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崔雲植-
dc.contributor.author김 민-
dc.creator김 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4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ttempt to examine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al pattern of active leisure facilities at Kangnam-gu. For the convienience of the analysis the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then the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11 types : mineral spring resort, play ground, neighborhood park, swimming pooL gymnasium, bowling, pingpong, aerobic, golf practice, health, and billiard facilities.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statistical yearbook in 1993 and lists of registered facility at department of living physics of Kangnam-gu. The data of the density of facilities and the opportunity of facilities per facilities type and per region are analysed with the technology of GIS.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Location-Allocation model and the results of Interaction model is very high. Secondly, On comparing the density of facilities with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per eleven facility types, three discrete spatial patterns are found. The mineral spring resort facility type with the heighest un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is to be found. Play ground, neighborhood park, swinuning pool, gymnasium, bowling, pingpong, and aerobic facility types have the high un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The golf practice, health, and billiard facility types have spatially balanced density and opportunity of facility use. Thirdly, As comparing the density and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per 'dong' administration unit, the spatial patOOrn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facilities are different in density of the facility use and otherwise two are simular in the opportunity of the facility use. Fourthly, Patterns of facilities users have different charateristics based on facility use time, expense, residence, and access time and four regional patterns are to be user favorable, facility profitable, user unfavorable, and balanced.;본 연구는 강남구 지역의 활동여가시설 분포의 입지유형과 그에 따른 지역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GIS Network 기법을 활용하여 시설별·지역별 시설이용밀도와 시설이용기회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993년 강남구 통계연보와 강남구 생활체육과 시설등록업체 목록을 사용하였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배분모형과 중력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각 모형간에 분석결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1개의 시설 유형별로 시설의 이용밀도와 이용기회성을 비교시 3가지의 다른 형태률 보였는 데, 약수터형이 이용밀도와 기회성이 지역별로 편중됨이 매우 크고 운동장형, 공원형, 수영장형, 체육도장형, 볼링장형, 탁구장형, 미용체 조장형은 지역별로 다소 치우치고 골프연습장형, 체력단련장형, 당구장형은 거의 치우침이 없이 고르게 나타났다. 세째, 공공시설과 민간시설별로 비교한 결과, 시설이용밀도는 지역별로 서로 상반되어 공공시설의 시설이용밀도가 높으면 민간시설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시설이용기회성은 지역별로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이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네째, 동별로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에 대해 비교했을 때 시설이용밀도는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의 분포가 매우 상이하고 이용기회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설이용시간, 부대비용, 거주지, 연령, 접근시간에 있어서 유형별로 시설이 분류되었다. 여섯째, 강남구의 시설이용밀도와 시설이용기회성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유형을 이용자 유리형, 시설 유리형, 균형형, 사용자 불리형으로 구분한 후 강남구 내 동별 지역을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설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여가시설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시설물의 분포와 입지방안에 대해 도로망과 같은 실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써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시설물의 유인력과 이용자의 유출력이 지역별로 거의 유사하여 유인력과 유출력에 대해 모든 지역이 동일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출발했으나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지역에 대해서 시설물의 분포와 입지방안에 연구하고자할 경우 유인력과 유출력을 정량화할 수 있는 기준이 제시되면 더욱 타당성있는 연구가 되리라고 본다. 세째, 시설물 입지 선정, 분포의 적절성과 같은 지역연구를 실용화가 가능하게끔 하여 지역내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공간이용 형태를 파악하고 해석하도록 해주며, 어떻게 공간구조가 바뀌게 되는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 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2 Ⅱ. 활동여가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0 Ⅲ. 연구지역의 개관 = 15 A. 지리적 개관 = 15 B. 활동여가시설의 분포 = 19 Ⅳ. 활동여가시설의 배치에 대한 분석 = 22 A. 시설이용밀도와 시설이용기회성 분석 = 22 B. 공공/민간시설간 시설이용밀도와 시설이용기회성 평가 = 48 Ⅴ. 시설유형에 따른 지형유형 분석 = 52 A. 시설유형별 이용자 특성 분석 = 52 B. 시설유형별 특성에 의한 지역유형 분석 = 53 Ⅵ. 요약 및 결론 = 56 參考文獻 = 58 부록 = 61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38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江南區 活動餘暇施設의 立地類型과 地域類型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ocational and regional pattern of active leisure facilities at Kangnam-gu, Seoul-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