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규성-
dc.contributor.author강지연-
dc.creator강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3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00-
dc.description.abstractHistorically, viewed from functional aspect, art, not being able to obtain its own definition in the social specialization system, was characterized by covering all professional areas of human life. That is, function of communication and interchange among humans(language), function of organizing activities of human society(morality, religion, law and politics), function of knowing objective law of the world(science), function of developing human body(sports), all of these functions existed within art. As the social specialization developed, those functions of art were differentiated. But uniquely, art continued to be regarded as substitute for other activities. Function of art is emphasized when the ruling party which wants to win justice of its governance tries to internalize its intending value as the universal value of the whole society. Art, influencing emotion related to desires which give basic power to human behavior, can draw valuntary social accordance. Within this context, art is not merely considered a speculative pleasure-giving object. We can find evidences of art's not being a mere means of pleasure in ancient China. In China, from acient times, a synthesis of not particulized art including poetry, song, and dancing has been called 'music'. This kind of music, related to politeness, was termed as 'politeness-music'. And politeness-music theory was produced by the combination of Confucianist philosophy and aesthetics, which utilized art as political means. Confucianists ranked society according to hierarchy by means of polieness on the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y tried to harmonize discriminated classes through music. Furthermore, by connecting the ground of politeness-music with order of the universe for social ethics, they tried to justify their ruling. It was Hsi-Ka′ng, the Taoist thinker of the Wei-Jin Era who penetrated Confucianists' intention and rose in revolt against them. Through 'music has in it neither grief nor joy', Hsi-Ka′ng criticized Confucianists logically from their ontological basis who intended to make human being reign over nature by establishing and eternizing the governing order. According to Hsi-Ka′ng, there must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subjective value system of human being and objective factual world of nature. Hsi-Ka′ng, who stressed that nature exists of itself not being tainted by any human value, thought human being has no right to govern and dye nature with human value system. Rather, human being is only a part of nature. Human being can feel the supreme joy only when s/he obtain characterictics of nature. For specific debate about Hsi-Ka′ng's critical spirit and naturalism, the standard of his criticism, I will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spirit of Taoism and naturalism. It is the basic aim of this thesis to explain that the motto of naturalism held by Taoists cannot be understood just by denying human society, and to clarify that naturalism of Taoist has positive socio-critical characteristics. The formation process of a philosopher's thought and its status are clearly embossed when its background is illuminated. In Chapter 2, I examine the xu′anxu′e, which is the origin of Hsi-Ka′ng's philosophy, and artistic spirit which flourished in the Wei-Jin Era. The Wei-Jin Era was a period of a fundamental change in the tradition of Chinese thought, a change which was caused by the invers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fucianism and Taoism. As the result of that change, Taoism became the mainstream whereas Confucianism degraded to subordinate current. Hsi-Ka′ng's music theory made possible in this context. Especially debate in xu′anxu′e, the discussion on nature and morality had great influence on Hsi-Ka′ng's music theory.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status of Hsi-Ka′ng's philosophy introducing these arguments. The genuine debate of this thesis is carried out in Chapter 3. In Chapter 3, I describe Hsi-Ka′ng's critical spirit shown in 'music has in it neither grief nor joy'. For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o prior work inspecting Conficianist politeness-music theory which Hsi-Ka′ng intended to criticize and overcome. Focusing on the point related to Hsi-Ka′ng's criticism, I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Confucianist politeness-music theory and its essential claim, 'music has in it grief and joy'. Hsi-Ka′ng's critical work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of recov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music itself through new music theory, 'music has in it neither grief nor joy', instead of old theory, which emphasized the social utility of music. Due to Hsi-Ka′ng's keen criticism and new music theory, art can establish its position on the higher spot. Then, what is the theoretical base of 'music has in it neither grief nor joy'? In Chapter 4, I inspect Hsi-Ka′ng's naturalism, which intended to obtain harmony, the innate nature of music itself through the distinction of objective natural world and subjective human world. According to him, music is originated from nature, its main body, and harmony and discord of certain sound do not come from human value judgment of good and bad. Sound, based on nature which has reconciliation as its characteristic, transcends love and hate, care and joy caused by human social life. By Hsi-Ka′ng's distinction between value system of human society and real world of nature, music can have its original ground, nature, not being subordinated to human society and emotions. Therefore, music comes to have its own purposive value, not being used as a means of governance. In fact, after the Wei-Jin Era, art became acknowledged as natural value as well as substantial value. And art theory, including music theory, could gain its own area separated from philosophy. Besides, as music placed its ground on authority of natural world, individuals could obtain locations for extending their freedom beyond the boundary of their world and its intending value. But human natural desire for freedom cannot be realized by casting off the yoke of human actual condition, that is, being a social existence. Hsi-Ka′ng directly suggested supreme joy which is possible by overcoming the moral law of right-wrong judgment, and searched critical alternative to present society. The ideal world he ardently extolled is a place where Tao, the universal value and human being can be united, and where pursuing of supreme beauty corresponds to pursuing of supreme goodness. In this thesis, through the analysis of Hsi-Ka′ng's 'music has in it neither grief nor joy', the first full-scale aesthetic theory in China, I intend to reveal Hsi-Ka′ng's criticism of Confucianist 'politeness-music theory', which subordinates aesthetic consciousness to ethical consciousness, and try to show the practical na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naturalism, Hsi-Ka′ng's ontological base.;역사적으로 예술은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사회적 분업의 체계 속에서 고유한 규정성을 획득하기 보다는 대부분 인간 삶의 모든 전문 영역들에서 항상 수행되는 활동들을 나름의 성격으로서 지니고 있었다. 즉 인간 간의 의사소통과 교환의 기능(언어), 인간 사회의 조직적 활동의 기능(종교, 법, 정치), 그것에 필요한 가치체계를 형성하는 기능(도덕, 윤리 규범 등), 세계의 객관적 법칙에 대한 인식의 기능(과학), 인간의 신체적 발전 기능(스포츠) 등의 성격이 예술 안에 모두 존재했다. 그런데 사회적 분업이 발전하면서 예술에서 위의 기능들은 분화되어 나왔지만 여전히 예술에는 여타의 활동 형식들의 대역자(代役者)라는 성격이 독특하게 지속되었다. 예술의 기능은 통치의 정당성을 획득하려는 사회 집단이 자신이 의도하는 가치를 전 사회적인 보편적 가치로서 내재화시키려 할 때에도 부각된다. 예술은 인간의 행동에 원초적 동력을 줄 수 있는 욕망과 밀접한 감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발적인 사회적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은 단순히 관조적인 즐거움을 주는 대상으로만 여겨지지 않게 된다. 고대중국에서는 여가를 활용하는 즐거움 자체를 예술의 목적으로 보지 않았다는 실례가 곳곳에서 확인된다.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시와 노래, 무용을 포괄하는 일종의 미분화된 예술의 종합체를 '樂'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악은 禮와 결부되어 '禮樂'이라는 전문적인 용어를 형성하였는데, 예술을 정치의 수단으로 활용한 유가의 철학과 미학이 한 데 어우러져 형성된 것이 예악론으로 자리잡았다. 유가는 禮로써 사회계층의 서열화를 이루는 한편, 樂으로써 차별화된 계층 간의 화합을 도모하려 하였다. 나아가 사회윤리적 기능을 위해 그들이 창출한 예악의 근본을 우주질서와 결부시킨으로써, 자신의 지배명분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가의 의도를 날카롭게 간파하고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던 사상가가 魏晋시대의 道家 사상가 혜강이다. 혜강은 聲無哀樂論을 통해, 지배계층의 의지를 天의 뜻에 실어 지배질서를 확립하고 영구화하면서 인간을 자연 위에 군림시키려 하였던 유가를 그 존재론적 기반에서부터 논리적으로 비판한다. 혜강에 의하면, 인간의 주관적인 가치 체계와 자연의 객관적인 사실 세계는 명확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자연 세계는 어떠한 인간의 가치도 포함하지 않는 그 자체임을 역설하는 그에게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고 자연을 가치로 채색할 수 있는 아무런 자격도 지니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은 자연에 속해있는 존재일 따름이다. 자연의 본성을 체득할 때에만 인간은 진정한 즐거움(至樂)에서 노닐게 된다. 혜강의 유가에 대한 비판정신과 그 비판기준인 자연주의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도가의 비판정신과 자연주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일에서부터 논의를 풀어가고자 한다. 도가가 내거는 자연주의의 기치는 단순히 인간사회를 부정하는 것으로서 이해할 수 없고, 적극적인 사회비판적 성격을 함의함을 해명하는 것은 본 논문의 기본적 작업이다. 한 철학자의 사상 형성과정과 사상적 위치는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배경을 올바르게 규명할 때 선명하게 부각된다. 제 2장에서는 혜강의 철학을 배태한 현학사상과 함께 예술 정신이 본격적으로 꽃핀 위진시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위진시대는 기존의 유가와 도가의 관계가 전도되어, 도가사상이 주류가 되고 유가사상은 지엽적인 것이 되어 중국사상의 흐름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던 전환의 시기였다. 혜강의 자연주의적 악론은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가능하였다. 특별히 현학사상의 自然과 名敎의 論爭은 혜강의 악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이 현학 논쟁들을 소개하면서 현학 사조안에서 혜강의 위치를 점검해 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의 본격적인 논의는 제 3장에서부터 이루어진다. 제 3장에서는 『聲無哀樂論』에 드러난 혜강의 비판정신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혜강이 비판하고 극복하고자 의도하였던 유가의 예악론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선행작업이 요구된다. 여기에서는 유가 예악론의 체계 형성과정과 '聲有哀樂'이라는 핵심주장을 검토한다. 혜강의 비판작업은 '聲無哀樂'이라는 새로운 악론을 통해, 음악의 사회적 효용성을 중심에 놓는 기존의 악론대신에 음악 자체의 존재의의를 회복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혜강의 날카로운 비판과 새로운 악론에 힘입어 예술은 이제 한 차원 높은 지점에서 그 위상을 정립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성무애락론의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 제 4장에서는 객관적인 자연세계와 주관적인 인간의 가치세계의 구별을 통해서 음악 자체의 내재적 본질인 和(자연 고유의 조화로움)를 확보하고자 의도한 혜강의 자연주의를 살펴본다. 그에 의하면, 음악은 자연이라는 본체에 근원하며, 어떤 성음의 和와 不和는 인간의 善과 不善의 가치 판단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본성상 화해라는 성격을 지닌 자연에 근원한 소리는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생기는 사랑과 증오, 근심과 기쁨을 초월하기 때문이다. 혜강이 인간사회의 가치제계와 자연의 사실세계를 구분함으로써, 음악은 인간사회와 인간의 감정에 근원을 두지않고 자연이라는 독자적인 근거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 때 음악 예술은 단지 통치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목적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실제로 위진 시대 혜강 이후부터 예술이 자연적 가치이자 본질적 가치로서 인정되면서 음악론을 비롯한 예술론은 철학과 구분되어 나름의 영역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음악이 자연세계의 권위에 자신의 근거를 둠에 따라, 개인은 자신의 자유를 집단세계와 그 세계가 지향하는 가치를 넘어선 경계까지 확장할 수 있는 입지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자유롭고자 하는 인간의 본연의 욕구는 사회적 존재라는 인간의 현실적 조건을 떠나서 구현될 수 없다. 혜강은 기존의 시비판단이라는 도덕법칙을 넘어서야 가능한 궁극적인 즐거움(至樂)을 정면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현실사회에 대한 비판적 대안도 추구하였다. 그가 간절하게 구가한 이상세계는 보편적 가치인 道와 인간이 합일되는 세계이며, 지극한 아름다움(至美)을 추구하는 것이 지극한 선(至善)에 이르게 되는 세계인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최초의 본격적인 미학 이론서인 혜강의 『성무애락론』을 통해 심미의식이 윤리의식에 종속된 유가의 '예악론'에 대한 비판 정신을 드러내고 그의 존재론적 기반인 '자연주의'가 가지는 실천적 성격과 심미의식을 보여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0 논문개요 = i 1. 들어가는 말 = 1 2. 혜강 사상의 형성과정 = 5 1) 魏晋시대와 혜강 = 6 2) 魏晉玄學 사조 안에서의 혜강 = 8 3.『聲無哀樂論』에 나타난 비판정신 = 16 1) 유가의 禮樂論 = 16 ① 선진시대 음악의 주술적 기능 = 18 ② 음악이 정치적 상덕을 반영한다는 공자 = 21 ③ 감정과 소리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는 순자 = 23 ④ 예악의 근본을 우주질서와 결부시킨 『예기』의 「악기」 = 25 2) 유가 禮樂論 비판 = 27 ① 음악의 주술성에 대한 믿음을 비판함 = 28 ② 음악이 정치적 상덕을 반영한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 = 30 ③ 감정과 소리에 고정된 대응관계가 있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 = 32 ④ 마음과 소리는 서로 별개라는 주장 = 38 4. 『聲無哀樂論』에 나타난 자연주의 예술론 = 42 1) 성무애락론의 존재론적 기반 : 樂의 본체인 자연의 和 = 42 2) 자연주의 악론의 심미적 성격 = 50 3) 자연주의 악론의 사회적 성격 = 56 5. 맺는 말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32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혜강의 비판정신과 자연주의 예술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Hsi-Kang's Criticism and Natural Art Theory-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