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白泰昊-
dc.contributor.author金在源-
dc.creator金在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6Z-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56-
dc.description.abstract이조인의 생활 공간에 시문되었던 문양들이 다양하다는 것은 이미 널러 알려진 바이고 이에 따라 이조 문양의 특수성도 여러 방면에서 연구·응용되어 왔다. 여러가지 문양 가운데서도 가장 회화적이라는 특성과 함께, 최근에 이르기까지 가장 한국적인 문양으로 보편화 되어온 十長生 문양의 사회성과 조형성을 분석하여 이조 사회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十長生 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밝혀 현대의 감각에 맞도록 재구성하는 의미에서 十長生 문양의 현대화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는 데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 있다. 일찌기, 삼국새대에 중국으로부터, 종교의 형태로 전래되어 온 神仙恩想과 道敎의 영향을 받아 韓國人은 그 중심사상-道를 닦으므로서 神仙에 도달하여 仙界에서 불로장생한다는-의 희박한 실현 가능성을 간파하고, 그에서 유래된 自然物一日, 月, 山, 雲, 鳳凰, 麒麟, 鶴, 不老草, 壟, 虎, 雀, 龜, 蛇-에서 不老草를 제외하고는 모두 實在하는 것, 그리고 長壽하는 것 열가지를 택하여 중국의 경우와은 달리 하나의 民俗으로 형성시틴 것이 곧 十長生 문양인 것이다. 이에서 도교, 신선 사상의 희박한 실현 가능성을 간파한 한국인의 명확한 판단력과 함께, 종교로서 전래된 것을 하나의 민속으로 형성시킨 뛰어난 독창력 또한 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조는 그의 사회적 환경-특권 계급의 권력 특쟁, 외족의 수차에 걸친 침입,세습적 신분제도에서 오는 不平等, 역대의 왕조를 통해서 내려온 경제적 불안, 유교의 영향으로 만연된 권위의식에서 오는 억압 등-으로 인하여 불안과 위축된 사회이었기 때문에, 세상을 밝게 비춰주는 해( 日 ), 불변하는 산 ( 山 ), 속세를 벗어나 풍류를 즐기고 있는 듯한 구름( 雲 ), 깨끗함을 일러주는 물( 水 ), 굳은 절개를 상징하는 소나무( 松 ), 곧고 강한 의지의 대나무( 竹 ), 탈속하여 늘은 기상을 지닌 학 ( 鶴 ), 善과 청화를 상징하는 사슴 (鹿), 守護와 福을 상징하는 거북 ( 龜 ), 長生不老한다는 不老草-로 구성된 十長生은 平和롭고 목가적인 분위기로 그들의 平和와 안정된 삶에 대한 소망을 이야기해 주는 것으로 이조인의 심볼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따라서 韓國에서 형성되어 보편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조인의 심볼이엇던 十長生은 韓國의 정서 或_은 韓國의 멋을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의미와 가치를 지닌 문양이라 할 수 있겠다. 李朝人들은 그들의 심볼인 十長生 문양을 그들 生活 공간 어디에 시문해 두었었나, 그리고 어떠한 階層에서 使用되었나를 把握하기 위하여 募集 資料 65점 - 木漆工藝 27점, 石工藝 3점, 陶磁工藝 7점, 金屬工藝 7점, 刺繡工藝 7점, 民畵 14점-을 生活 공간별-室外, 室外(宮殿, 사랑, 안방, 주방), 其他-로 分類 하였다. 그결과 그들 生活 공간 어디에서나 발견되었고, 사용 階層도 王族에서부터 平民에 이르기 까지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十長生 문양의 조형성을 시문도구에 따른 線의 성격, 표현 방법에 따른 形態의 變化, 色彩, 用途에 따른 구도의 變化의 네가지 側面에서 분석해 본 결과, 명료하고 곡선적인 線, 자연주의적으로 表現된 形態 ( 재치있는 양식화 사례도 찾을 수 있었음은 勿論이다.), 自然을 在現한 듯한 구도, 原色 대비의 色感등은 性格으로 세분되었다. 線과 色彩의 性格은 自然 環境-뚜렷한 四季와 山·나무·江등의 곡선-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의 民族性으로 토착된 것이라 生覺되엇고 事實的이면서도 樣式化된 구도와 形態는 社會的인 環境-不安과 위축의 社會에서 여유없이 生活하였던-에서 비롯된 것으로 生覺된다. 이러한 性格의 조형 要素로 構成된 十長生 문양의 조형적 特性은, 첫째, 회화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것, 둘째, 문양을 다섯가지 卽, 기하적인 문양, 樣式化된 紋樣, 自然主義的樣 紋樣, 패턴, 조형적 문양으로 分類한다면, 十長生 紋樣운 勿論 自然主義的式인 紋樣에 속할 것이나, 樣式化 表現된 形態과 自熊主義的으로 表環된 形態의 통일성이 부족한 것, 셋째, 自然을 再現한 듯한 구도로 되어 있는 것, 넷째, 시문된 工藝品의 形態 機能性을 强調하는 範關內에서 原色의 色感과 곡선적인 線으로 紋樣의 장식으로서의 機能이 잘 구사되고 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러나 親代의 조형 사조는 19세기의 産業 革命을 기점으로 하여, 수공예적인 生産 수단에서 부터 機械에 依한 大量 生産의 手段으로 변모하여 , 機能만을 强調했던 機械主義 時代를 거쳐, 藝術과 技術이 協同해야 한다는 結論에 도달하여 20세기 초반의 바우하우스의 敎育課程, 그리고 D .W. B 運動의 實踐 과정을 거쳐, 生産品의 技能性과 함께 장식성도 强調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조형 감각에 있어서도 많은 麥化를 일으켜 섬세하고 華麗한 裝飾을 요구하는 감각으로, 즉 自然主義的 形態에서부터, 기하학적인 形態의 감각으로 變 하였다. 뿐만 아니라 第 2次 大戰을 기점으로. 지금의 世界는 資本主義 時代로 접어 들어 海外 輸出競爭의 時代로 변모하였다. 따라서 양질의 獨自的인 輸出 공산품의 生産이 시급한 問題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韓國의 經濟的 復興을 爲한 輸出 工産品 或은 土産品에, 韓園의 멋 그리고 韓國의 정서를 傳達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十長生문양의 現代化 作業은 繼續되어 왔으나, 앞으로도, 우리의 토착화된 특성을 유지하면서 現代의 조형 감각에 맞는 形態와 구도로 재구성하는 側面에서, 반듯이 推進되어야 할 分野로 生覺되었다.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patterns that were drawn in living, spaces in Yi Dynasty had a great variety,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applied. Of all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Sip-Jang-Saeng patterns are the most picturesque ones and have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as the most Korean patterns.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o analyze the sociality and plastIcity of the Sip-Jang-Saeng patterns in relation to the Yi Dynasty socie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larify the plastic qualities of the patterns of Sip-Jang-Saeng, where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their modernization in consonance with modern sensitivities. During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 ancient philosophy of heavenly beings came into Korea. It was followed by Taoism which stipulated that man can enter the land of fairies and enjoy longevity through cultivating tao. Old Koreans regarded these ideas as rather unrealistic, but took from them the cults of physical objects, all real except the eternal herb, and turned them, unlike the Chinese, into a folklore. That is where the Sip-Jang-Saehg originated, and there the realistic judgment and originality of the Korean nation may be gleaned. Yi Dynasty Korea was very much a closed society shrouded in anxiety. Contributing to this state of affairs were internal political strife among power elites, foreign invasions, inequalities resulting from its hierarchial social set-up, traditional poverty, confucian authoritarianism, etc. Under the circumstances, people wanted peace and security in idyllic environments, and they presumably succeeded in finding their symbols in those ten long life symbols: the light-giving sun; unchanging countains; other-worIdly clouds; cleansing water; the pine tree symbolizing loyalty; bamboo symbolizing firm determination; lofty cranes; a deer, the symbol of good and peace; a tortoise, the symbol of protection and beatitudes; and the eternal herb, symbolic of longevity. Their patterns originated and developed in Korea and, therefore, were best suited as conveyors of Korean emotion and taste, which is their most significant quality. Where in their living space did Yi Dynasty Koreans draw the patterns of Sip-Jang-Saeng, and what classes of people used them?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65 items including 27 woodcrafts, 3 stonecrafts, 7 pottery, 7 metalic crafts, 7 embroidery pieces and 14 folklore art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loci, namely, Palaces, living rooms, bedrooms, kitchens, etc.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o be found everywhere in the living space and that they were made use of by every class of the society from the Kings to the humblest subjects. The plasticity of the pattern s were studied from four angles: the qualities of line resultant from drawing instruments; the variety of form deriving from the methods of expression; the variety of designs in accord with the uses to which they were put; and fin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lor, The findings were: clear and curvacious lines; naturalistic forms including, of course, witty stylized forms; realistic representation of natural objects; and the use of primary colors. It was observed that the lines and colors derived from natural environments - distinct seasons, mountains, trees, rivers, etc. -- and were characteristically indigenized; and the realistic designs and forms from social environments -- life riddled with anxiety and poverty. The plastic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of Sip-Jang-Saeng may be looked at from the following points of view . Firstly, they evoke picturesque atmospher'e. Secondly, there is something to be desired in the identity between the stylized forms and the naturalistically expressed forms. (If patterns may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e. geometrical patterns, stylized patterns, naturalistic patterns, patterns, and plastic patterns, the patterns under study will belong to the naturalistic category.) Thirdly, they are excellent representations of nature. Fourthly, artistic forms and uses as craft are well harmonized with natural colors and curved lines. Modern plastic art has been transformed,,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from handifraft to machanical production. The trend and conclusion of today is that art and technology must cooperate. Due to the training courses of Bauhaus and the D.W.B. movement, the decorative aspects have come to be emphasized along with the technical ones. On the other hand, plastic sensitivities have undergone many changes and come to prefer simple, geometrical forms to delicate, gorgeous, or naturalistic forms. Moreover,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world has witnessed an age of capitalistic and competitive exports, hence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ion of export products of good quality and originality. In Korea, work of modernizing the patterns of Sip-Jang-Saeng has been carried out to meet the export, needs. As the patterns can best represent the emotional qualities of the Korean people, it is considered to be of vital importance that the work should continue to be promoted so that the Korean indigenous qualities are retained and the patterns are modernized in consonance with modern plastic sensi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 iii 논문 개요 = x Ⅰ. 序論 = 1 A. 이 연구의 목적 = 1 B. 이 연구의 범위 = 3 Ⅱ. 十長生 紋樣의 社會性 分析 = 4 A. 紋樣의 意義 = 4 B. 十長生 槪念 = 7 C. 十長生 紋樣의 社會性 = 12 Ⅲ. 十長生 紋樣의 造形性 分析 = 20 A. 十長生 문양의 분류 = 20 B. 十長生 문양의 조형성 = 62 C. 十長生 紋樣의 現代化 = 72 Ⅳ. 結言 = 77 參考文獻 = 79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04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李朝 十長生 紋樣의 分析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