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2 Download: 0

이조시대의 기하학적 문양의 조형적 연구

Title
이조시대의 기하학적 문양의 조형적 연구
Authors
김창신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白泰昊
Abstract
본 논문은 이조시대의 떡살, 능화판, 금박문에 나타나 있는 기하학적 문양을 통하여 민족적 정서와 사고를 간취(看取) 함은 물론 이조시대의 생활양식을 이해하고 전통문양의 기술성, 역사성, 사회성 등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전통의 의의를 인식하고저 한다. 또한 외래문양을 우리의 것으로 소화흡수하여 새로운 전통문양 창조에 보탬이 되고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기하학적 문양의 의의를 알고 떡살, 능화판, 금박문은 어떤 것인지 알아본다. 아울러 목각의 제작과 기법도 알아본다. 2. 기하학적 문양을 점문양, 선문양, 만자문(萬字紋), 태극문, 뇌문(雷紋), 아자문(亞字紋), 문자문(文字紋) 등으로 분류하여 이들을 도자기떡살과 목재떡살로 다시 분류하였다. 3. 주문(主紋)과 지문(地紋)의 주·종(主·從)관계에서 목재떡살, 능화판, 금박문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알아본다. 4. 떡살, 능화판, 금박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자문양중 다양성 있는 수(壽)의 양식화과정을 살펴 보았다. 이와같이 전체적인 문양의 분류에서 볼때 기하학적 문양은 어느 의미에서는 어느 시대의 특정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문양문화를 시작한 이후 전시대적(全時代的)인 것으로 대체로 우리나라의 기하학적 문양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우리의 풍토에 맞게 재창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자기떡살의 기하형은 간단한 선의 구성이 대부분으로 선이 거칠고 어수룩한데서 오는 단순 소박한 서민적인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목재떡살은 선의 방향, 장단, 반복, 주문과 지문의 대조등 무상한 변화와 짜임새 있는 조화를 느낄 수 있다. 목재떡살은 도자기떡살에 비해 섬세하고 정돈된 선이긴 하지만 선의 굵기가 불규칙하면서 균형미가 있는 소박함이 곧 한국적인 멋이라 생각한다. 능화판은 매우 섬세한 것으로 사격자문(斜格子紋)이 많으며 지문의 기하학적 문양과 사실적인 주문이 대비적 조화를 이루고 있다. 금박문에 나타난 아자문은 선의 방향·굵기·간격·반복에 따라 변화있는 장식성을 내포하여 대문(帶紋)으로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이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수(壽)의 양식화과정에서 볼때 상. 하. 좌. 우 대칭의 균형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수(壽)의 양식화과정에서 이조인들의 오래 살고자 하는 기구(祈求)가 가장 강하지 않았나 생각하며 이런 인간의 기구를 생활용구에 새겨 주술적(呪術的) 효과를 기대한 승화된 감정을 우리는 느낄 수 있다. 이런 문양들이 한국적인 상징과 전통으로서의 양식의 정립을 위한 연구개발이 있어야겠으며 이것이 이루어졌을때 새로운 전통문양이 형성되리라고 생각된다.;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research the technical, historical and social aspects of geometric patterns exhibited on rice-cake mould(ddok-sal), diaper pattern block(nungwhapan) and golden foil pattern(Kumbak-man) manufactured. in Yi Dynasty in order to perceive the traditional mode of living and emotional thinking of Yi Dynasty and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our own patterns. It is also an attempt to absorb and make ours of foreign patterns and to create new ones peculiar to our country. 1. The meanings of geometric patterns as well as rice-cake mould, diaper pattern block and golden foil pattern are studie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wood carving are researched. 2. Geometric pattern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dot pattern, line pattern swastika pattern symbol of the Great Absolute pattern(taegug-mun) frst pattern symbol of character pattern and letter pattern. pocelain rice-cake moulds and wooden rice-cake moulds are classified in the above mentioned categories. 3. The theme patterns and the background patterns are analyzed to study the interconnection and. match through, wooden rice-cake moulds, diaper pattern 'blocks and. golden foil patterns. 4. Patterns of character denoting longevity that have many forms of variaties and appear frequently in rice-cake moulds, diaper pattern blocks and golden foil patterns are investigated, to find. to find. out the conventionalizing procedure. Judging from these classifications, geometric patterns are in a sense not subject to a certain age but to all ages from the time culture of pat-terne are commenced. Geometric patterns of oar country are generally recreated to harmonize with our climate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Geometric patterns on pocelain rice-cake moulds consist mostly of combination of lines that are rough and loose but have a humble taste of simplicity and those on wooden rice-cake moulds have a great amount of variaties as well as harmonious combinations in directions, length and repitition of lines and contrast of theme patterns with background patterns. Lines in patterns of wooden rice-cake moulds are delicate and in order compared with those of porcelain rice-cake moulds but have simplicity and artlessness, which can be defined as Korean elegance, coming from balance of irregularity. Diaper pattern blocks are very fine and most of them are lattice pattern. G대metric background patterns and realistic theme patterns are in good harmony of contrast. Symbol of character patterns appeared frequently in golden foil patterns have a variaty of ornamentations in direction, thickness, spacing and repitition of lines and nowadays may have great advantage of utilization as a combined patterns in the form of belt. Character denoting longevity patterns are conventionalized in good harmony of symmetry that indicate a strong desire of longevity nested in people's mind of Yi Dynasty. This would represent the sublimate emotion to expect the incantatory effects on man's desire that could be arised from using of tools engraved it in real life.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evelop these patterns to stand strong position as a symbol and tradition of Korea and, as a result, our new culture of patterns can be establis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