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인선-
dc.contributor.author장윤경-
dc.creator장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07-
dc.description.abstract데이트 상대에 의한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성문화 속에서 데이트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의 성폭력은 성폭력이 아닌 사랑의 행위 혹은 개인적인 성문제로 인식되어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있다. 데이트 성폭력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도 데이트 성폭력을 성폭력 범죄로 인식하지 못하는데 있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은 결과적으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데이트 성폭력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데이트 성폭력이 어느 정도로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데이트 성폭력의 피해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연구질문 1] 데이트 성폭력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질문 2]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대해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를 통한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들은 어떤 것인가? [연구질문 3]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성평등 의식, 폭력 허용도와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을 매개할 것인가?"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 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시기가 대학시절이라고 판단하여 서울 지역에 있는 대학교에 다니는 남녀 대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질문 1]과 관련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분산 등의 파악을 위한 기술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연구질문 2], [연구질문 3]과 관련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20.5%가 데이트 성폭력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 사회의 데이트 성폭력 실태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임을 알려주는 결과이다. 또한 이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되는 사례보다 높은 결과로 그 동안 데이트 성폭력의 숨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었다는 사실을 반증해 준다. 따라서 데이트 성폭력이 더 이상 데이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라는 사실을 인식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데이트 성폭력 피해자는 여성이 65.4%, 남성이 34.5%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의 일반 성폭력 실태에 비해 남성 피해자의 비율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트 성폭력의 특징으로 성적인 접촉이 허용된 친밀한 사이기 때문에 성별에 관계없이 피해의 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데이트 성폭력이 개인적인 성문제가 아니라 성폭력의 문제임을 인식시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셋째, 데이트 성폭력 피해 후유증으로는 '이성에 대한 불신'이 37.5%로 가장 많았고 대처하지 못한 이유로는 '상대방이 상처받을까봐', '내 잘못도 있어서', '헤어지게 될까봐'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피해자들이 데이트 성폭력 피해를 사회적인 문제가 아닌 개인적인 성문제 정도로 인식해서 나올 수 있는 결과로 추론된다. 그러므로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는 달리 데이트 성폭력 피해자에게 적절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 중에서 성평등 의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연령이 적을수록 높았다. 그리고 대학 입학 이전에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성평등 의식이 더 높았다. 또한 폭력 허용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덜 허용적이었고 대학입학 이전에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던 경우가 덜 허용적이었다. 반면 데이트 상대가 있을수록 폭력에 더 허용적이었다. 그리고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고 대학입학 이전의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을수록 더 높았다. 그리고 데이트 상대가 있을수록 인지도는 낮았다.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았으며, 대학 입학 이전의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 데이트 성폭력 피해를 또 다시 입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데이트 상대가 있는 경우에 데이트 성폭력을 성폭력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이전에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에 재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에서 성별이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직접효과를 갖는 동시에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에 간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평등 의식, 폭력 허용도는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직접효과는 없었으며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를 통한 간접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 성평등 의식과 폭력 허용도의 경우에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가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데이트 성폭력 피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성평등 의식을 향상시키고 폭력 허용도를 낮추고 그리고 성별에 따라 데이트 성폭력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는다. 첫째, 국내에 데이트 성폭력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데이트 성폭력에 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데이트 성폭력인 경우 명백히 성폭력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 그리고 일반인들도 성폭력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 사회에 데이트 성폭력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데이트 성폭력 피해 실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는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가 중요한 예측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가 형성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과 성평등 의식, 폭력 허용도에 대한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로는 본 연구의 결과가 데이트 성폭력에 대한 사회복지 개입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는 데이트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데이트 성폭력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법과 제도의 개선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확대하는데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Even though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increases, sexual violence from one, who is associated with dating relationship & lives in general sex culture, is considered love action or private sex problem, not recognized sexual violence & social problem. Thu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happens and factor influenc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by factor on the mediation effect of recognition degree about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To verify these, this study analyzed to 531 male & femal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university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by systematic questionnaire because of decision that university days are lively about dat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20.5% of responders took victimize. Secondly, the victimization actual state about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was shown that female victim was 65.4%, male victim was 34.5%. Thirdly, 'distrust about opposite sex' was the best aftermath (37.5%) and the reasons, which couldn't deal with, were that 'because date partner can take a hurt' or 'there was my fault' or 'because there was a possibility about breaking up with date partner'. Fourthly, female was higher than male and lower age was higher about consciousness of sex equality. And in case to people, who hav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before entering university, were higher about consciousness of sex equality. Male was more allowable than female about allowance degree of violence and in case to people, who hav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before entering university, were less allowable. But people having dating partner were more allowable. Female was higher than male and hav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was also higher about recognition degree about sexual violence from date partner. And having dating partner was lower about recognition degree. More female had victimization experience than male about sexual violence from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re was more possibility about that people, who had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before entering university, got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again. Fifth, the results were shown that consciousness of sex equality, allowance degree of violence didn't have direct-effect about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by using path analysis to find factor influencing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and did have indirect effect through recognition degree about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And sex distinction had direct-effect about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and indirect-effect about recognition degree about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among characteristic of social anthropology. In other words, recognition degree of sexual violence from dating partner do a role by mediation variable in cases, which are consciousness of sex equality & allowance degree of violence & sex distin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이론적 배경 = 7 A. 성폭력에 관한 이론 = 7 B. 성폭력과 데이트 성폭력의 개념 = 9 1. 성폭력의 개념 = 9 2. 성폭력의 연속선 개념 = 11 3. 데이트 성폭력의 개념 = 12 C. 데이트 성폭력에 관한 국외의 선행연구 = 14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모형과 연구질문 = 18 1. 연구 모형 = 18 2. 연구 질문 = 19 B. 연구 대상 = 20 C. 자료수집 방법과 절차 = 20 D. 주요 변수의 구성과 측정 = 21 1. 사회인구학적 특성 = 21 2. 성평등 의식 = 22 3. 폭력 허용도 = 22 4.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 = 23 5.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 = 24 E. 자료분석 방법 = 24 Ⅳ. 연구 결과 = 26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26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26 2. 조사대상자의 가정 환경 특성 = 29 3. 대학입학 이전의 성폭력 피해 경험 = 30 B.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적 분석 = 33 1. 성평등 의식 = 33 2. 폭력 허용도 = 35 3.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 = 37 4.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 = 39 C.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한 희귀부석 = 46 1. 매개변수인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6 2. 종속변수인 데이트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8 D. 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경로분석 = 49 Ⅴ. 결론 = 57 A. 연구 결과 = 57 B. 결론 = 63 C. 연구의 함의 = 66 D. 제언 = 67 참고 문헌 = 69 데이트 성폭력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지 = 76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483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데이트 성폭력 인지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ate rape experiences-
dc.format.pagex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