercosur)에 진출하기 위해 국내 부문과의 많은 협조적 연계가 있었고, 이는 국내 기업들에 기술이전을 가져 왔다. 한편, 말레이시아의 외국인 직접 투자는 주로 조립과정에서의 노동 비용을 절감하는 수출 주력의 형태로, 국내 기업들과의 협조적 관계는 거의 형성하지 못했다. 이러한 협조적 관계의 차이에서 이 두 나라는 기술이전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제조 부문에서의 고용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두 나라 모두에서 고용증가와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총 생산이 다른 변수들과 비교해 고용과 높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 결과로부터, 외국인 직접 투자의 고용효과는 외국인 직접 투자의 투자 규모보다는 외국인 투자의 생산 규모가 고용 효과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as become salient in developing countries' development, since the economies began to liberalize economic system to attract FDI in privatization, acquisition, joint ventures, and green-field investment. In spite of political conflicts, host governments make policies anticipating positive economic effects from FDI. This research intends to assess actual effects of FDI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suggest policy direction for realization of assumed FDI effects. This research evaluates the role of FDI in developing countries. Among assumed positive effects of FDI in the host country, technology spillover and employment effects are selected for evaluation, because these are primary effects, which are expected by host countries, and form the policy framework on FDI of developing countries. For comparison of research results and host country conditions, Brazil and Malaysia are chosen for empirical analysis. Data is based on aggregate manufacturing sector published by the governments or intern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within the time frame of 1986-1998. Empirical analysis result reveals that FDI has a positive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on technology that is measured by lab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sector of Brazil, and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Malaysia. Through comparison of the two countries' experiences with FDI, author deduced that one of important determinants of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is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affiliates and local firms in their business transactions. Locally settled foreign firms in Brazil had much cooperation linkages with domestic sector to serve domestic and regional market of Mercosur, leading to technology spill overs to local firms. While, foreign firms in Malaysia mostly exporting the assembled goods with low labor cost to world market did not need to develop much of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local firms. This diversion in cooperative condition explains different experience of the two countries in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FDI. Analysis result of employment effect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the two countries presents that FDI has a positive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in both of the countries. Yet, the analyses present that gross production of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positive and most effects on employment than any other variabl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determinant of employment effects of FDI is not inflow amount of FDI but production amount of FDI to gross prod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able of Contents = 0 Abstract = vi Ⅰ. Introduction = 1 Ⅱ. Literature Review = 4 A. Teterature Spillover Effects of FDI = 4 B. Employment Effect of FDI = 10 Ⅲ. Comparative Analysis of Brazil and Malaysia = 13 A. Policies on FDI and The Trends = 13 1. Brazil = 13 2. Malaysia = 14 B. Empirical Research = 17 1.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 17 a. Research Design = 17 b. Results = 20 2. Employment Effect = 25 a. Research Design = 25 b. Results = 26 C. Determinants of Technology and Employment Effects = 30 Ⅵ. Conclusion = 34 REFERENCE = 36 논문개요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8513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Evaluation of Technology Spillover and Employment Effe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n Empirical Analysis of Brazil and Malaysia-
dc.format.pagevii, 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국제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