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어머니역할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어머니역할 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uthors
오윤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하영수
Abstract
여성이 처음으로 부모가 된다는 사실은 성인기 사회화 과정의 단계에서 겪게되는 하나의 정상적인 생활사건이며, 사회화 과정의 중요한 역할의 하나인 부모 역할을 맡게 되는 역할전관의 시기이기도 하다. 어머니 역할은 학습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어머니로서의 정체감 확립이며(Rubin 1967a, 1967b), 어머니 역할 획득은 그 정체감에 알맞는 행동을 통합시켜 어머니 역할을 원만히 수행하는 것이다(Mercer 1981).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는 어머니 역할획득과 조정에 중요한 요인들이다(Mercer 1981; Lederman, Weigarten, and Lederaan, 1981; Bobak & Jensen 1985). 최근 제왕절개수술의 빈도는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김석중외 1987; 조미영 1988). 이에 따라 제왕절개수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특히 제왕절개수술을 받은 산모와 가족의 정신적인 안녕에 대한 전문적 관심이 증가되었다(Donovan & Allen 1977).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 초산모를 대상으로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고,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제왕절개술 초산모에게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며, 제왕절개술 초산모와 어머니 역할수행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및 모아간호향상에 지침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1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에 입원중이고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실시하고 있는 제왕절개술 분만후 5일째인 초산모 6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질문지법을 이용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1994년 2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였다. 연구도구는 Lederman, Weigarten, and Lederman(1981)의 모성기 발달과업 대처능력에 대한 자신감 측정도구(이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측정도구, 1992)와 모성기 및 영아양육에 대한 만족도 측정도구(이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 측정도구, 1992)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는 보동보다 약간 높았다(평균 2.72점, 1.90-3.28의 범위, 최소 1점에서 최고 4점까지 Likert식 평정격도). 문항별로 보면, '지금보다 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다'(평균 3.28점). '아기에 대한 나의 인내심에는 한계가 있다(역환산 문항)'(평균 3.26점), '내가 좋은 엄마인지 아닌지에 관해 의심스럽다(역환산 문항)'(평균 3.15점)둥 어머니로서의 자질이나 마음가짐 등 정서적 측면에서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신감은 상당히 높은 반면, '나의 아기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알고 있다'(평균 1.90점), '대부분의 경우에 아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평균 2.06), '아기가 울면 나는 아기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안다'(평균 2.17점)등 영아의 욕구파악, 영아의 행동에 대한 이해, 그리고 영아 양육 능력 및 판단력 같은 실제적 흑은 기계적 측면에서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신감은 낮은 편이었다. 2. 연구대상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 정도는 상당히 높았다(평균 3.41점, 2.85-3.85의 범위, 최소 1점에서 최고 4점의 Likert식 평정척도로 측정). 문항별로 보면, '나는 지금 이 아기를 가진 것이 기쁘다'(평균 3.85점), '아기에게 우유나 젖을 먹인다는 것은 나에게 만족감을 준다'(평균 3.60), '아기를 돌보는 것과 같이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이 싫증난다(역환산 문항)'(평균 3.57점)등 어머니가 된 사실이나 영아양육에 대한 만족은 상당히 높은 반면, '어머니로서 너무 많은 책임을 갖게 된 것이 당황스럽다(역환산 문항)'(평균 2.85점), '어머니로서 나에게 주어진 많은 요구들이 부담스럽다(역환산 문항)'(평균 3.10점)등 어머니로서 주어지는 역할책임과 요구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연령, 학력, 종교, 직업유무, 월수입, 가족형태, 산후조력자, 결혼만족도, 육아경험, 신생아 성별, 원하는 임신여부등)과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직업유무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 정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 = 11.17, p < 0.01). 즉 직업이 없는 대상자의 경우(평균 3.54점), 직업을 가진 대상자보다 (평균 3.19)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5.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감 정도가 높았고, 또한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r = 0.64, p < 0.000). 본 연구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위해 계속적인 다변수간의 관계연구가 필요하다. 2.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의 모색과 간호전략 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wa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maternity nursing and the development of maternity nurs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planning to breast feed after cesarean section delivery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Febrary 1 to March 20, 1994 by means of questionnaires. Lederman et al's(1981) scale for Confidence in ability to cope with tasks of motherhood and Lederman et al's(1981) scale for Mothers' satisfaction with motherhood and infant care were used to measur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ese instruments were translated and used by Lee(1992). The tools to measur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his maternal role performanc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83 and 0.87.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in S.P.S.S. Computerized programs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ic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was above average with a mean score of 2.74 (range 1.90-3.28). Out of 14 items, the highest mean score was 'I would like to be a better mother than I am'(3.28). And the lowest mean score was 'I know what my baby like and doesn't like'(1.90). 2.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was high with a mean score of 3.41 (range 2.85-3.85). Out of 12 items, the highest mean score was 'I am glad I had this baby now'(3.85). And the lowest mean score was 'I am upset about having too many responsibilities as a mother'(2.85). 3. There was no significant value between the subject's general variables(age, educational backgroud, job, economic state, helper after delivery, marriage satisfaction et al) and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p > 0.05). 4. There was significant value between the subject's having a job or not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 = 11.17, p < 0.01). The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who did not have a job have mor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an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who did have a job. 5. The higher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r = 0.64, p < 0.000). This study showed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Futher research is suggested to discover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to discover more efficient nursing intervensions and nursing strategy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cesarean section primiparous mothers'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