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상희-
dc.creator배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78-
dc.description.abstract추상미술은 20세기의 대표적 표현양식으로 전개되어왔다. 종래의 대상재현을 떠나서 작가의 내면상태를 표출하는 추상미술은 크게 개인의 감정과 직관에 의해 주관성을 강조한 서정적 추상과 이지적, 합리주의적 정신에 의해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를 가지고 표현하는 기하추상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이러한 추상미술의 두 흐름은 추상표현주의, 팝아트(Pop Art), 미니멀아트(Minimal Art), 개념미술등과 같이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되어왔다. 그리고 1970년 후반을 기점으로 형식주의와 모더니즘의 추진력이 미약해짐에 따라서 현대회화는 거의 무제한의 자유라는 지평으로 확산되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그리하여 현대미술의 경향은 여러가지 양식과 이즘이 혼합되었고, 새로운 기법과 재료에 뒤따르는 아이디어들이 모든 미술에 있어서서의 다양한 표현양식을 창출해냈다. 이렇게 다원주의적 경향이 공존하는 현시대속에서 본인도 영향을 받아 어떤 특정양식을 구하려 하기보다는 자유로운 회화표현을 추구하고자 작품제작을 진행시켜왔다. 본인의 작품은 진정한 자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자유의지적 행위의 흔적위에 의식적이고 대중문화적(낙서, 기호, 잡지, 필름 등……) 요소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희충동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제작되었다. 이론적 연구에 있어서는 「행위」를 통해 기술하고 환원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우연성과 필연성의 개입을 인식하고, 또 작품전체에 산재해 있는 낙서적 표현을 쉴러(Joh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1795∼1805) 유희론과 연관시켜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제작적 측면에 있어서는 본인의 작품전체에 흐르고 있는 무의식적이거나 의식적인 선적 표현, 낙서 그리고 기호와 필름에 관해 고찰해보고 그들의 중첩된 효과로 인해 생기는 공간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행위에 많은 의존을 하였던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1912∼1956)과 낙서적 표현에 관심을 많이 가진 사이 톰블리(Cy Twombly 1928∼)를 참고작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표현과정을 점검해 보았다. 본 연구는 작품제작연구논문으로서 "예술은 인간의 두 본성인 감성과 이성, 능동과 수동, 자유와 법칙이 조화될때 아름다운 행위가 되고 진정한 자유를 나타낸다."는 유희충동과 자유의지에 의해 비롯되어 표현된 선적이고 기호적 요소를 통하여 본인이 인식한 회화공간을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rt has developed as a representative style of expression in the 20th century. Abstract Art that expresses an artist's inner state can be divided into two fields : Lyrical abstraction that emphasizes subjectivity through intuition and Geometrical abstraction that stresses the least use of form and coloration due to intelligent and rational spirit of artists. These two main flows in Abstract Art had expanded in various forms, as Abstract Expressionism In the 1950s, Pop Art in the 1960s, and Minimal art and Conceptual Art in the 1970s. As the thrust of formalism and modernism was weakened in the end of the 1970s, the field of Modern Art has been widened toward almost unlimited freedom and entered the era of post-Modernism, As a result, Modern art tends to mix various kinds of forms and isms, and newly developed techniques and materials. I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luralistic tendency of Abstract Art, and have developed works pursuing freedom of paintings nth an attitude of compromising rather than pursuing speciality of paintings. I have worked with a deep Interest in a pleasure impulse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invitation of low (or popular) cultural image such as graffiti, symbol, magazine, and film. It comes from free nil to pursue real freedom. This study is developed in two parts :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arts. Theoretical approach depends on the pleasure theory of John Christoph Friedrich von Schiller (1759~1805) to explain the graffiti expression of the painting, while recognizes the intervention of casualty and necessity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and reducing an "action". Methodological approach examines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linear explains space being taken place due to their reiterated effect. Jackson Pollock (1912~1956) who heavily depended on act and Cy Twombly (1928~ ) who were interested in graffiti are introduced to understand this methodological approach. Finally, I present and analyze my own work to analyze the process of expression that is relative to these theoretical and inetholdological approaches. As a research thesis for work,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pictorial space that is recognized through linear and symbolic factors expressed due to a free nil of a pleasure impulse. Pleasure impulse means that "when sensitivity and rationality of human beings, activity and passivity, and freedom and principles altogether go well with each other. Consequantly, painting Itself becomes a beautiful act, and can express real freedo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행위를 통한 기술(記述)과 환원 = 4 2. 유희충동과 표현 = 6 B. 방법적 연구 = 10 1. 낙서, 기호, 선적 표현 = 10 2. 중첩에 의한 공간표현 = 13 참고작품 = 15 C. 본인 작품 분석 = 16 Ⅲ. 결론 = 30 참고문헌 = 31 - Abstract -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2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dc.title대중문화에서 유추된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