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光玉-
dc.contributor.author신공범-
dc.creator신공범-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7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1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41-
dc.description.abstractA health surve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gene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five nursing colleges in Seoul. It was hoped that this information would help school adminstrators plan effective health care. In future these students will contribute to their family's health ca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th care programmes. This study involved 1,254 students ranging from freshmen to seniors and was carried out between July 14 and August 30, 1975. The instrument used was the Cornell Medioal Index for women, translated into korean. The investigation had the following specific objectives: 1) To ascerta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2) To analyse ths distribution of complaints in the sample group. 3) To analyse the distribution of complaints in the medical catagory. 4) To analyse the distribution of complaints in the psychiatric categ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rsing response was low in both medical and psychiatric complaints (38.28). The mean for medical complaints was 24.32 and for psychiatric complaints was 13.19. This group of nursing students reported a low level of medical symptom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udents' responses by year between the medical and psychiatric categories (F=1.5437, P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orence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by year (x^(2)=1310, degree of freedom=48, P=0.00l). 2, In the investigative sample, complaints were related to primarily to the digestive system and to inadequency, In the medical category, complaints were primarily related to the digestive system and the respiratory system. In the psychiatric category, complaInts were primarily related to inadequency and tension. Least cited by junior students were complaints related to the genitourinary system; students of other years claimed least complaints related to the respiratory system, In the psychiatric category, responses were primarily related to inadequency for all (중간원문누락) grades of students; the least number of responses was related to depression. 3. Within the medical category,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the digestive system and respiratory system complaints (r=0.5259, p=0.05), and between fatigability and frequency of illness (r=0.5015, P=0.05). In the psychiatric category,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sensitivity (r=0,5460, P=0.05). 4.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he combined cardiovascular system, fatigability and frequency of illness sections and the combined inadequency, depression, anxiety, sensitivity, anger and tension sections (r=0.4073, P=0.00l). 5. There was a Uni-Mode distribution of complaints in both the medical and psychiatric categories for the total sample of nursing students. It would appear that the Cornell Medical Index can be useful in discovering medical and psychiatric disturbances among groups of nursing college students.;간호대학 학생들의 건강상태를 파악 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5개대학 간호학과 1학년, 2학년, 3학년 및 4학년에 재학중인 1,254명을 대상으로 코오넬의학지수(Cornell Medical Index:이하 C.M.I.로 약칭한다)를 적용하여 1975년 7월14일 부터 1975년 8월30일에 걸쳐서 건강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가족의 건강은 물론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담당할 간호대학 학생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의 보건상의 문제를 아는 것은 물론 이들에 대한 건강관리면 뿐만 아니라 학교 보건 행정상 나아가서는 전체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자 M.I.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규명코저 하였다.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2. 조사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 3. 신체적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 4. 정신적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시내 간호대학 학생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항목의 추소의 평균은 38.28이었다. 신체적 추소(愁訴) 항목은 추소수의 평균은 24.32이었고 또한 정신적 추소(愁訴) 항목의 추소수의 평균은 13.96이었다. 학년별로 신체적 및 정신적 추소(愁訴) 척도의 평균 간에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추소(愁訴) 척도의 평균추소(愁訴)수간에 유의의 차이가 없었다( F = 1.543, P>0.05). 학년별 추소의 분포에서는 분포의 유의의 차이가 있어 (x^(2)=1310.94, 자유도 = 48, P<0.001) 추소(愁訴)의 분포가 달랐다. 2. 추소(愁訴) 항목의 최다 최소 내용은 전체 추소(愁訴) 내용 중에서 소화기계통(D), 호흡기계통(B)의 순서였고 신체적 추소(愁訴) 내용에서는 소화기계통(D), 생식비뇨기계통(H)의 순서였다. 정신적 추소(愁訴) 내용에서는 부적응(M), 긴장(R)의 순서였다. 학년별로는 신체적 추소(愁訴) 내용에서는 전 학년에서 소화기계통(D)에서 최다 추소(愁訴)수를 보였고, 최소 추소(愁訴)수는 3학년에서의 생식비뇨기계통(H)을 제외하고는 1학년, 2학년 및 4학년에서 호흡기계통(B)이었다. 정신적 추소(愁訴) 내용에서는 전 학년에서 부적응(M)이 최다 추소(愁訴)수였고, 억압(N)이 최소 추소(愁訴)수였다. 3. 추소(愁訴) 항목간의 상관성은 신체적 항목에서 소화기계통(D)과 신경계통(G) 항목에서 상관계수 r = 0.525(P<0.05)이었고, 피로도(I)와 질병의 빈도(J) 항목에서 상관계수 r = 0.501(P<0.05)로 각각 유의의 상관성이 있었다. 정신적 항목에서는 불안(O)과 민감(P) 항목에서 상관계수 r = 0.5460(P<0.05)로 유의의 상관성이 있었음을 보았다. 4. 심장혈관계통(C), 피로도(I), 질병의 빈도(J) 등의 항목과 부적응(M), 억압(N), 불안(O), 민감(P), 분노(Q), 긴장(R) 등의 항목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에서는 상관성이 매우 낮았다 ( r = 0.4073, P<0.001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4 A. 조사 대상자의 설정 = 4 B. 조사 방법 = 5 Ⅲ. 조사 결과 = 7 A.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7 B. 조사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의 분석 = 8 C. 신체적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의 분석 = 21 D. 정신적 항목의 추소(愁訴) 분포의 분석 = 25 Ⅳ. 고찰 = 28 Ⅴ. 결론 = 35 참고문헌 = 37 건강실태 조사표 = 39 - ABSTRACT -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64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코오넬 의학 지수(C. M. I)에 의한 간호대학생들의 건강실태에 관한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HEALTH SURVEY OF NURSING COLIEGE STUDENTS IN SEOUL, USING THE CORNELL MEDICAL INDEX-
dc.format.pagev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7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