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6 Download: 0

物質과 非物質이 이루는 空間探究

Title
物質과 非物質이 이루는 空間探究
Other Titles
The Study on Space of Material and Immaterial
Authors
白勝淑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俊
Abstract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painting is not merely drawing a picture but making a work what is intended to present substance. This means that colours and forms on canvas are not means of expression what it is but the painting itself is getting possession of meaning as matters. Thus, we can find that the painting, in order to express itself as a being, has to be emphasized by possessed nature of materials.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spaces; (1) (1) Physical space which is occupied by the work of art; (2) formative space which is expressed by the work of art. As a foundation of formative space, there is a near and far technique which was developed in the Renaissance era. But the rationalism, supporting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has changed gradually the space of the fonmative arts. In this viewpoint, cubism, first time denied the near and far technique, dissociated the object and reorganized it with moving visual point and saw the facets through many different angles. However, the space of cubism is not a space of nature but a space to obtain an object. At the abstractionism like constructivism and neoplasticism, the formative space was changed to autonomous space which is not related to object of nature. At the abstract expressionism like action painting or 'informel', the painter thinks that drawing itself is more important than the work as a result of action, and putting the painter himself into the canvas. This kind of space is not meetinq with the painter like traditional way but penetrate each other between the space and painter. Traditionally, the formative space has divided into the painting space by illusion and the sculpture space by mass. However, in the modern tim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painting and sculpture because the painting also accepted the element of mass. Thus, I intend to study the formative space with having the physical space around the canvas drawing into the canv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space which is happened when the material and immaterial in our daily life are united. At the main part of this research,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examine the theories of Ben Nicholson who depends on visual response of happening on the canvas, Robert Ryman who emphasizes painting itself on the canvas with monochrome work, and Kandinsky who gives the meaning of symbolic colour that the colour influences directly on mentalit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used Josef Albers "Homage to the Square" of simple, value-free, firm-ness, and appropriateness, and the painters who are related to randomness. For the analysis of painting works, I investigate the formative space with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 In the conclusion, I tries to find my direction of modern painting and establishes the better outlook on the painting.;현대회화의 가장 큰 특징은 손으로 그리지 않는 그림, 즉, 제시하고자 하는 내용을 만드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린 작업의 내용은 화면에 등장된 색채 와 형태 는 그 자체 가 자율적의 미로서의 의미를 획득하는 것이 다. "여기서 우리는 회화가 하나의 존재로서 자신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자신이 획득한 物質注을 강조해야 한다는 側面을 발견하게 된다." 물질이 물질로서의 성 격을 지 널 때는 空間이 라는 개 딘도 함께 있는 것이다. 空間에는 미술작품이 차지하는 물리적 空間과, 작품이 표현하고 있는 조형적인 空間이 있다. 조형적인 空間의 기초로서 르네상스가 발명한 遠近法을 들수 있다. 그러나, 근대의 과학기술의 발달을 뒷받침하는 합리주의는 조형예술의 空間을 점차로 절화시켰다. 이러한 입장에서 원근법을 처음으로 부정한 것은 cubism으로서 대상을 해체하고 視點을 이동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본 면을 자유롭게 배합하여 채구성 하였다. 그러나, cubism의 空間은 자연의 室間이 아닌 대상을 붙잡기 위한 室間이었다. 추상표현 주의에서는 작자는 그린다는 행위자체를. 행위의 결과인 작품보다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작가 자신을 화면속에 투입시키는 것이다. 그린 空間은 종래와 같이 작가와 대면하는 것이 아니라, 空間과 작가가 서로 침투하는 상태가 된 것이다. 종래의 , 조형적 空間에는 illusion에 의한 緖晝室間과 질량에 의한 彫刻空間의 구분이 뚜렸이 이루어졌으나, 현대에와서 회화에도 질량적 요소가 도입됨으로써 회화, 조각의 구분이 애매하게 되었다. 이에, 본인은 canvas 주위의 물리적 空間을 canvas 안으로 끌어들여 조형적인 塗間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존재 해 있는 物質과 非物質과의 合이 이루어 졌을때 일어나는 현상, 이루어지는 현상적 空間을 연구하고자하는 것 이다. 본론에 서의 이른적 기반으로. 내용면에서는 화폭 위에서 일어나는 시각적인 반응에 의존한 Ben Nicholson과, canvas 화면 자체를 중요시하는 mo-nochrome 작업을 한 Robert Ryman, 色은 心性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상징적인 色의 의미를 부여한 Kandinsky의 이론을 연구하였고, 방법적으로는 단정하고도 감정이 섞이지 않는 확실성을 취함으로서 "사각형에의 경의 (Homage of the square)"를 그린 Josef Albers와 '우연성'과 관련된 작가들을 열구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분석에서도 이론과 실제를 결부시켜 그 종형적인 탐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인 작업의 앞으로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보다 나은 緖臺觀을 정립해 나가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