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현대 섬유예술의 형성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 섬유예술의 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UPON THE FORMATION OF MODERN FIBER ART : BAUHAUS
Authors
朴殷美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敎 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鄭秉寬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 섬유예술(fiber art)의 원천이 되는 바우하우스(DasStaatliche Bauhaus, 1919-1933)에 대한 연구이다. 종합조형예술의 이념을 구현하고자 했던 바우하우스는 직물의 미적 실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운동이다. 이러한 의도에서 바우하우스 직조공방은 조형수업에서 양식상의 발전을 이루어 직물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이룸으로써 직물이 공예에서 ‘예술 형식’으로 전환을 이루는데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에서 애니 알버스(Anni Alvers, 1899- )는 바우하우스의 원리에 입각하여 예술로서의 섬유작품을 구성한 좋은 선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미술을 통해 강조되고 있는 조형요소들과의 관계에만 치우친 섬유예술에 대한 평가와는 달리, 바우하우스 직물에 나타난 특성을 양식적인 면으로 접근하여 바우하우스가 섬유예술의 전개과정에서 갖는 의미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한 의도하에서 본문 첫째 장은 섬유예술의 범주와 개념규정, 그리고 그 형성과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문 둘째 장은 바우하우스 직물의 형식과 특징을 그 내용으로 하고있다. 우선, 바우하우스 교육이념 및 과정을 알아본 다음, 이를 기점으로 전개된 바우하우스 직물의 양식상의 발전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그 대표적 작가라 할 수 있는 알버스의 작품과 저서를 통해 바우하우스가 현대 섬유예술의 형성에 기여한 바에 더욱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 세째 장은 바우하우스의 섬유예술사적 위치를 현대 섬유예술의 전개상황에 비추어 알아보았고, 실제보다 그 업적이 왜소하게 평가되었던 알버스의 위상을 재정립해 보는 것으로 마감했다. 이와같은 고찰로부터 필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결론으로 유도하고자 했다. 즉 바우하우스에서 발전된 조형양식은 알버스의 ‘회화적 직조(pictorial weaving)'를 선례로 계속되어져 하나의 예술쟝르로서 구체적인 평가가 내려졌던 1960년대에는 현대미술의 창조적인 실험들, 이른바 앙포르멜(Informel)이나 오브제미술과 같은 기타 조형요소들의 영향하에 재료가 주는 고유한 미적 특성으로 3차원적으로 형태 및 환경적 조형에 이르는 현대 섬유예술의 다양한 전개 상황에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This is a study in Bauhaus which has been the source of modern fiber art. Bauhaus pursuing embodiment of total plastic art was a movement which seeked to explore possibilities of aesthetic realization of textile. To this purpose, the Weaving Workshop in Bauhaus, by achieving stylistic development in plastic education and integrating art and technics in a new dimension of textil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conversion of textile from craft into 'art form'.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Anni Albers in particular, introduced an excellent model of composing fiber work as art based on disciplines of Bauhaus. In this light, the present paper aims at defining significance of Bauhaus in development of fiber art. It intends a stylistic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weaving in Bauhaus, apart from the previous understanding of fiber art that, through modern art, has emphasized mainly on the relationship with plastic elements. Chapter I reviews both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fiber art and its form ativeprocess. Chapter 2 deals with the form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extile of Bauhaus: first, the educational idea and curriculum of Bauhaus, in turn, stylistic development of its textile, which evolved from the formers. Subsequently, it attempts an exposition of contributive role of Bauhaus to the formation of modern fiber art, through works and writings of A. Albers who could be regarded as a representitive artist of Bauhaus textile. In chapter 3, the position of Bauhaus in fiber art history is ascertained in view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fiber art. Also, in this part, Albers's achievement is reviewed,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than what it should have been. The writer tries to derive the following conclusion as a possible elucidation: The plastic style which had originated from Bauhaus had continuously developed with Albers's pictorial weaving as an exemple. It had a concrete estimation as a seperate genre of art in 1960s, since then modern fiber art passed through creative experiments, which arrived at the three-dimensional forms and environmental construction, with proper aesthetic quality inherented in materials, under the influence of other plastic elements such as Informel or objet. The plastic style of Bauhaus, in conclusion, formed the basis of various phases of modern fiber art. In these respects, it has an historical signific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