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榮美 .-
dc.creator張榮美 .-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2Z-
dc.date.issued197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354-
dc.description.abstract本 연구의 목적은 실험방법에 의해서 ①幼兒의 낯가림의 발달추세를 결정하고 ②낯가림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일 뿐이지 낯선이에 대한 恐怖는 아니라는 한 硏究者의 주장을 검증해보고자 하며 ③幼兒의 낯가림과 대물애착현상과 關係有無를 찾아내고 ④그밖에 幼兒의 낯가림에 關係된 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실험의 對象은 서울특별시의 아파트지역에 居住하는 5個月된 男兒 24名, 5個月된 女兒 24名, 9個月된 男兒 24名, 9個月된 女兒 24名(총96명)의 幼兒이었다. 각 표집에서 한 幼兒는 4가지 조건, 즉, 첫째, 어머니가 接近할 때 幼兒가 혼자 있는 경우와 둘째, 어머니가 接近할 때 낯선사람과 같이 있는 경우와, 셋째, 낯선사람이 接近할 때 幼兒가 혼자 있는 경우와 넷째로 낯선사람이 接近할때 어머니와 같이 있는 경우에서 관찰되었는데 모든 가능한 순서로배열할때 얻어지는 24개(4 !) 조건배열마다 한 幼兒를 배치하였다. 종속변인은 어머니에 대한 接近과 낯선사람에 대한 恐怖反應등 9個項目이었다. 本 硏究의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Ⅰ. 幼兒의 낯가림은 5個月에는 71%가 하고 있었고 9個月에는 91%가 하여 이 기간에 20%만큼의 의의있는 增加趨勢를 보였다. Ⅱ. Corter(1973)는 "幼兒의 行動에 影響을 미치는 어머니와 낯선사람의 存在와의 比較"라는 硏究에서 幼兒의 낯가림은 어머니에 對한 애착일 뿐이지 낯선사람에 대한 恐怖는 아니고 幼兒는 오히려 낯선사람에게 好奇心을 느낀다고 주장하였다. 이 가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예언을 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예언(1) 낯선사람이 接近하면 幼兒는 혼자있는 경우이건 어머니와 같이 있는 경우이건 간에 恐怖反應을 거의 보이지 않을 것이다. 接近하는 낯선사람에게 약 70%의 幼兒가 恐怖反應을 보여 가설에 불리한 결과를 얻었다. 예언(2) 낯선사람은 好奇心의 대상이 되므로 幼兒가 혼자있을 경우와 어머니와 같이 있을 경우의 接近하는 낯선사람에 대한 恐怖反應은 수준이 비슷할 것이다. 幼兒가 혼자 있을때에 接近하는 낯선사람에게 恐怖反應을 보인 幼兒가 74%인데, 幼兒가 어머니와 같이 있을때에는 47%의 幼兒가 接近하는 낯선사람에게 恐怖反應을 보였다. 이 차이는 統計的으로도 의의가 있었다. 그러므로 恐怖反應의 수준에 의의있는 차이가 인정되어 이 결과는 가설과 일치하지 않는다. 예언(3) 어머니가 接近할 때에 낯선사람이 好奇心의 對象이면 낯선사람과 같이 있을때보다도 幼兒혼자 있을때에 애착반응이 더 많이 나타날 것이다. 실험에 의하면 혼자 있을때 接近하는 어머니에 애착반응을 나타낸 幼兒는 19.8%이고 낯선사람과 같이 있을때 애착반응을 接近하는 어머니에 나타낸 幼兒는 63.5%로 나타났고 이 差異는 統計的으로 의의있는 結果이었다. 이 結果도 가설과 일치하지 않는다. 예언(4) 어머니가 接近하거나 낯선사람이 接近하거나 같은 정도의 接近反應이 나타날 것이다. Corter의 가설처럼 낯선사람에 대한 반응이 好奇心이면 어머니나 낯선사람에게 모두 接近反應이 나올 것이고 양자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恐怖反應은 누구에게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本 실험의 結果는 幼兒가 혼자 있을 때, 接近하는 어머니에 대해 幼兒들은 恐怖反應을 나타내지 않지만 낯선사람이 接近할때는 幼兒의 78%가 恐怖反應을 나타내었다. 이 差異는 統計的으로 의의있으며 가설과 어긋나는 결과이다. 또 어머니가 接近할때 애착반응을 나타낸 幼兒는 90.6%이고 낯선사람이 接近할때 애착반응을 나타낸 幼兒는 3.1%로 나타났고 이 差異는 統計的으로도 의의가 있었다. 이것도 예언과 반대되는 결과이며 가설과 어긋난다. Ⅲ. 幼兒의 낯가림有無와 대물애착현상과의 관계 A. 낯가림하는 幼兒 80명중에 대물애착을 나타내는 幼兒는 75%에 달하는 반면에 낯가림을 하지 않는 幼兒中에서 대물애착現象을 나타내는 幼兒는 25%에 달하며 幼兒가 낯가림을 하는 것과 대물애착現象과는 의의있는 상관을 보이고 있다. 낯가림을 하는 幼兒는 대물애착現象을 많이 나타내는 반면에 낯가림을 하지 않는 幼兒는 대물애착現象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B. 낯가림유무와 애착물을 찾는 時期와의 關係를 알아본 결과 낯가림하는 幼兒의 60%가 졸리울때나 놀 때 모두 애착물을 찾는 반면에 낯가림을 하지 않는 幼兒는 75%가 놀 때만 애착물을 찾았다.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상관이었다. Ⅳ. 기타 A. 낯가림하는 幼兒들 중의 45%가 家族의 크기가 3식구로 나타났고 낯가림 안하는 幼兒들 중의 62.5%가 5식구 이상 사는 家族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家族의 크기가 클수록 낯가림을 하지 않게 된다. B. 幼兒가 外出하는 回數가 많을수록 낯가림을 나타내는 率이 적었다. 낯가림을 하는 幼兒의 57.5%가 한달에 한번미만의 外出밖에 하지 않는 반면에 낯가림을 하는 幼兒의 25.0%가 한달에 5回以上의 外出을 하고 있었다. C. 出生順位가 첫째인 幼兒는 出生順位가 3째 이상인 幼兒보다도 낯가림의 發生率이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統計的으로 의의는 없었다. D. 낯가림을 하는 幼兒들은 存在行動을 보인다는 것이 56.2%인데 반해 낯가림을 하지 않는 幼兒들은 存在行動을 보인다는 것이 25.0%에 이르고 있었다. E. 낯가림 유무와 性別간의 差異는 없었다. 統計的으로 의의있는 差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Ⅴ. 論議 A. 정영숙(1976)은 낯가림이 가장 절정을 이루는 시기인 7~8個月에 65.5%의 幼兒가 낯가림現象을 일으킨다고 보고하였다. 本 硏究에서 실시한 실험방법에 의해서는 9個月된 幼兒의 91%가 낯가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제까지의 硏究에서와는 달리 낯가림은 모든 幼兒에게 결국은 한번씩은 나타난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또한 실험방법을 사용해서 낯가림의 年齡 趨勢를 決定하는 것이 可能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B. Corter(1973)의 硏究가 本 硏究의 結論과 상반되는 結論을 내리게된 것은 실험장면의 差異로 說明된다. 그의 실험장면은 어머니와 낯선사람은 가만히 있고, 幼兒가 選擇하여 따라가거나 안가거나의 紫楡가 있으므로, 보통의 상황에서와 같이, 또한 본 硏究의 상황에서와 같은 낯선사람이 接近할때의 강한 恐怖反應이 나오기 힘들다. 또 쳐다보는 反應을 好奇心으로 해석하는 것은 쳐다보는 反應의 일면만을 본 것이다. 쳐다보는 反應은 또한 약한 恐怖의 표시일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Corter의 資料속에도 낯가림이 恐怖라는 증거가 일부 있었으나 Corter는 이를 무시했다. C. 대물애착현상에 관한 過去硏究結果를 보면 정영숙(1976)과 서영숙(1976)은 그들의 硏究에서 幼兒의 낯가림과 대물애착현상간에는 關係가 없는 것으로 보고 하였으나 본 硏究에서는 낯가림이 없는 幼兒는 대물애착현상이 없고 낯가림이 있는 幼兒는 대물애착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本 硏究가 낯가림 유무를 실험적 方法을 통해 측정했고 또 年齡層도 극히 어린 幼兒만을 對象으로 했기 때문에 나온 차이로 보인다. 어떻든 本 硏究가 더 正確한 方法을 使用했으므로 本 硏究의 結果가 더 진실에 가깝다고 보아진다. 그러나 이 關係에도 의심이 가는 점이 없지않다. 모든 幼兒가 낯가림을 經驗하는 것이라면 낯가림이 있고 없고에 따른 幼兒의 分類는 일정한 年齡에만 타당한 것이 되고 따라서 이와 같은 상관관계도 그런 年齡層에만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영숙(1976)의 대물애착이 있는 아이중에서 낯가림이 있는 아이는 졸리울 때 애착물을 찾는다고 한 반면에 낯가림이 없는 아이는 혼자 있을 때 애착물을 찾는다는 결과는 본 硏究에서는 大體로 確認되었다. 그러나 이런 關係를 發見못한 서영숙(1976)의 結果와는 일치하지 않는다.;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by experimental method (1) to find out by the experimental method the developmental trend of Stranger anxiety in infants, (2) to test the Corter(1973)'s interpretation on hypothesis that stranger anxiety is not fear of a stranger, but only stronger attachment to the mother (3) to find out whether stranger anxiety in infants is correlated with object attachment, and (4)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on Stranger anxie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6 infants in four different groups, 24 of 5-months old male infants, 24 of 5-months old female infants, 24 of 9-months old male infants and 24 of 9-months old female infants. Each subsample was randomly collected from a population of infants found a residential area Each infant in all four groups was observ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1) approach of the mother to the baby when it is alone, (2) approach of the mother to the baby when it is with a stranger, (3) approach of a stranger to the baby when it is alone, and (4) approach of a stranger when it si with its mother. To each of all 24(4 !) possible sequences of the presentation of the conditions was assigned toan infant, a total of 9 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including to infant's approach responses to its mother, and fear responses to the stranger. The stranger was a female graduate student(the writer) who wore a pair of eye glasses to facilitate fear response from the infant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Ⅰ. Fear response to the stranger was observed in 71% of the infants 5 months old and in 91% of the 9 months old infants on increase of 20% over this age span. Ⅱ. The following predictions were tested which follows from Corter(1973)'s hypothesis that strange anxiety is really a stronger attachment to the mother and their infant's only response to a stranger is that of curiosity. Prediction (1) : An infant will not show fear response when approached by a stranger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lone or with its mother. When a stranger approached, 70% of the infants showed fear response. Prediction (2) : When a stranger approaches, there will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fear responses between when the infant is alone and when it is with its mother. Seventy-four % of the infants showed fear responses to a stranger when they were alone, while fourty-seven % showed fear responses when they were with their mothers. This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rediction (3) : When the mother approaches an infant will show more attachment response to the mother when it is alone than when it is with a stranger, since a stranger presumably elicits curiosity responses in an infant. When they were alone, 19.8% of the infants showed attachment responses to their approaching mothers, while, when with a stranger, 63.5% of them showed attachment responses. Again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on (4) : A stronger amount or at least equal amount of approach response will be observed to an approaching a stranger or mother, when an infant is alone, A infant will not show fear to either stimulus pers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ants made no fear responses to their approaching mother, but 78% of them made fear responses to the approaching stranger.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90.6% of the infants showed attachment responses to their approaching mother and while only 3.1% showed attachment responses to an approaching stranger. This differenc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 of the five predictions were not supported by the data. Ⅲ.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nger anxiety and object attachment. Seventy-five % of the 80 infants who showed stranger anxiety had some kinds of attachment object, while only 25% of the infants who did not displayed strange anxiety had attachment objects. From this result, it appears that the two are positively cor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nger anxiety and the time. When an infant seeks out attachment object most. Sixty % of the infants who showed stranger anxiety sought out attachment objects particularly when they felt sleep or while playing. However, 75% of those who did not show stranger anxiety sought out attachment objects only when they were playing.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Ⅳ. Other variables possibly related to stranger anxiety. Fourty-five % of the infants who showed stranger anxiety had families of size 3, while, 62.5% of those who did not show stranger anxiety had families of size 5 or more. The bigger the family size, the more an infant is likely to show anxiety. As the infant taken out by the parents more frequently, tend not to show stranger anxiety. Fifty-eight % of the infants who showed stranger anxiety were taken out once a month or fewer. On the other hand 25% of these who did not show strange anxiety were taken out one a month or fewer often. Though it was found that the first born infants tended to show strange anxiety a little more than the later born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se infants who showed strange anxiety, 75% of them showed dependency behaviors to their mother while-25% of those who did not show strange anxiety showed dependency behaviors. Incidence rate of strange anxie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exes although at each level the female group, tended to show a highly of proportion of infants showing strange anxiety. Young-Sook Chong(1976) reported that 65.5% of infants whose age ranged from 7 to 8 months showed strange anxiety(in this age bracket, strange anxiety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In this study which used an experimental method rather than on relying on mothers report on current status, 91% of 9 month old infants showed strange anxiety. This extremely high rate suggests that perhaps all infants at one time or another strange anxiety. Fu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n experimental method can be used to trace out, the developmental trend of strange anxiety. The different conclusions reached by this study and by Corter(1973)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n the latter study the mother and the stranger were in the fixed positions. Infants were free to follow, or not to follow, In the present of study, a stranger approached the infant, and furthermore the stranger wore a pair of eyeglasses, a stimulus which presumably triggers fear responses. Corter also interpreted "looking" as a curiosity response in most infants but there is evidence in the, study that looking is also a sign of weak fear. Earlier studies, namely Young-Sook Chong(1976)'s and Young-Sook Seo(1976)'s reported that strange anxiety is not related to object attachment in infants and children. This study, however, showed that strange anxiety is positive related to object in infants. This discrepancy in the results may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a wore accurate method(Experimental) was used to ass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range anxiety and that the sample was limited to young infant and did not include older children. In an earlier study of strange anxiety, Chong(1976) stated that infants who have strange anxiety want to keep their attachment object when they are sleepy, while those who without strange anxiety want to keep these objects when they are alone(p.54). This relationship was generally confirmed by the present study. Another earlier study(Seo, 1976) failed to confirm this relationshi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의 必要性 = 1 C. 硏究의 背景 = 4 Ⅱ. 硏究問題 = 13 Ⅲ. 硏究方法 = 18 A. 표집 = 18 B. 實驗資料 = 19 C. 實驗 = 23 Ⅳ. 結果 = 24 A. 낯가림의 發達趨勢 = 24 B. Corter의 가설 검증 = 28 C. 幼兒의 낯가림유무와 대물애착現象과 關係 = 35 D. 기타 = 37 Ⅴ. 論議 = 42 參考文獻 = 50 附錄 = 59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14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낯가림-
dc.subject대물애착현상-
dc.title幼兒의 낯가림의 性質에 關한 實驗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ATURE OF INFANT'S RESPONSE IN STRANGER ANXIETY SITUATIONS-
dc.format.page85 p. : 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7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