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형원-
dc.creator박형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98-
dc.description.abstractThe most important part in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is vocational rehabilitation. Sheltered workshop which offers the chance of training and employment to the severely handicapped is the core part of the sheltere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hat this study attempts is to search for the method of improvement and policy support for sheltered workshops in Korea, with a reference to the U.S. system which is training-centered and British system which is employment-centered. For this purpose, primary study elements were composed of the main body of management, program, the objects, staff organization, business pattern and finance which should be considered basically in management of sheltered workshop. These elements were composed with reference to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lan of sheltered workshop' in Korea and 'Workshop standards' in u.s. Since 1986, sheltered workshops have been expanded under the governmental supports in Korea. Primarily, sheltered workshop have the duality that rehabilitation and business, workshops in Korea have difficulties in management due to lack of technology, experience,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supports. 95 % of Korean workshop are operated by the voluntary agencies, because workshops have few experiences and resources it cannot perform the atonomous and caracterized function. And the role of workshop with training and employment function is ambiguous. Because there is no criteria of work capability and course of evaluation, so individuals cannot be placed properly according to work capability and work aptitude of individual, the disabled who are employable in industries are employed and the severely handicapped who have minimum capability are isolated even in sheltered workshop. Moreover, Korean workshops have difficulties on part of securing the professionals, contract, market and connection with industries. Now Most of Korean workshops depend on external resourses like public fund, because governmental budget have concentrated on investment of building and equipment of workshop and even financial supports have been diminished from 1991, difficulties of workshop management are adding. Workshops in U.S. have initiated by voluntary agency and developed under the institutional supports and now are the core of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Because workshops in U.S. emphasize the competitive employment through training, therefore evaluation, training and placement program for the trainable disabled hold a key post in workshop. And the duality of workshop is balanced through education for professionals, variable financial supports, oder priority of public demand for the contract and market stabilization. Sheltered workshops in Great Britain is institutionalized not as welfare agency but as the employment service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 Workshops in Britain are the place of permanent employment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who have difficulties in competitive employment. Therefore business management staffs are considered importantly in workshop, workshops have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business pattern. Financial supporting side, workshops have the method of deficit supplement for securing the minimum wage of the disabled, this expenses is met by e revenue subsidy fromthe Treasur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workshop management system of U.S. and Great Britai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situation of workshops in Korea. The first, on the premise that the nation has the responsibility in sheltere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t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role of the nation and voluntary agency, and participation of industries should be expanded. The second, according to the goals, objects and business patterns.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workshop type. And it should be set up the workshop which has employment function for the disabled who finishes his training course and hope to move on competitive employment.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upportive service so as to intervene in problems of the disabled. The third, the objects of workshops are limited to "the disabled who have the difficulties in competitive employment or have inadequacy for some time". And workshops should arrange the criteria of the objects and evaluation method. The fourth, workshops should secure the training staff and business manager to achieve the functional balance of staff organization. The fifth,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disabled and workshop resourses. workshops should have the reasonable business pattern. Abovee a1l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securing contract and market of workshops. The sixth, financial supporting side, government should support not only building and equipments but also basic working expenses. And workshops should devise the financial stability through the efforts of business improvement. Government and workshops should have continuency and consistency on the part of constitution and performance of the policy, support, development of models and delivery of services so as to settle the workshop as training and employment institution for the disabled. And workshops should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administration of labor - employment.;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장애인재활사업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에게 '훈련'과 '고용'의 기회를 제공하는 보호작업장은 장애인 보호고용제도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보호고용제도로서 시작된 보호작업장의 운영현황과 문제를 토대로 보호작업장이 '훈련'기능 위주인 미국과 '고용'기능 위주인 영국의 현장을 살펴봄으로써 초창기에 있는 우리나라 보호작업장의 및 정책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보호작업장 운영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 요소로서 운영주체, 프로그램, 대상장애인, 전문인력구성, 사업형태, 제정을 분석하였으며, 이 요소들은 우리나라의 '자립작업장 설치운영계획'과 미국의 '보호작업장 기준'을 참고하여 구성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보호작업장은 1986 년부터 정부의 지원하에 확대되기 시작하였으나, 훈련을 통한 장애인의 재활과 고용유지를 위한 사업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이원성의 과제속에서 기술 및 경험부족, 전문인력부족, 지원정책의 미비로 인하여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우리나라 보호작업장의 95%가 민간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경험과 자원부족으로 민간기관으로서의 자율적이고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그리고, 훈련과 고용의 역할이 모호하며, 대상자선정시 작업능력에 대한 기준과 평가과정이 없어서 개인의 작업능력과 적성에 따라 적절한 작업을 배치할 수 없고, 일반고용가능한 장애인이 고용되거나 작업능력이 최소한인 중증장애인들은 보호작업장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전문인력 확보, 계약과 판로확보, 기업체와의 연계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갖고 있다. 재정 면에서는 작업장의 사업이 안정되지않아 자체 사업수입보다는 외부자원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데, 1988 년부터 정부가 보호작업장에 투입한 예산은 건물과 설비투자에 집중되어 있고, 1991 년부터는 그 재정지원도 감소하여, 운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미국의 보호작업장은 민간에 의해 시작되어 국가의 제도적 지원을 받으며, 발달하여 현재는 장애인재활서비스의 중추로서 자리잡고 있다. 미국의 작업장은 훈련을 통한 일반취업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평가 및 훈련, 배치 프로그램이 강조되고, 훈련 가능한 모든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보호작업장의 전문인력양성, 계약과 판로안정을 위한 관공수요의 우선발주제도 시행, 다양한 재정지원을 통해 보호작업장의 이원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영국의 보호작업장은 복지시설보다는 고용서비스의 한 부분으로서 국가책임하에 제도화되었다. 영국의 작업장은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의 영구적인 취업의 장으로서 장애인들은 일반 근로자에 준하여 고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장은 기업조직으로서 경영관리 인력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전문화된 사업형태를 갖고 있다. 재정지원면에서는 고용장애인들에게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보장하기 위한 결손보충방법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과 영국의 보호작업장 운영방법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 보호작업장의 문제해결을 위해 다음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의 보호고용에 대해 기본적으로 국가의 책임이 전제되어야 하며, 보호작업장이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국가의 지원역할과 민간 보호작업장의 서비스 전달역할이 분명히 설정되어야 하며, 기업체의 참여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목적, 대상자, 사업형태에 따라 작업장의 유형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훈련이 끝나고 일반고용의 진출을 희망하는 장애인들을 위한 고용위주의 보호작업장 설치, 장애인고용촉진법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장에서 장애인들의 다양한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보조적 서비스도 개발, 활용되어야 한다. 세째, 보호작업장의 대상장애인은 '일반고용이 어렵거나 일정기간 적합하지 않은 자'로 한정해야 하며, 객관적인 선정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작업능력 평가가 일반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시설수용장애인에서 재가중증장애인에게로 대상자가 확대되어야 한다. 네째, 전문인력 면에서는 훈련과 경영담당 인력이 확보되어 기능적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직업재활상담원 양성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사업형태에 있어서는 장애인의 능력, 작업장의 자원상태에 따라 합리적인 형태를 취하되 계약과 판로확보에 있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재정면에서는 정부는 건물, 설비 뿐 아니라 기본 운영비 등에도 재정지원을 확대해야 하며, 작업장은 사업개선 노력을 통해 작업장의 재정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보호작업장이 훈련 및 고용 시설로서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책구성과 수행, 지원, 모델개발, 서비스전달 측면에서 지속성과 일관성을 가져야 하며, 사회복지행정에서 확대하여 노동 및 고용행정과의 연관하에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보호작업장의 개념 = 6 2. 보호작업장의 유형과 역할 = 9 3. 보호작업장 운영의 기본 요소 = 11 Ⅲ. 우리나라의 보호작업장 = 18 1. 운영주체 = 19 2. 프로그램 = 20 3. 대상장애인 = 21 4. 전문인력구성 = 22 5. 사업형태 = 23 6. 재정 = 24 Ⅳ. 미국의 보호작업장 = 26 1. 운영주체 = 27 2. 프로그램 = 28 3. 대상 장애인 = 31 4. 전문인력 구성 = 32 5. 사업형태 = 33 6. 재정 = 35 Ⅴ. 영국의보호작업장 = 39 1. 운영주체 = 40 2. 프로그램 = 42 3. 대상 장애인 = 43 4. 전문인력구성 = 44 5. 사업형태 = 45 6. 재정 = 46 Ⅵ. 결론 및 제언 = 50 1. 우리나라 보호작업장 운영의 문제점 = 50 2. 우리나라 보호작업장 운영에 대한 제언 = 57 참고문헌 = 61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76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title우리나라 장애인 보호작업장 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국과 영국의 제도를 중심으로-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