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정혜-
dc.creator원정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54-
dc.description.abstract1.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holothurians as a part of study on marine invertebrabte of Korea.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at 47 localities in the coastal areas and islands of Korea from May, 1958 to October,1992. 2. For identification, we examined the external features of tentatacle's shape and number, arrangement of podia, and so on. And the specimens were dissected to observe the internal features. After that, calcareous ring and calcareous deposite were also examined. For the purpose of observation in detail, calcareous deposite were inspec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awson's (1965) systematic sheme was followed but we refered to the literature as Panning (1949) and Heding & Panning (1954) for the detailed systematic scheme. 3. We identified 27 species(2 subspecies, 25 species, 22 genera, 4 orders belonging to 3 subclass) and of those fifteen species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fauna and we expect three new species. The keys for total 27 species were prepared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expecting new and unrecorded species in Korea were also described. But Amphicyclus japonicus, Pseudocnus capensis, Acaudina molpadioides and Acaudina demissa are need to check for age variation, habitat variation and a little contrast with the original papers. Nineteen species out of identified species were included in order Dendrochirotida, four species in order Molpadida and each 2 species in orders Apoda and Aspidochirotida. 4.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distributed localities in each species, Stochopus japonicus was most broadly distributed in 28 localities (59.5%) of total 47 localities, and we found most diverse species(l5 species, 55.5%) in Mipo of South S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by regions, there are fifteen species from South Sea, therefore, the richest holothurian fauna, and nine species from other regions respectively. 5.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holothurians within a region only was five species in Sea of Japan, four species in Yellow Sea, three species in Cheju Island and one species in South Sea. Common species between two regions were seven species in South Sea and Cheju Island, six species in Yellow Sea and South Sea and one species in Sea of Japan and Cheju Island. The distribution of Korean holothrians by water form, 14 species were found to be temperature water form, 9 species to be tropical water form, three species to be boreal water form and one species to be cosmopolitan. 6. With regard to their oceanic distribution, 27 species were in the Pacific Ocean, 6 species in Atlantic Ocean and Indian Ocean, respectively, four species in Arctic Ocean and one species in Antarctic Ocean.; 본 연구는 한국의 해산 무척추동물상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극피동물 문의한 분류군인 해서류(Class Holothuroidea)의 분류 및 분포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여기에 사용된 재료는 1958년 5월 부터 1992년 9월 까지 우리나라 삼면연안과 여러 도서지방의 총 47개 지역으로 부터 채집된 것들이다. 해서류를 동정·분류하기 위해서 먼저 촉수의 모양과 수, 관족의 배열 등 외부형태를 관찰한 다음 해부하여 내부 여러 기관들을 관찰하였다. 그 후 석회환과 체벽골편을 관찰하고, 골편의 세부 형태를 보기 위해서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였다. 분류체계는 크게 Pawson(1965)의 것을 따랐으나 부분적인 자세한 분류체계는 Panning(1949)와 Hading & Panning(1954) 등의 체계를 참고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총 27종(3아강 4목 22속 25종 2아종)의 한국산 해서류가 밝혀졌고 이 중 15종은 한국미기록종이였으며 또한 3종의 신종후보가 밝혀졌다. 이들 종에 대하여 검색표를 만들었으며 한국미기록종과 신종후보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재하고 도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원촉수해삼(Amphicyclus japonicus), 수도크누스해삼(Pseudocnus capensis), 은족민꼬리해삼(Acaudina molpadioides) 그리고 고구마민꼬리해삼(Acaudina demissa)은 지역에 따른 변이 문제, 성장에 따른 변이 문제 그리고 원기재와 약간의 차이점이 있어 앞으로 계속 수집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분류된 해서류를 목별로 보면 수수 목(Order Dendrochirotida)에 19종으로 가장 많고, 은족 목(Order Molpadida)에는 4종, 무족 목(Order Apodida)과 순수 목(Order Aspidochirotida)에는 각각 2종이 포함되어 있었다. 각 종의 채집지를 보면 돌기해삼(Stichopus japonicus)이 총 47개 채집지 중 28개 지역(59.5%)에서 발견되어 우리나라 전 해역에 분포하는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채집지별 종의 수는 남해의 미포가 총 27종 중에서 9종(33.3%)으로 가장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별 종의 분포는 남해에 15종(55.5%)으로 가장 많고 나머지 해역에서는 모두 9종(33.3%)이 발견되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고, 각 해역에만 나타나는 종의 수는 동해가 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황해가 4종, 제주도가 3종이며 남해가 1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해역간에 있어 공통인 종의 수를 보면 남해와 제주도가 7종으로 가장 많고, 황해와 남해가 6종이며, 동해와 제주도가 1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수성별 분포는 온대수성종이 14종(51.9%)으로 가장 많고 열대수성종이 9종(33.3%), 한대수성종이 3종(11.1%), 범세계종은 1종이었다. 대양별 분포는 태평양에 27종(100%)으로 가장 많고 인도양과 대서양에 각각 6종(22.2%), 북극해에 4종(14.8%), 남극해에 1종(3.7%)의 순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4 Ⅲ. 형태 및 분류학적 형질 = 8 Ⅳ. 결과 = 15 1. 분류목록 = 15 2. 검색표 및 종의 기재 = 18 3. 분포 = 74 Ⅴ. 고찰 = 79 Ⅵ. 결론 = 83 참고문헌 = 85 도판설명 = 93 도판 = 101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062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산 해서류(Class Holothuroidea)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