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유오-
dc.creator전유오-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0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01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subject and meaning of Bong-san Tal-chum, which is one of the Korean folk plays and to understand it in view of Min Jung theology.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its subject the overall items were examined. Second, what people, who are the subjects of the play, try to enpress in the play and how it is expressed were studied. Third, the social function and comic of the Tal-chum were investigated. Fourth, to understand the Min Jung theological position, Exodus and the meaning behind it were studied. So, we can understand the nature, function, and content of Bong-san Tal-chum-which are above mentioned in view of Mi-n Jung theology. The people of Bong-san Tal-chum experienced a lot of troubles and bitter feeling, as the people of Exodus did. And Salvation in the dance is connected with the Israelite exodus and the diliverance to the Promised Land. But it is the inner Salvation existing in people's mind, which makes a great difference from that of Exodus. The difference is sailent by the subject of salvation, and its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 The Salvation in the Tal-chum has a part which concurs with God's will, but it should be expanded into not only the inner psycholozical rescue but also external historical one.;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민속극중의 하나인 봉산탈춤의 주체 의미를 알아보고 그것들을 민중신학의 입장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봉산탈춤의 주체를 이해하기 위해 그 개괄적인 사항들을 살펴본다. 기원과 유래에서 공동체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고 그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에서 주체가 민중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구성요소에는 탈, 시기, 장소, 춤, 음악, 작간, 재담 등이 있다. 둘째로, 놀이의 주체가 되는 민중이 탈춤속에서 나타내려고 하는 내용은 무엇이며 또 그것이 어떠한 방법으로 나타나는 가를 알아본다. 그 내용은 민중의 고난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종교와 지배체제와 자신들의 삶에 대한 것이다. 그것들은 여러 인물등의 갈등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데 전체가 희극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주요 갈등은 세가지로 노장과장·양반과장·미얄과장에서 표현되고 있다. 희극적인 요소는 구성요소와 그 진행과정에 전체적으로 깔려 있다. 세째로, 탈춤의 사회적 기능과 희극성에 대해 알아본다. 사회적 기능은 삶의 좌절과 상실로부터 희망과 자아긍정으로 변화시키는 통과의례적인 기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양반의 사회 종제를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도시 상인들의 상술에 이용되는 면도 갖고 있다. 희극성은 민중의 정신적인 여유를 전제하는 것으로 현실극복의 웃음으로 탈춤 전반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민중의 자아긍정과 초원적 웃음은 그들에게 탈춤의 내적인 구원의 의미를 지니게 함을 알 수 있게 한다. 네째로, 민중신학의 입장을 알아 보기 위해 그 뒷받침이 될 수 있는 출애굽기의 과정과 그 속에 담긴 뜻을 살펴본다. 배경과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민중에 대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이며 그 관계는 어떠한 가를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나님은 고난받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응답하시며 은혜와 능력으로 구원하시는 하나님이다. 출애굽기의 메시지는 신약의 십자가 사건, 예수님의 형태와도 연결되어 진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민중에 대한 하나님의 뜻을 이끌어 낼 수가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흐름이 민중신학의 입장이 된다. 이제 민중신학의 입장에서 앞서 얘기한 봉산탈춤의 주체·내용·기능들을 이해해 본다. 고난받고 한 맺힌 민중이라는 점에서 봉산탈춤의 민중은 출애굽의 민중과 같이 한다. 그리고 탈춤이 갖는 구원의 의미가 이스라엘의 이집트 탈출과 약속의 땅으로의 구원과 연결되어 진다. 그러나 그것은 민중 내부에 존재하는 내적 구원이다. 그것이 출애굽과의 현저한 구원적 차이이다. 그 차이는 구원의 주체와 시간과 공간적인 성격의 차이로 더 잘 드러나고 있다. 탈춤의 구원은 하나님의 뜻과 같이 하는 일면을 지니고 있으나 그것이 내적일 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도 존재하는 구원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ⅴ Ⅰ. 서론 = 1 Ⅱ. 민중의 놀이로서의 탈춤 = 3 A. 탈춤의 기원과 봉산탈춤의 유래 = 3 B. 시기와 장소 = 5 C. 구성요소 = 7 (1) 탈 = 7 (2) 춤과 음악 = 8 (3) 작가와 재담 = 9 Ⅲ. 봉산탈춤에 나타난 갈등 = 11 A. 갈등의 원인이되는 민중의 고난 = 11 B. 과장별 갈등구조의 이해 = 12 (1) 노장과장 ; 노장과 취발이 = 12 (2) 양반과장 ; 양반과 말뚝이 = 15 (3) 미얄과장 ; 미얄할미와 영감 = 16 C. 용기와 참여 그리고 갈등의 해소 = 20 Ⅳ. 봉산탈춤의 사회적 기능과 희극성 = 23 A. 사회적 기능 = 23 B. 희극성 = 25 Ⅴ. 출애굽기에 나타난 민중과 하나님 = 28 A. 출애굽기의 역사적 배경 = 28 B. 사건의 진행 = 30 (1)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출1:1-7) = 30 (2) 압제받는 이스라엘 (출1:8-22) = 31 (3) 구원할 자의 준비 (출 2:1-4:31) = 31 (4) 바로앞에 선 모세 (출 5:1-7:7) = 32 (5) 애굽에서의 하나님 이적 (출7:8-11:10) = 33 (6) 유월절과 이스라엘의 출발 (출12:1-15:21) = 33 (7) 광야에서의 이스라엘 (출15:22-18:27) = 34 (8) 시내산 언약의 확립 (출19:1-24:18) = 34 C.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 35 D. 출애굽기의 메시지 = 37 Ⅵ. 민중신학의 입장 = 39 Ⅶ. 민중신학으로 본 봉산탈춤의 이해 = 43 Ⅷ. 결론 = 47 참고문헌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507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봉산탈춤-
dc.subject민중신학-
dc.subject무용학-
dc.subjectBong-san Tal-chum-
dc.title봉산탈춤의 민중신학적 이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ubject : The Min Jung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Bong-san Tal-chum(Masque Dance)-
dc.format.page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