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鄭賢璟-
dc.contributor.author趙潤貞-
dc.creator趙潤貞-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64-
dc.description.abstract아시아 여성들의 신학은 그들의 삶의 현장에서 출발한다. 그들은 과학기술 문명과 개발로 상징되는 새로운 세계 질서에 대항하여 끊임없이 생태 투쟁을 전개해왔다. 이러한 생태적인 투쟁은 여성 자신들의 행방을 위한 투쟁이기도 한데, 전통적으로 아시아에서 여성과 자연은 밀접히 연결되어 왔기 때문이다. 아시아 여성에게 있어서 생태학이란 곧 경제학이기도 하다. 자연의 죽음은 그들에게 생계와 생존에의 위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생태적인 투쟁을 멈출 수 없다. 그들의 투쟁은 지구를 살리고 우주에 있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강인한 몸짓이다. 아시아 여성들의 구체적인 투쟁의 현장을 보게 되면, 아시아 여성들의 신학이란 바로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출발하는 것임을 통찰하게 된다. 그리고 여성과 생태의 해방을 동시에 모색하는 기존의 생태여성해방 신학은 아시아 여성에게 있어서 적합한 신학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아시아 여성의 투쟁을 신학화하기 위해 생태여성해방 신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아시아의 생태여성해방 신학'이다. 이 신학은 먼저 아시아 여성들이 살고 있는 아시아라는 구체적인 현장을 문화·정치·경제적으로 분석하는데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여성과 자연의 행방을 위한 토대들을 순수히 아시아적인 차원에서 모색한다. 아시아 여성들의 신학은 그러므로 제3세계적이고 아시아적이고, 여성적인 신학일 수밖에 없다. 아시아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출발점은 나날이 생존을 위해 살아가는 여성들의 삶이다. '생존'이 이들이 지향해야 할 궁긍적인 해방이다. 이것이 여성적인 동시에 생태적인 생존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학적 관점을 가지고서 이제는 한국이라는 상황에 죽목하려 한다. 한국에서 생존을 가장 위협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분단 상황' 이다. 한국 상황에서 하는 아시아의 생태여성해방 신학은 분단 상황과의 만남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이렇게 아시아 여성의 구체적인 삶에서 출발하는 신학을 위해 아시아의 생태여성해방 신학을 모색해보고 이를 한국적인 상황에 적용하여 한국적인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전망을 가져보기 위해 본 논문은 쓰여졌다.;Asian Women's theology starts with their lives. They have been doing ecological struggle against the New World Order which symbolizes scientific, technical culture and development. This ecological struggle means Asian Women's own liberation; for women are closely connected with nature in Asia traditionally. For Asian Women, ecology is also economics; for the death of nature represents threats to their living and survival. So they cannot stop the ecological struggle. Their struggle is a very strong demonstration to revive the earth and sustain the lives in the cosmos. Observing Cis Asian Women's concrete struggle, I come to know that Asian Women's theology begin with their lives. Therefore, Eco-Feminist theology which has searched for liberation of both women and ecology gives the theological methodology tr Asian Women. Thus for doing theology from Asian Women's struggle, I critically accept Eco-Feminist theology; it is Asian Eco-Feminist Theology. First, this theology analyses the context of Asia, especially cultural, political and ecological perspective and searches for the basis which is very Asian source. Asian Women's theology is thus necessarily very third-world, Asian and feminine theology. The starting point of Asian Eco-Feminist Theologyis the daily lives of Asian Women who have been living for survival. Survival is their ultimate liberation which they should head for. It means both feminine and ecological survival. With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1'll attend the content of South Korea. What is the threat to the survival in South Korea most? It is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Asian Eco-feminist Theology,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should begin with 'the division' of nation. Therefore, for doing theology from Asian Women's lives, I search for Asian Eco-Feminist Theology and then apply it in the context of SouthKorea to view Korean Eco-Feminist Theology; it is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 개요 = vi Ⅰ. 서 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 방법 및 범위 = 3 Ⅱ. 생태여성해방 신학이란 무엇인가? = 6 1. 서구 여성의 시각에서 출발한 생태여성해방론 = 6 2. 남성중심적 생태신학의 한계 = 7 3.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정의 = 11 Ⅲ. 아시아의 생태여성해방 신학을 향하여 = 14 1. 아시아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주체들 = 15 2. 아시아의 문화·정·치·경제적인 상황 = 17 (1) 가부장제와 성(Gender) = 18 1) 여신을 죽이는 제의로서의 사티(Suttee, Sati) = 19 2) 아시아 여성이 보는 가부장제 = 22 (2) 개발, 성장 그리고 과학 이데올로기 = 24 1) 성(gender)의 관점에서 본 개발 이론 = 26 2) 개발 이론에 대한 담론들 = 27 (3) 새로운 세계 질서 = 29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세계 경제 = 30 2) 지구화적 경제 체제의 강화 = 32 3) 새로운 세계 질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33 3. 아시아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자료를 = 33 (1) 여성적 원리 = 34 1) 여성과 자연 = 35 2) 여성적 원리의 죽음 = 36 3) 여성적 원리의 회복을 위한 과제 = 37 (2) 아시아의 민담(民譯) = 38 1) 민중신학에서 보는 이야기 = 39 2) 이야기로서의 성서 = 40 3) 생태여성해방 신학적 관점에서 본 아시아의 민담 = 42 (3)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 43 1) 전통적인 교회의 영성 = 45 2)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영성 = 46 3) 아시아 여성의 영성 = 47 4) 새로운 영성의 모색 = 48 4. 몇 가지 신학적 모형들 = 48 (1) 반다나 쉬바(Vandana Shiva) = 48 1) 여성, 개발 그리고 생태학 = 49 2) 생존을 위한 다양성 회복 = 51 (2) 가브리엘 디트리히(Gabrie Dietrich) = 52 1) 디트리히의 신학적 방법론 = 53 2) 하나님 몸으로서의 세계 = 56 Ⅳ. 아시아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과제들 = 58 1. 가부장제, 개발 그리고 새로운 세계 질서에 대한 투쟁으로서의 신학 = 58 (1) 칩코 운동에 대한 신학적 고찰 = 60 (2) 신학적 패러다임의 제안 = 62 2. 생태여성해방의 공동체 모색 = 63 (1)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성서적 토대 = 65 (2) 새로운 공동체 모형으로서의 생활 공동체 = 67 Ⅴ. 한국상황에서의 생태여성해방 신학 모색 = 72 1. 한국적 통일신학의 출발점으로서의 한국 여성신학 = 73 2. 아시아 생태여성해방 신학의 관점에서 본 통일신학 = 78 3. 한국적 생태여성해방 신학올 향하여 = 82 Ⅵ. 결론 = 89 참고 문헌 = 9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08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시아의 생태여성해방 신학 모색을 위한 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earch for Asian Eco-Feminist Theology : Doing Theology form Asian Women's Perspective-
dc.format.pagevii, 9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