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무용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춤 언어 개발에 대한 고찰

Title
무용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춤 언어 개발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The Study of Dance Language in Dance Art Communication
Authors
최경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梅子
Abstract
본 논문은 예술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보는 예술의 정보기능화에 기반을 두고 이에 무용예술이 관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어떻게 표현하느냐? ' 에 대한 문제를 발신자 즉, 무용창작자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지난 80 년대 한국무용계의 새로운 쟝르로 태어난 '한국창작무용'은 질적·양적인 팽창이 있어 왔으며, "한국무용의 현대화" 작업을 꾸준히 시도해 오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새 시대 새로운 춤 언어의 개발의지를 수반하는 것이다. 무용의 메시지가 커뮤니케이션 순환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의 비언어적 표현수단인 신체라는 매체를 통한 춤 동작의 ‘ 언어화 ’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다. 춤의 '언어화' 는 무용이지닌 모호성, 불명확성으로 인해 추상적, 관념적인 몸짓에 지나지 않은 무의미한 몸동작이 아닌 표현수단인 신체라는 매체를 통한 춤 동작의 '언어화'에 촛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다. 출의 '언어화'는 무용이지닌 모호성, 불명확성으로 인해 추상적, 관념적인 몸짓에 지나지 않은 무의미한 몸동작이 아닌 보다 객관적이고 시각적인 이해가 용이한 동작의 도출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와 아울러 한국무용의 창작과정에 있어서 ‘춤언어 개발’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는데 그 촛점을 두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과정등 이론적 배경을 통해 예술의 전달적인 기능을 살펴보고, 무용예술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접목시켜 무용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기 위한 제요소를 통해 무용이 커뮤니케이션의 한 부류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Ⅲ장은 커뮤니케이션 사용되는 언어을 제외한 기호를 살펴보고 무용의 매체인 신체와 그 신체의 움직임이 비언어적 기호의 일종임을 증명하고 Ⅳ장은 무용창작자의 신체동작에 의거한 표현이론을 정리하고, V장에서는 ‘80 년대 새로운 쟝르로 대두된 ’한국창작무용'의 경향과 전통의 수용과 재창조, 춤의 언어화, 극장무용의 정착등으로 요약된 사항을 지적하여,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춤창작방향을 설정하고자한다. Ⅵ장에는 창단이래 10여년간 한국무용에 내재된 신명과 혼을 되살리고 전통적 기법을 토대로 전통을 재창조하고자 하는 신념하게 선보였던 『창무희』의 「사물」(1989), 「어디만치 왔니」(1988), 「활」(1989)등 세작품을 무용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모형을 이용해서 춤언어 개발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This thesis basing on the informing functionalization which takes art a sort of communication means, and thus for the lubr-icant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investigates the matter - HOW THE CHOREOGRAPHER EXPRESSES - with the dispacher, namelydance creater in the center of the matter. Korean Creative Dance which came to be a new jenre in the last 80's in both aspects of quality and quantity, and tried the work of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Such a trial shows the passionnate will of searching new dance language in new age. So as to pass through communicational rotation procedure, dance message should focus on the languagization of dance movement through the medium - body - which is nonverbal expressive means. Languagization of dance has the significance to produce. Not a meangless, abstact and ideal on account of vagueness and ambiguity of it but a more objective and theretical motion. In addition to this, this thesis tries focus on the importancece of searching dance language in creating procedure in Korean Dance. Priorly, in chapter Ⅱ, through the theorictical background inentification procedure and so on examins transmissive function of art, and grafts dance art into communication theory, tries to suggest that dance is a part of communication through circular procedure of dance communication and factors for dance communication. In chapter Ⅲ, this investigate signs of communication except language, and prove that both the body - medium of dance -and the movement of it are a sort of nonverbal signs. In chapter Ⅳ. simultaneously tries to arrange the expressive theory by physical movement. Chapter Ⅴ apoints serval points - ex: the acceptance and the recreation of tradition, the languagization of dance, the settlement of theatric dance and the tendance of Korean Creative Dance that appeared new jenre in 80's to suggest new direction of dance creation. Chapter Ⅵ analyses three works of Changmu Company which was organized about 10 years age, and for that time -'Samul' (1981),'Where we are' (1988), and 'Whal': the broadness (1989) - with the dance communication procedure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