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근로여성 모성권의 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Title
근로여성 모성권의 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ight of maternity' of Women Worker
Authors
김은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욱
Abstra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Constitution, the idea of gender equality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Korean Constitution. 0 particular, there has been immense endeavor to realize the gender equality in legal terms, following the signing of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CEDAW). As a result, a number of laws were legislated, such as the Women's Development Act, and the Gender Discrimination Prevention and Relief Act; and one could say that gender equality in terms of law came true in Korea- However, many women still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public sphere, as they are supposed to carry out maternal functions, i.e. Pregnancy, birth and breast-feeding, and to take complete charge of child-rearing. In response to such difficulties, laws like the Labor Standards Act stipulates the maternity protection in the text. Yet, it is merely the dimension of 'protection', and what it guarantees is unsatisfactory. What needs to be guranteed is not the maternity protection, but 'the right of maternity', which understands the performance of maternal functions a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nd which has its basis on the relative egalitarian ideal to treat difference as difference. Guaranteeing the right of maternity is therefore the precondition for the substantial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right of matemity' for women worker, and focuses on the theories of legislation that substantially guarantee the right of maternity in relative laws, like the Labor Standards Act. In the second chapter, 1 explore the history of the right of women worker from the beginning of the maternity protection up until now, and conceptualize the right of maternity. The maternity protection began with the need to protect women worker by improving the conditions of labor in the early days. It moderated discussions on the protection of women and gender equality, and came to be regarded as the precondi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bstantial gender equality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is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mere protection of women. Recently it has been furthered, from the ideal of the protection of women in terms of bestowing favors on women, to the ideal of guaranteeing rights, and theories about the right of maternity have emerged. 1 argued that Korea also had to conceptualize the right of maternity and acknowledge it concretely. In the third chapter I investiga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regarding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some examples of legislation in foreign countries. The UN has paid attention to gender equality since its establishment. In particular, it has legislated the CEDAW which were called 'the Constitution for Women in the World' and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 These specified the importance of maternity,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s against women based on maternity, and special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concrete discriminations. In addition, they articulated the right of maternity in detail and the duties of the state regarding it. The ILO also adopted the Maternity Protection Convention and prescribed maternity leave, the guarantee of employment and maternity benefit. By doing so, it contributed to the substantial guarantee of maternity, with which many countries have been concerned, by adopting the convention of the ILO. In the fourth chapter, 1 analyzed the legal basis and actual performance of the maternity protection for women worker and recent debates concerning its revision in Korea. The maternity protection was stipulated in Article 36,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following which it was also specified in laws like the Labor Standards Act. However, the stipula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in these laws is far less effective than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 that in foreign countries, in terms of its level of guarantee. Furthermore, the ideals of gender equality and the maternity protection elucidated in the Constitution are not realized, and there are still many forms of discriminations caused by the performance of maternal functions. Therefore, there have been constant demands for the revision of the stipula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for example,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laws including the Labor Standards Act have recently been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Nevertheless, there remain a number of issues concerning the revision, such as the maternity benefit scheme at the social insurance or by means of public funds. The final chapter discusses the present problems of the maternity protection for women worker, and plans for its improvement, on the basis of what I examine in the previous chapters. First of all, 1 argue that there are limits to the 'protection' of maternit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it as 'the right of maternity'. Second, regarding the system of laws relating to the maternity protection in Korea, I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unite the legal stipulations inlaws like the Constitution, the Labor Standards Act, the Equal Employment Law, and the Women's Development Act. Third, 1referred to the extension of the period of a maternity leave, as well as the need of the scheme at the expense of society in order to guarantee maternity more substantially Finally, 1 looked at the adop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leave system, and the expansion of the range to which the stipulat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is applied. With these pouts, 1 concluded this article by arguing that it is the precondition for the substantial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to guarantee 'the right of maternity' as a right in the laws concerning maternity, including the Constitution of Korea. ;남녀평등의 이념은 제헌헌법 이래로 우리 헌법상의 가장 중요한 과제의하나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긔가입이후 법적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여성발전기본법과 남녀차별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등 많은 법들이 제정되어 이제 법적으로는 남녀평등이 구현되었다고도 할 수 있겠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이 공적인 영역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임신·출산·수유의 모성기능의 수행과 육아의 전담은 여전히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근로기준법 등에서 근로여성의 모성보호를 규정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보호'의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보장수준도 미흡하다. 모성기능의 수행은 남녀간의 유일한 차이로 '다른 것은 다르세' 대우하는 상대적 평등이념 하에서는 모성의 '보호'가 아닌 '모성권'으로 보장하는 것이 남녀평등의 실질적 구현을 의한 전제조건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근로여성 '모성권'의 개년화와 함께 근로기준번 등 관련법에서 실질적으로 모성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입법론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으로 제2장에서는 근로여성의 모성보호에 대한 전체적인 발전과정과 '모성권'으로의 개념화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모성보호는 초기 여성들의 열악한 노동조건의 개선을 위한 여성보호에서 시작하여 여성에 대한 보호와 남녀평등의 논의를 통해 여성보호와는 구분되는 남녀의 차이에 기반한 실질적 평등의 구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자리매김 되었으며, 최근에 와서는 시혜적인 보호에서 나아가 권리보장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모성권'에 관한 이론이 전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모성보호에서 나아가 '모성권'으로의 개념화와 구체적 권리성의 인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모성보호에 관한 국제적인 기준과 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UN은 설립당시부터 남녀평등에 주목하고 있는데, '세계여성의 헌법'으로 불리는 여성차별철폐협약과 북경행동강령에서는 모성의 중요성 및 이에 근거한 차별의 금지와 현실적인 차별의 개선을 위한 특별조치를 규정하면서 더불에 여성의 모성에 관한 권리를 자세히 밝히고 이를 위한 국가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ILO에서도 모성보호협약을 채택하여 출산휴가와 고용의 보장 및 모성급부 등을 규정함으로써 실직적인 모성의 보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에서 이를 받아들여 모성의 보장을 위해 국가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제4장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근로여성 모성보호에 관한 법적 근거와 시행실태 및 최근의 개정논의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헌법 제36항 제2항에서 모성의 보호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헌법의 이념을 받아들여 근로기준법 등에서 이를 구체화하고 있다. 그러나 근로기준법 등의 모성보호규정은 그 보장수준이 국제기준이나 외극의 입법례에도 크게 못미치며, 헌법의 남녀평등과 모성보호 이념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도 못하여 오히려 모성기능의 수행으로 인한 차별이 여전한 실정이다. 이에 계속적으로 모성보호규정에 대한 개정요구가 있어왔으며 최근에는 국회에서 근로기준법 등의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중에 있으나 모성급부의 사회부담화 등 많은 부분이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제5장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현행 근로여성 모성보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는데, 우선 첫째, 모성'보호'의 한계와 '모성권'으로의 재개념화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우리나라 모성보호 관련법의 체계와 관련하여 헌법 이하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여성발전기본법 등에서의 법규정상의 통일의 필요성과 모성의 범위에서 육아를 분리하여 성별역할분리를 강화하는 여성의 육아 전담을 개선하도록 제안하였고, 셋째, 모성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출산휴가 기간의 확대 및 비용의 사회부담화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기타 모성보호휴가제도의 도입과 모성보호규정의 적용범위 확대 등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헌법 이하 모성관련법에서 '모성권'이 권리로서 보장되는 것이 실질적인 남녀평등의 구현을 위한 전제조건임을 논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