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吉弘-
dc.contributor.author문효정-
dc.creator문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55-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物理的 우주에 살지 않고 象徵的 우주에서 살고 있다. 즉 인간은 象徵을 통해 세계를 인식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造形藝術의 象徵的 가치를 연구하여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象徵的 表現을 위한 接近方法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단계별 과정과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주제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예술에 대한 상징적 가치의 인식 단계로서 첫째, 새로운 세계관과 동양사상에 의한 예술의 정신적 가치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상징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인간, 사회 그리고 記號學的 관점에서 기능을 파악하여 상징적 가치를 인식한다. 셋째,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서 건축의 象徵的 意味를 동서양의 공간 개념에 의한 고전건축과 근대건축, 현대건축으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ⅱ. 조형예술에서 상징적 표현을 위한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의 단계로서 첫째, 텍스트(text)의 의미를 연구하는 기호학의 구조와 체계를 파악하고 둘째, 기호학에 있어 기호의 조직원리를 파악하여 조형디자인에의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ⅲ. 연구된 접근방법에 의한 상징적 디자인의 기본단계로서 첫째, 미술관의 현황, 개념, 기능 등과 함께 미술관이 가져야 할 의미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기호학(semiotics)적 관점을 기초로 하여 작가의 자유로운 정신 세계의 산물인 작품과 관람자와의 만남을 1차적 의미(denotation)로 하며 동시에 분단된 한반도에서 남과 북의 자유로운 교류와 화합을 2차적 의미(connotation)로 표상(percept)하는 미술관을 계획한다. 셋째, 이러한 의미의 표현을 위하여 個體的이면서 동시에 相互作用에 의해 융합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陰陽思想을 유추(analogy)의 대상으로 삼는다. 넷째, 프로그래밍, 디자인, 종합 및 검토의 단계를 기본으로 각 단계마다 분석, 종합, 평가를 거쳐 진행해 나가도록 한다. ⅳ. 계획된 프로그래밍에 의한 디자인 단계로서 첫째, 디자인 개념에 의한 코드(code)의 선택과 둘째, 선택된 코드의 조합에 의한 형태 도출 셋째, 도출된 형태의 최종안을 확정하여 발전시킨다. 넷째, 최종적으로 제시된 모델에 대하여 의미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환경의 지원성(affordance) 측면에서 종합 평가하도록 한다. 또한 기흐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타당성과 디자인 계획에 있어 디자인의 의의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과 내용에 의한 연구 결론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세계관은 物的 가치보다 精神的 가치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예술에 있어서 표현된 정신적인 것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시켜주고 있다. 둘째, 상징은 可視的인 것을 통하여 觀念의 세계를 표현한다. 이러한 상징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의해 여과되어 심리적 연상에 의해 지각된다. 셋째, 상징은 의미작용(signification)과 의미전달(communication)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상징은 인간의 심리와 언어에 작용하며 사회적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여한다. 또한 문화에 있어서도 상징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의미작용의 역할을 한다. 넷째, 특히 예술에 있어 상징은 예술적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예술의 비관습화되고 심미적인 코드는 관람자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하여 자유로운 정신의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에 의한 의미창출은 상징에 의해 가능해지며 이러한 상징은 관람자의 정신활동을 자유롭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상징의 실천적 기능은 예술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건축조형에서 상징은 의미작용(signification)과 의미전달(communication)에 의해 환경에의 "지원성"(Affordance)을 갖는다. 또한 예술적 코드의 조합에 의한 택스트(text)의 창출은 공간조형을 예술적 차원으로 끌어 올린다. 여섯째, 디자인에서 이러한 상징성의 적용은 기호에 있어서 코드의 조직 원리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연구 내용을 다시 요약하델 조형예술에서 상징성은 예술의 정신적 가치를 지원함으로써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또한 공간디자인에서 상징은 환경의 지원성(affordance) 측면에서 기능적인 행태(behavior) 뿐만아니라 심리적인 연상 작용에 의해 상징적 수준의 의미를 지원한다. 즉 공간디자인의 상징성은 공간의 物的 요소를 더욱 예술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리며 동시에 상징적 의미는 환경에의 지원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21세기를 앞두고 기계론적 사고에 의한 근대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모더니티(new modernity) 운동은 人間과 環境 중심의 개념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인간성 회복과 함께 인간과 환경을 상호 유기적(organic)인 관계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즉 인간과 환경을 단편적인 측면에서가 아닌 총체적(Holism)인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인간과 환경은 효율적으로 공존할 수 있으리라 본다.;Man exists in a symbolic universe, not a physical universe. In other words, man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symbolism. The them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pproach method to pursue the symbolic expression in space desig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formative art through its research. The paper has arrived at the given conclusion through the following steps tha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ⅰ.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s theme in addition to the symbolic meaning of art: First, research on the spiritual value of art under Oriental thoughts and new paradigm; Second, recognition of symbolic values through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symbolism and its functions in connection with human beings, society and semiotics; Third, research on the symbolic meaning of architecture as a part of formative art, dividing it into classical,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s according to Oriental and Western concepts of space. ⅱ. The approach method to pursue the symbolic expression in formative art: First,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system of semiotics that studies the meaning of text; Second, study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formative design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signs in semiotics. ⅲ. The basic steps of the symbolic design through the researched approach method: First, research on the present concept, idea, function of art museums as well as the meaning of what an art museum should be; Second, planning of an art museum which denotatively is the meeting point of the works of the artist, which represent his free spirit, and the viewer, and which connotatively is the percept of the free exchanges and harmon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n a divided Korean peninsula; Third, in order to express this meaning, the philosophy of Yin Yang which fuses in itself the concept of individual yet mutual application is used as the analogy; and Fourth, analysis, synthesis and criticism of each step based on the procedure of programming, designing, synthesis and examination. ⅳ. The design according to the planned programming: First, selection of the codes from the design concept; Second, extraction of form from the mixture of the selected codes; Third, advancement of the final extracted form; and Fourth, final examination on the environmental affordance of the final model centering around its meaning in addition to its justification through the symbolic approach metho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the designer.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procedur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paradigm tends to lean toward de-materialization, placing importance on spiritual value rather than material. This trend gives a new recognition to the spiritual value that is expressed in art. Second, the concept of symbols expresses the world of concepts through what is visual. Such symbolism is filtered through socio-cultural factors and sensed through psychological associations. Third, the main functions of a symbol are signification and communication. These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psychology and language of human beings, contributing to mutual social interactions from the sociological point of view. Symbols in culture also play an important part in that it allows human beings to live more like humans. Fourth, especially in art, symbolism elevates the level of artistic value. The unique aesthetic code of art arouses the interest, thus inspiring active and free spiritual exercise. The creation of meaning according to this code is only possible through symbolism which frees the spihtual activities of the viewer. All this is possible through communication. Fifth, symbolism in architectural form contributes to the affordance of the environment through its symbolic significance and the communication of its meaning. The creation of the text from the mixed artistic code elevates space form into an artistic level. Sixth, such symbolic application in designing can be applied through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 sign code. In conclusion, symbolism in formative art contributes to elevating artistic value of art by supporting its spiritual value. In addition, symbolism in space design supports the meaning of symbolic standard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affordance through its function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association. Symbolism in space design transforms the material factors of the space into an artistic level and at the same time the symbolic meaning leads to the affordance of the environment. Approaching the 21st century, the new modernity movement, which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ost-modernism movement based on mechanical ideas, in essence pursues an idea based on man and his environment. In this type of setting, this study attempts to regain lost humanity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as one that is organic. In other words, by approaching the environment as a whole concept rather than partial, man and his environment can co-exist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0 목차 = i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Ⅱ. 조형예술에 있어서 상징성 = 5 1. 예술에 있어서 상징의 가치 재인식 = 5 2. 상징(symbol)의 개념 = 10 3. 상징(symbol)의 기능 = 20 4. 건축조형에 있어서 상징의 유형 = 35 Ⅲ. 상징적 디자인을 위한 기호학적 접근 = 51 1. 기호학에 관한 고찰 = 51 2. 조형예술과 코드 = 59 Ⅳ. 상징적 공간디자인을 위한 기본계획 = 71 1. 미술관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고찰 = 71 2. 디자인을 위한 기본계획 = 80 Ⅴ. 공간 디자인에의 적용 = 96 1. 디자인 연구 = 96 2. 디자인에의 적용 = 114 3. 종합 및 평가 = 126 Ⅵ. 結論 = 131 참고문헌 = 134 ABSTRACT = 1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892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造形藝術의 象徵性과 空間 디자인에서의 實驗的 適用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記號學的 觀點을 基礎로 하여-
dc.title.translatedThe Symbolism of Formative Art and a Case Study of the Experimental Appication of Space Design : Based on the Semiltic Perspective of Semiotics-
dc.format.pagexii, 1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