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秦弘燮-
dc.contributor.author강순제-
dc.creator강순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7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1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4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flow of changes of the form of Korean kat, a characteristic Korean Headgear that existed from ancient times down to Yi Dynasty. Kat is presumed to have originated as a form of umbrella without a handgrip but with a suitable form to keep away rain and beat. The form explains why kat was more than just a status symbol but as a headgear of useful instrument. In ancient Koguryoˇ and Silla the form of kat of ancient times showed different styles which were later called pangrip(方笠) and peyanrip(蔽陽笠), which had existed earlier. These hat forms for the commoners were as civilian official hats for the purpose of protection from rain and heat, but a scarcity of date on the koryo period makes it impossible to find the exact system of how it wat first worn. But fortunatly, in Soˇkuˇng's Koryoˇdokyung(高麗圖經) a letter about the low class jookgoan(竹冠) was mentioned and this is supposed to be the old form of a wide-brimmed bamboo hat, which existed as a hat for the low class people during the early Koryoˇ period. Towards the end of the period Government officials and official servants(胥吏) wore pangrip form and in the 6th year of King Kongmin blue kat matched by black suit was worn in a gesture of independence from Won(元) Dynasty of China and in the 16th year of the King Kongmin a definite system of kat was established. Gradually, kat came to be systematized as a national use but on the whole, during the Koryoˇ period kat existed as two old forms which were handed down as a pangrip form(方笠型) which was prevalent from the last years of Koryo to the early Yi Dynasty changed to ripja(笠子) which again changed to a form whith a black laccuer coating (huˇkrip; 黑笠): therefore, huˇkrip came to be a typical form of Yi Dynasty's ripja. Pangrip, the common hat used by Government officials and official survants during Koryoˇ period, gradually disappeared util it was use only by mourners and farmers. During the Yi Dynasty kat became so commonly used that it was called hukrip which by this time was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forms which developed in it's own unious way. Peyangrip which had no additional lacouer coating was worn by the lower class while huˇkrip mainly worn the nobility became very sophisticate down to it's string. which was first made of cloth but toward the end of the Yi Dynasty, it became longer, and threaded with pieces of jade. As various materials appeared for the making of huˇkrip kat which was originally made for protection against rain and heat came to play a social role. Materials and ornaments varied wit the social class. As the time passed, the kat varied in shape: some had a high-top and some a low-top, and some were broad-brimmed and some narrow-brimmed, First discussion on the model of kat appear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ˇngjong. Curing the reign of King Soˇnjo the government encouraged the common people to wear a small Ming(明) Chinese cap instead of kat without success. Kat was a everyday hat worn by scholars and commoners except during the last period King Joongjong and period of King Sonjo, coming down to the last period of Yi Dynasty in high and broad-brimmed shape. During Koungheakun period junrip(전笠)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at became more popular; it became a military hat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oˇnjo junrip was also worn by commoners but mostly as a military hat until the end of Yi Dynasty. By the Daewonkun time a reform of the dress system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size of kat and with a breakdown of social class chilrip(漆笠) which hat been forbidden to the low class util then was permitted for them to wear. With the cultural reformation of 1894, which brought a new tide of western thought to Korea, kat gradually disappeared. Today we see the traces of kat seldom worn by an elderly rural country gentlemen. This reflects on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本 論文은 上古時代에 우리나라 固有의 관모로 인정되는 笠形의 冠帽에 對하여 朝鮮王朝 末期까지의 變遷을 한 줄기의 흐름으로써 파악하여 본 것이다. 笠이란 發生初期에는 그 形態가 우산과 비슷하나 손잡이(柄)가 없이 머리에 쓰게 되어있는 것으로 社會的 意義를 갖는 冠帽라기 보다는 그 自身의 形態가 말하여 주듯一種의 用具로서의 冠帽였다. 우리나라에 있어 上古時代 笠形의 冠帽는 高句麗와 新羅에서 그 類形이 散見되는 바, 이들은 後日의 方笠과 蔽陽笠의 2形態가 이미 存在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어 注目된다. 따라서 우리의 笠制는 上古時代에 이미 2系列로 存在하고 있었으리라는 추측을 可能하게 한다. 이러한 笠形의 冠帽는 當時에는 禦暑禦兩의 目的下에서 着用된 一般冠帽이었으리라 생각되는데 高麗代에는 資料의 貧弱함을 免할 수가 없어 初期의 着用狀態에 對한 정확한 制度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多幸히도 徐兢의 高麗圖經에 下庶人 冠帽로 竹冠이 나타나 있으니 이는 古形인 方笠形態의 笠으로 추측되는 바, 笠은 高麗初期에도 下庶人 冠帽로 存在하였던 것 같다. 또한 末期에 이르러는 官人과 胥吏간에 着用된 方笠과 恭愍王6年 自主性 모색으로 시도되었던 黑衣靑笠 및 同王16年에 具體的으로 制定된 黑笠등이 있으니 이러한 것등은 上代 笠形의 冠帽가 잘 墨守되어 온 결과라고 보아진다. 따라서 점차로 笠은 國俗으로써 制度化하기에 이르렀는데 文體的으로 보아서 高麗時代에는 上代의 古形을 이어온 方笠型과 蔽陽笠型이 共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高麗末에서 朝鮮王朝初에 이르러 확립된 笠의 形態는 蔽陽笠型인 바, 여기에서 笠子(後世의 갓)가 생겨나오고 다시 갓은 黑漆을 하여 黑笠이란 이름을 얻게되니 이것이 바로 朝鮮笠子의 定制가 되었다. 즉 高麗時代 官人과 胥吏의 通用 冠帽이던 方笠은 朝鮮王朝初에는 다만 胥吏階級에서만 着用하게 되었으니 後에는 胥吏계급에서도 이의 着用을 기피하게 되었으며, 壬辰亂 後에는 점차 사라져 드디어는 喪人의 쓰개나 農民의 삿갓에서 그 面貌를 찾아볼 수 밖에 없게 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朝鮮王朝代의 笠이라고 하면 黑笠을 가리킬 정도로 이의 着用은 一般化 되었으며 점차 材料나 裝飾에 多樣함을 보이며 獨自的인 發展을 하기에 이르렀다. 즉 加漆하지 않은 平凉子(蔽陽笠=黑笠의 原型)가 主로 下層階級에서 使用되고 있는 반면 黑笠은 主로 兩班들의 常着物이 되었으니 眞絲笠·馬尾笠등 高級笠子의 出現을 보게까지 되었다. 이에 따라 笠纓의 表想物로 등장함에 이르렀다. 따라서 원래의 禦暑禦兩用으로 出發한 笠은 그 용도를 달리하여 社交的 冠帽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材料나 修飾에는 階級에 따른 制限도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笠은 모양에 있어서도 無常한 變化를 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처음 논의가 된 것은 成宗大王代로 笠의 모양이 僧笠과 같으니 이를 改定하자고 한 것이 그 始初이다. 이후 變化는 그 大部分이 帽의 高低·?의 廣狹에 있었다. 또한 先祖大王代에는 庶人들에게는 갓 대신에 明의 小帽子를 쓰도록 한 庶人帽의 改革運動이 있었으나 國俗에 밀려 폐기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갓은 士庶 日常通用帽로써, 中宗大王 末期와 先祖大王 末年을 除外하고는 大體로 高帽·廣?의 모양으로 朝鮮王朝 末까지 이어 내려왔다. 또한 光海君代에는 國俗의 笠子와는 그 根源을 달리하는 胡服系統의 戰笠(氈笠)이 流行하여 仁祖代에는 士大夫사이에도 常着된 적이 있었으나 主로 武人의 制帽로써 甲午更張까지 着用되었다. 大院君代에 이르러는 衣冠制度의 簡素化와 함께 종래의 큰 갓은 작은 갓으로 그 變貌를 보이게 되었으며 奢侈의 表想物이었던 貝纓도 폐지되고 한때 대갓끈(竹纓)이 유행한 일도 있었으나 모든 衣冠文物이 西歐化의 물결 속에 開化運動과 더불어 變化하여 버렸으니 이로써 朝鮮王朝 五百年을 墨守되어온 笠制도 終末을 告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은 시골의 老人에게서나 가끔씩 그 잔재를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우리의 習俗은 많은 變化를 가져왔으니 自生的이라기 보다는 外勢에 몰리어 물러간 우리 服飾의 一面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Ⅰ. 序論 = 1 Ⅱ. 上古時代의 笠 = 7 A. 遺品을 通해 본 笠形冠帽의 모습 = 8 B. 文獻에 나타난 形態 = 14 Ⅲ. 高麗時代의 笠 = 19 A. 形態 = 21 B. 笠의 種類 및 着用狀態 = 23 Ⅳ. 朝鮮時代의 笠 = 36 A. 朝鮮王朝 笠制의 형성과정 = 36 B. 朝鮮王朝 笠子의 需用過程 = 40 C. 笠의 種類 = 51 D. 笠子의 着用樣態 = 72 E. 笠 모양의 變化 = 85 F. 笠子의 奢侈禁制 = 105 G. 笠子의 附屬物 = 113 Ⅴ. 結論 = 123 參考文獻 = 129 -ABSTRACT - =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65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韓國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hanges of the Form of the Korean Kat-
dc.format.pagexii,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7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