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순환적 상념의 평면을 통한 발현

Title
순환적 상념의 평면을 통한 발현
Other Titles
Revelation of a 2-dimensional surface through circular thought
Authors
조주혜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재
Abstract
우리말에 글·그림·그리움은 모두 한 뿌리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면 본 연구는 '그리움을 그린 그림'을 글로 그려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흔히 하는 말로 '말이 되는 소리를 하라'고도 한다. 본인의 작품이 그림이 되는 작업이었는지는 함구하고서라도 본 논술이 글이 되는 말이어야 한다는 부담운 감출 수가 없는 것이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는 침묵하여야 한다".는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의 말은 옳다. 하지만 "실제로 말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내가 요구하는 단 하나는 침묵인데...내가 계속 말하는 것...그것은 침묵을 만드는 말이다. 우리는 이러한 침묵을 두려워해선 안된다"는 케이지(John Cage)의 말도 틀리지 않다. 필자는 현재에서 미래를 향한 공존의 조화를 전제하고 번잡한 일상에서 일어나는 의문을 제기하여, 작업과정의 내면에 흐르는 의식의 흐름을 '순환적 상념'이라는 표현으로 설정하여 보았다. 단편적이고 일상적인 상념들로부터 시작해서 현실의 문제점을 '뒤섞음'이라는 혼동(混同)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것을 구별하는 데에서 조화의 가능성도 찾아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피상적이나마 상이함을 인식하기 위해 동서양의 자연관과 한국적 심미관을 예시해 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사고의 바탕과 성향에서 유래한 실제의 평면으로서의 작업에 대하여 진술하였다. 한편, 미래의 가능성에서 역으로 접근을 시도한 평면에 관한 연구는 본인의 주변환경에서 과거의 전통을 심장에 투영하여 특수보다는 평범으로서의 작품의 방향을 모색하며, 현대미술에서 보여지는 평면에 관한 고찰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동시에 선택하여 재해석된 소재를 다시 일반적 소재와 상징적인 소재로 나누어 보고, 참고작품인 황병기의 "침향무"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나름대로 재인식한 상이한 요소들을 색의 대응과 선과 면, 형과 색, 꼴라쥬와 바르기, 파괴와 탈구성 등의 대응으로서 작품에서 조화되도록 하여 보았다. 끝으로 '순환적 장념의 평면을 통한 발현'이라는 본 연구를 정리해 보고 반성함으로써 다시금 발생된 문제점들은 과제로 남긴다.;In our language, the following 3 words - word?painting?yearning. - all originate from one root. It could be said this research attempts to paint with words a 'painting which portrays yearning'. This brings to mind the often repeated saying; 'say things which make sense'. Because I express my art through images, I cannot hide the fact that I feel but burdened with having to express myself in this statement through words. "What we cannot speak about we must consign to silence." - Ludwig Wittgenstein. While agreeing with Wittgenstein's statement, I also believe John Cage's view on silence to be true - "Indeed there is nothing to say. The one thing that I want is silence... what I say in continuity... these are words to make silence. We should not be afraid of this silence." By asswning that there is an existence of harmony in the coexistence of the present towanls the future, I've brought up questions that are often raised in the complicated everyday life and have established the flow of consciousness which occurs internally in the creative process as the 'cirCular thought'. At first dealing with fragmentary and routine ideas, 'Disarray' meaning confusion has been ordained to be the problem of our present reality. With distinguishing the problem, I have indicated the Eastern and Western view of nature and the Korean view of aesthetics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even superficially on the hope of finding a possibility of harmony. Furthermore, this thesis expounds on my two-dimensional works which originate from this mode of thought. In one aspect, this research on flat 2-dimensional works could be said to be an approach taken in opposition to the possibilites of the future. By projecting on the traditional images from my own circumstances, the direction of my works has been taken towards the 'commonplace' rather than the 'unique'. Also an exaination on the status of flat surface works in modem art has been briefly narrated. I have again divided the simultaneously chosen and re-interpreted subject matters into the categories of the 'common' and 'symbolic' and have made reference to Hwang Byungki' s musical piece "Chimhyang-moo(Dance in the Perfume of Aloes)" and etc.. I have tried to harmonaize the repercieved varied factors with the contrast in colour, line and plane, form and colour, collage and painting, and destruction and deconstruction. Finally I have reflected upon and decided on tne theme of 'Revelation of a 2-dimensional surface through circular thought' for my research and leave the re-born problems to my works ahea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