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진혜경-
dc.contributor.author김윤숙-
dc.creator김윤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6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57-
dc.description.abstract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는 가족을 힘들게 하고, 부수적으로 학습장애와 품행문제 등 나이가 들수록 더 큰 문제가 발생되며, 이를 오랫동안 방치하면 영구적인 성격장애가 될 수도 있고, 반사회적인 성격으로 발전하여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원인적으로 명확한 연구가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며, 이에 대한 치료도 약물치료와 행동치료 등이 일반적으로 쓰여지지만 단기적인 치료에 그치고 있어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본 연구는 비행이 동반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행동조절에 음악치료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한 소아정신과 입원환자 중에서, 10세~13세의 ADHD 진단을 받고 비행을 동반하는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02년 2월부터 4월에 걸쳐, 매주 2회 30분, 사례별로 12회씩 총 36회의 개별 음악치료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양적, 질적 연구로 이루어지며, 양적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전과 후의 KPI-C 검사를 통해 아동의 자아탄력성 척도, 언어발달 척도, 우울 척도, 비행 척도, 과잉행동 척도를 측정하였다. 또 음악치료중에 나타난 연주의 시간을 기간기록법(Duration Recording)으로, 자리 이탈의 횟수와, 부적절한 언어의 횟수, 지시에 따르지 않는 행동의 횟수를 빈도수 기록(Frequency Recording)으로 측정하여, 행동조절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사례별 비교하였고, 사용된 음악치료 활동이 행동조절에 유의미하게 작용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매회기의 음악치료 내용과 정서적 변화, 내면의 심리적 변화, 음악적 반응의 변화를 아동과 치료자의 상화관계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서술 기록(Narrative Recording)하여 종합 분석을 하였다. 음악치료 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 아동의 상태와 환경을 고려하여, 사례별 부적절한 행동 유형을 진단하고, 음악치료적 진단을 거쳐, 3기로 나누어 단계별 계획을 세웠고, 각 단계 내에서 개별적 음악치료의 적용을 하였다. 음악치료의 프로그램은 사례별 아동의 매 회기 반응과 특성에 따라, 동작과 이완, 건반악기 배우기, 즉흥연주, 음악감상과 그림 그리기, 노래부르기(SIng along), 가사 만들기, 중에서 사용되었다. 인본주의적인 이론에 입각하여 음악적 자극이 정서의 변화를 가져오도록 하며 음악치료과정에서 수용, 공감, 방향수정의 개입을 하여 행동조절(표현)을 유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전 사후 한국판 인성검사(KPI-C)에서 A와 B의 사례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고, C의 사례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음악치료에 대한 양적결과는 행동유형별 나타난 각 회기의 점수를 Data Collection Method에 의해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아동들의 행동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악기의 연주시간, 자리 무단이탈, 부적절한 언어 사용, 지시에 따르지 않기를 측정한 결과, 사례A의 경우 악기의 연주 시간은 6회의 음악적 리듬을 연주한 것에서 즉흥연주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었으며, 자리 무단이탈, 부적절한 언어 사용, 지시에 따르지 않기는 지속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B사례의 악기 연주시간은 8회에서 12회 사이에 두드러지게 증가하였고, 부적절한 언어의 사용은 B사례는 기복이 심하게 나타났다. 지시에 따르지 않는 행동도, 전반적인 감소를 나타나 행동조절에 어느정도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C사례의 악기연주는 8회부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7회에서는 극적인 상승이 나타났다. 지시에 따르지 않는 행동에서 아동은 3회기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며 4회기의 면담이후 치료사와 신뢰감이 형성되면서 6회에 크게 줄었고, 7회기 면담이후 계속 줄어들어 행동조절에서 많은 진전을 보였다. 질적 연구의 분석에서는 아동의 정서와 내면의 미묘한 변화가 이루어져, 분노 등 마음 상태의 안정을 가져왔고, 즉흥연주의 시간증가와 연주 내용의 질적인 변화, 상호작용의 자연스런 향상이 이룩되면서 행동조절에 유의미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A사례 아동의 경우, 악기의 연주시간은 즉흥연주시 가장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리 무단이탈과 지시에 따르지 않기는 음악감상을 할 때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에 따르지 않기는 가사 만들기를 할 때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B사례의 경우 악기의 연주시간은 가사 만들기시 가장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리 무단이탈과 지시에 따르지 않기는 가사만들기 할 때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언어사용은 노래부르기 할 때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C사례의 경우, 악기의 연주시간은 점점 줄어들었는데, 즉흥연주의 상호작용과 자발적인 연주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리 무단이탈은 노래부르기를 할 때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언어사용은 가사만들기를 할 때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에 따르지 않기는 노래부르기 활동을 통하여 회수가 가장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짧은 시간 내에 개별 아동의 반등을 측정하고 관찰하였으므로, 대상이 극적 변화를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가 종결되었다는 아쉬움이 있으나, 개별음악치료가 아동의 원인적인 문제점들을 찾고, 매 회기마다 한 아동만을 위한 개별적 음악치료의 대응과 조치를 할 수 있었다는 면에서는 효과적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기한 대상들의 부적절한 행동조절 문제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oblem of the child who has the attentiveness lack excessive behavior obstacle put his or her family in predicament and as the child gets older, it supplementally becomes more serious problems such as learning obstacle, behavior problem and so on. If this condition would be left without any action, the child would have a permanent personality obstacle, accordingly, this would be developed into an antisocial personality. Eventually, this child would commit crimes, A lot of research have been done, however, any research of which reason was accurately or precisely defined has not been done yet. Medicinal 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is gener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se obstacles, however, they are all done just for a short-term. Therefore,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more research is demanded.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s to find the effects that the musical therapy has influence on the behavior control of the child who has the attentiveness lack excessive behavior obstacle, following misbehavior.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of which objects were three children with misbehavior after being diagnosed as ADHD and which was done from February to April, 2002 for thirty minutes, two times a week, total 36 times which was 12 times per a case. This research is mad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child's self-elasticity standard, language development standard, gloominess standard, misbehavior standard, excessive behaviour standard, social relationship standard, psychiatric symptom standard before and after the Musical therapy were measured through the KPI-C Test.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which was shown in the middle of the Music therapy was measured by Duration Recording and the frequency of the inappropriate language, seat leave, and behavior no following the instruction were measured by Event Recording. That which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the behavior control meaningfully was analyzed among the Music therapy used in the session by case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every session's Music therapy contents and the change of psychological & musical reaction were concretely written by the Narrative Recording and analyzed synthetically in the perspective of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a therapist. To establish the Music therapy,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s of the child were considered, the inappropriate behavior types by cases were diagnosed, the schemes by stages were created, and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was applied in the each stage.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made of keyed instrument learning, improvisatorial performance, music appreciation, drawing, sing along, and song writing according to the everytime's reac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child per cases. It led the child into the musical behavior control(ex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eption, sympathy, direction amendment on the basis of humanism. The research result is that the A and B cases show a meaningful change and the C case doesn't show any meaning. The research outcome shows that The case A and B has a meaningful change and the case C has no meaningful change in the proactive and action Korean version of KPI-C Test. The quantitative outcome of Music Therapy results from 1)the comparison by the behavior type and 2)the change of behavior control capability by the music activity type that were measured by Data Collection. In an attempt to study changes in the behavior control of childre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the seat leave without notice, the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and no following to the instruction showed, in the case A, that their interest in the improvisatorial performance appeared in the 6th round of the rhythm performance, and the other showed gradual decrease. In the case B,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made remarkable increase between the 8th and 12th round, and the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showed lots of ups and downs. No following to introduction decreased on the whole, telling of their success in the behavior control in a degree. In the case C, the instrument performance began to decrease from the 8th round, but showed its dramatic increase in the 7th round. No following to the introduction showed increase until the 3rd round in the child. After consulting with the therapist in the 4th round, the child established the credit between them, and resulted in striking decrease in the 6th round. After the 7th round of consulting, the child continued decreasing and showed remarkable progress in the behavior contro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delicate change of the inner part of the child causes the natural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of mind condition such as anger and so on and of the technical capability of the mutual action, and accordingly, it has related to the behavior control meaningfully. In the A case's child,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during the improvisatorial performance showed the highest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seat leave without notice and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showed the highest decrease through the process of the song writing. In the B case,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had the highest increase during the song writing. The frequency of the seat leave without notice and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and no following to the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decrease through the process of th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In the C case, the instrument performance time had the highest increase during the song writing, The frequency of the seat leave without notice and no following to the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decrease through the process of the sing along. The frequency of the inappropriate language usage showed the highest decrease through the process of the improvisatorial performance.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was finished at the moment showing the dramatic change of the object due to the short-term measurement and observation of the each child's reaction. That leaves a sort of regret, however,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was effective in the perspectives of finding the causing problems and of acting & coping of the individual Music therapy for just one child every session. Besides, the research can be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shows some results of the inappropriate behavior control problems of the object proposed in this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 7 B. ADHD 아동의 행동조절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5 C. 행동조절에 대한 선행 연구들 = 21 D. ADHD 아동에 대한 음악치료의 기능 = 23 E. ADHD 아동에 대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 25 Ⅲ. 연구 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측정도구 = 33 C. 연구 과정 = 38 Ⅳ. 연구결과 = 51 A. KPI-C(한국판 인성검사)결과 = 51 B. 음악치료에서 나타난 사례별 행동조절 점수의 변화 = 54 C. 음악치료의 질적 분석결과 = 58 Ⅴ. 결론 및 논의 = 103 A. 결론 = 103 B. 제한점 = 106 C. 제언 = 107 참고 문헌 = 108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110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행동조절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affecting the behavior control of the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Children-
dc.format.pagev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