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Title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Authors
송나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원문누락 Weissberg, & Hawkins(1989)의 사회적 능력 평가 척도 가운데, 교사 평정용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인지능력에 대한 측정도구는 Clark 등 ( 1983 )의 IIPACC (Iowa Inventory for Parent Assessment of Children's Competencies) 중 인지능력 요인을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요인분석, T-검증,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공변량분석 및 x^(2) 검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5, 6세의 외동이와 형제아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국민학교 아동과 중학교 아동에 있어서는 형제유무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고등학교 1,2학년의 경우에는 형제유무에 따른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형제유무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적어도 취학전 연령이나 고등학교 이상의 연령에서는 형제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2. 외동이와 형제아간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의 차이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3. 각 연령집단에서, 어머니의 출산동기에 따른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동일한 연령집단에서는 개개인의 출산동기보다는, 그 집단 전체가 경험하는 문화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competence & cognitive competence of the only child in comparing to sibling chil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A total of 360 children were selected from the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 2nd and 5th ),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on social and cognitive competencie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 cognitive compet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of the kindergartens. Bu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mpetence 81 cognitive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the sibling configuration (only child vs. sibling child). For high school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Therefore, it seemed likely that the degree of the difference between only children and others vari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in social competence 81 cognitive competence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sibling children . 3. The voluntariness of fertility outcomes does not make any differences in either the social competence o r cognitive competence of any child in each age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