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맞벌이 부부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간의 역할전이

Title
맞벌이 부부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간의 역할전이
Other Titles
The multiple Roles Contagion of Dual Career Couple
Authors
황현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와 불안증, 복지감,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을 비교하였고, 역할전이의 두가지 개념인 개인내 역할전이 (role spillover) 모델과 배우자간 역할전이 (role crossover)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의 대기업이나 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176쌍의 부부로 30대가 주를 이뤘고, 대부분이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소지 하였으며, 가계 총소득이 230만원 정도로 비교적 젊고, 교육수준이 높고, 소득이 높은 집단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부분상관분석, t-test,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와 불안증, 복지감, 우울증 등 정신건강 척도들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모든 척도의 총점이 아내보다 남편이 높았고, 특히 직업만족도를 제외한 결혼만족도와 불안증, 복지감, 불안증, 등 정신건강 척도에서 남편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척도와의 관계를 볼 때, 남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남편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정신건강 척도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내의 사회인문학적 변인 중 취업동기와 취업자체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사회적 공헌 또는 자아실현을 위해 취업한 아내는 경제적 이유로 취업한 아내 보다 직업만족도와 복지감이 높았고, 또한 자신의 취업에 만족할수록 직업에 만족하고, 복지감이 높았다. 한편 아내가 직장에 근무한 기간이 길수록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개인내 역할전이 (role spillover) 관점에서 보면, 남편이든 아내든의 경우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가 서로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내 역할전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아내의 경우에는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배제했을 경우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아내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내의 개인내 역할전이는 아내의 가정환경 또는 직업환경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남편은 불안증이 낮아지고, 복지감이 높아지고, 우울증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편의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복지감이 높아지고, 우울중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남편의 복지감과 우울증에 미치는 남편의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은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더 컸다. 또한 아내가 결혼에 만족할수록 불안증이 낮아지고, 복지감이 높아지고, 우울증이 낮아졌다. 아내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아내의 복지감이 높아졌다. 복지감에 대한 아내의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 또한 결혼만족도가 더 컸다. 넷째, 배우자간 역할전이 (role crossover) 관점에서 볼 때,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남편의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아내의 직업만족도는 남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아내가 결혼에 만족할수록 남편은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에 만족하고, 아내가 직장생활에 만족하면 남편은 직장생활에 만족하였다.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아내의 결혼만족도, 불안증, 복지감과 우울증에 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직업만족도는 아내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남편이 결혼에 만족할수록 아내는 결혼에 만족하고, 정신건강도 좋았다. 또한 남편이 직업에 만족할수록 아내는 직업에 만족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아내의 취업동기와 취업에 대한 본인의 태도가 부부의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에 중요하며, 여성의 취업자체가 가정생활의 변화를 가져온다기 보다는 취업으로 인해 파생된 가정환경의 변화, 즉 자녀양육, 소득의 증가, 부부의 상호작용의 증감, 가사문제가 취업부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남편과 아내의 역할전이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서, 직업이 우리의 사회 규범상 남성과 여성에게 다르게 적용되고,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영성의 일은 결혼관계와 가정생활에 있어 부차적인 것이므로, 아내가 직장을 가졌다고 해서, 가정생활에서 역할을 줄일 수 없다. 사회는 기혼 취업 여성에게 여전히 주부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내의 이중부담으로써의 갈등이 증가할 것이며, 부부관계가 역동적인 것으로 볼 때, 남편에게도 영향을 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arit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husbands with those of wives, and to examine two types of stress contagion, spillover model and crossover model. Data are analyzed from a sample of 176 married dual career couple, and living in Seoul. S.P.S.S. program and SAS progr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partial cor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re higher than wiv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there is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but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2. The husbands' demographic variables were found to be no effect to the marital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husbands. Wives are lower in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if the wife participates in the labor market out economic necessity than if she participates by choice, employed wives who oppose their employment are lower in job satisfaction, if they oppose their employment than if the approve of the employment. 3. In the respect of spillover, spillover is observed for husbands and wives. Also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has effect on their anxiety,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husbands' job satisfaction affect their well-being and depressi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has effect on their anxiety,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wives' job satisfaction affect their well-being. 4. In the respect of role crossover, wives' marital satisfaction has effect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wives' job satisfaction affect husbands' job satisfaction. Also,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affect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xiety, well-being, and depression. And husbands' job satisfaction has effect on wives' job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