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李朝後期 卓子類의 意匠 小考

Title
李朝後期 卓子類의 意匠 小考
Authors
金憲淑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裵滿實
Abstract
李朝 時代의 家具를 現代式 住宅에 배치하였을 때 調和가 이루어 질 수 있는가를 좀 더 체계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의 傳統家具 中에서도 가장 직선적이며 단순한 線을 위주로한 형태의 卓子를 선택하여 現代에 우리가 말하는 디자인 원리에 맞추어 分析해 본 것이다. 卓子의 材料가 非永久的인 木材인 關係로 많은 兵火로 損失되어 年代가 오랜 것은 遺物을 찾기 어려워 임진란을 前後로 그 以後인 李朝後期의 卓子로서 그 時代를 국한하였다. 李朝 時代 모든 文化, 政治, 思想의 根本 理念이 되었던 유교는 예술 전반을 비롯하여 家具에도 영향을 끼쳤다. 유교의 현실적인 성격은 家具 가운데에서도 機能을 위주로 한 최소의 자연스러운 장식으로 아름다움을 찾으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교에서 비롯된 崇文思想은 卓子에 書冊을 수장하고 진열하기 위한 冊卓子가 있다. 形態의 特徵으로는 家具 自體에 空間層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책상이나 연상같은 小品類가 아닌 家具類를 말한다. 本稿에서는 形態와 機能別로 分類하여 평면 形態가 정방형이나 그 근사치를 유지하는 四方卓子, 전체적으로 長方形을 강조하는 長卓子, 欌과 卓子의 중간 形態인 卓子欌, 식기류의 보관을 위한 饌卓子의 넷으로 區分하였다. 이 네 가지 卓子들은 형태상 各各 特徵을 가지면서도 卓子로서의 근본적인 성질에서 유사한 方法으로 디자인 되었다. 그리하여 디자인 要素들인 色, 線, 形, 質感, 空間, 方向, 크기의 적절한 처리로 이루어진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은 實際에 있어서 하나씩 獨立될 성질의 것은 아니며 서로의 연관 괸계속에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이 질서란 디자인의 원리로서 균형감·율동감·강조감·통일감으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것이다. 균형감으로서는 卓子의 많은 수가 대칭 균형으로서 木理文(나무결)의 사용에까지도 대칭으로 되도록 주의를 기울여 左右가 同一하게 처리되어 있다. 그 外에 부분적으로 금구 장식에서의 방사형 균형이 있다. 금구 장식의 처리는 또한 크기의 변화로서 다소의 율동감을 주고 공간층과 수납층의 배열이 갖는 반복과 목재와 금속재의 질감 대비, 수직과 수평의 방향 대비 等은 서로의 상반되는 特徵을 살려주는 강조감을 갖는다. 이 여러 가지 성격들을 대칭 균형의 靜的인 감각에서 생길수 있는 단조로움을 자극하여 변화를 주면서 좋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같은 조화는 비단 가구 자체에서 뿐 아니라 당시의 室內와도 조화를 이루며 이러한 서로의 조화로서 이루어지는 결합이 즉 통일감이다. 그러나 이런 여러 원리들은 제작자의 의도적인 사용이라기 보다는 제작자 자신들이 갖는 오랫동안의 경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리는 李朝 時代의 工匠人 들의 직분이 비록 家統에 의해 내려온 관계로 뛰어난 창의성은 없었다 하더라도 맥맥히 흘러 내려온 그들의 家具 製作에 결코 조형성이 없다고 만은 볼 수 없겠다. 결국 이들의 단순한 선과 형태는 현대 디자인들의 공통 特徵과 일치 되는 것으로 보아 현대식 환경과의 조화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systematically whether or not furniture of Yi dynasty, when laid up in modern house, can produce harmony in accordance with modern design principles. Of the traditional furnitures, table with a shape of the most straight and simplest line is taken for example. Since the material for tables was nonperpetual wood so that many of them were broken or burnt down by war or fire, antique tables are hard to find. The analysis is, therefore, limited to the tables of late Yi Dynast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 Confucianism, which was the basic idea to culture, politics and philosophy, also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on art including furniture. Owing to the practical character of Confucianism, in furniture, beauty was pursued through the minimal inartificiality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function. The idea to honor literature, derived from confucianism, particularly caused production of book table fitted for store and show of books. These tabIes are not, of course, in the western category of tables, but there are also available other tables for decoration and meal. In the following, tables are classified into four with reference to shapes and functioris; square tables of regular square, rectangular table, cabinet-table of the intermediate form of cabinet and table and, finally, meal table for storage of table wares. Tables of the above four kinds, despite of their characteristics of each in shape, have a close similarity in design in their basic nature. Therefore, Proper, arrangement of the design elements of color, line, shapes, texture, space, direction and size can be soon detected. These are not to be separated in practice, but merely constitute order under the mutual correlationship. The order-the principle of design-can be analyzed into balance, rhythm, emphasis and unity. Many of the tables are of symmetrical balance, and attention was paid to even the symmetric use of grain, In addition, metal ornament constitute radial balance in part. In metal ornament variation in size yields some rhythm, while repetition, resulting from the disposition of spatial-story and cabinet-story. Texture contrast of wooden and steel materials, and directional contrast of horizontality and perpendicularity yield emphasis that enlivens mutually conflicting characteristics. Such various natures remove the tedium that might arise from the static feeling of symmetrical balance, and give birth to variation and combination. The combination of balances not merely within the furniture itself, but with the surrounding room is no other than the unity. However, these principles come about not by the producers' intended use of them, but by their unconscious feelings. Admitting that the artisan did not show any outstanding creativity because their social status and duty were inherited from their ancestors, it never follows that their products were completely devoid of plastic beauty. In fine, since the simple line and shape of the tables are consistent with common characteristics of modern designs, the conclusion can be reached that combination of antique furniture with modern circumstances can be achie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