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낙경-
dc.creator성낙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81-
dc.description.abstractThe formative art has been developed from ancient art to modern art, while the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cross each other in any form. Until 1960s after 1950s, this tendency appeared more remarkably. And, after that, it has been maintains. And, after 1980s, all the tendencies are coexisting together. Especially, the fine art of pluralistic tendency appeared. In 1980s, it seems that all the trends of thought compound, and the new tendency which is not included in any trend of thought was unfolded. The unfolding of this new tendency is the post modernism which appears in the whole of art. Post modernism was prescirbed as the form of pluralistic nature and complex nature against the simplicity of medium and range that the modernism stuck to uniformly or as the recovery of meaning and contents, and as the raising of differentiation nature and border between high-class culture and low-class culture which are based on the borrowing of image of every kind of mass medium culture and as the acquisition of united view. In this meaning. I got to feel the necessity of conversation and mutual response with masses by getting out of the aesthetic attitude. So, in the theoretical side, I selected the daily material which adheared closely to the experience of life, by sympathizing with the opinion of the artists of Nouvelle Figuration who pursued the objectification about actual world on the basis of whole and objective recognition and criticism consciousness about actuality. The urban landscape which is appearing in my work and looks like one scene of picture shows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loss of humanity, and the nature landscape which appears fragmentarily-tree shell's the humanity recovery and the hope and longing of the return to nature. In the methodological side, so as to emphasize my intention, the divers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photo, silkscreen technique the use of object, spilling, scattering technique and the elements of free drawing characteristic etc. were used. Lastly, my work was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works of Andy Warhol, 1903-, Revert Rauschenberg, 1925-, and Nouvelle Artists Jacques Monory, 1934-, G. Allaud, 1928- and Eduardo Arroyo, 1937-. Through this study, I try to grope for the new method that the modern art to transcend ism may advance with masses.; 조형 예술은 고대에서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어떤 형태든 구상과 추상이 서로 엇갈리면서 발전해 왔다. 1950년대 이후 60년대까지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후 계속 유지되어 오다가 1980년대 이후에는 모든 경향이 함께 공존하는 다원화된 경향의 미술이 등장했다. 모든 사조들이 절충된 듯하게도 보이고, 또 어떤 사조에도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경향이 전개되었다. 이 새로운 경향의 전개가 모든 문화, 예술 전반에서 나타나는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다. 모더니즘이 획일적으로 고수하였던 매체와 영역의 단일성에 대한 다원성과 복합성의 형태로서, 혹은 의미와 내용의 회복으로서, 그리고 각종 대중 매체 문화의 이미지의 차용에 따른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 간의 차별성 및 경계의 제거와 통합적인 시각의 획득으로서 포스트 모더니즘이 규정되어졌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인은 심미주의적 태도에서 벗어나 대중과의 대화, 교감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론적 측면에서는 현실에 대한 총체적이고 객관적인 인식과 비판의식을 현실에 대한 근거로 현실 세계에 대한 객관화를 추구한 신구상회화(Nouvelle Figuration) 작가들의 견해에 공감하여 삶의 체험과 밀착된 일상적인 소재를 선택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 있는 사진의 한 장면 같은 도시 풍경은 인간의 소외, 인간성의 상실을 보여 주며, 단편적으로 나타나는 자연 풍경-나무-은 인간성 회복과 자연으로의 복귀의 희망, 갈망을 보여 준다. 본인의 의도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진의 도용, 실크스크린(Silk Screen) 기법, 오브제의 사용과 흘리기, 뿌리기 기법, 자유로운 드로잉적 요소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인은 앤디 와홀(Andy Warhol, 1930 - ), 로버트 라우젠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 - ), 와 신구상 작가인 자끄 모노리(Jacques Monory, 1934 - ), 질 아이요(Gilles Aillaud, 1928 - ) 에두아르도 아로요(Eduardo Arroyo, 1937 - )등의 작품의 예를 들면서 본인의 작품의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주의를 초월한 현대 미술의 대중과 함께 나아갈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 문제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5 A. 내용적 연구 = 5 1. 일상적 소재로서의 현실 = 5 2. 은유적 표현으로서의 역사성 = 7 B. 방법적 연구 = 8 1. 회화에서의 사진과 인쇄 이미지 = 8 2. 화면상의 다원적 표현 = 10 참고작품 = 14 C. 본인작품분석 = 16 Ⅲ. 결론 = 30 참고문헌 = 32 ABSTRACT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47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dc.title일상적 소재에 의한 현실세계의 은유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