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과제의 성격에 따른 연습의 다양성 효과

Title
과제의 성격에 따른 연습의 다양성 효과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운동학습에 있어서 연습을 다양하게 시키는 방법과 고정되게 시키는 방법이 학습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과제의 성격에 따라, 개방기술과제와 폐쇄기술과제에서 각각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경험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두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번째 실험은 개방기술을 가지고 집단 1에는 다양하게 연습을 시키고, 집단 2에는 고정되게 연습을 시켰다. 두집단의 과제수행에 있어서의 기술의 변화는 연습시행단계와 전이단계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한편, 두번째 실험은 폐쇄기술과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연습과 고정된 연습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Schmidt(1975)가 주창한 도식이론(schema theory)에 근거한 연습의 다양성가설이 과제의 성격별로 개방기술과제(open-skill task)와 폐쇄기술과제(closed-skill task)를 사용한 운동학습에 대한 실험에서 각각 어떻게 적용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는 선행연구결과와 문헌섭렵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첫째, 개방기술과제에서 연습을 다양하게 시키는 경우가 수행과학습에 효과가 있다. 둘째, 폐쇄기술과제에서도 이러한 연습의 다양성 효과가 수행과 전이단계에 각각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에 참여한 대상은 이화여자대학교에 재학중인 만 19-20세의 학생들로써 총인원은 40명이었다. 이들은 실험 Ⅰ과 실험Ⅱ에 20명씩 나뉘어 졌으며, 각실험에서의 다양한 연습집단과 고정된 연습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 실험 Ⅰ은 개방기술과제의 하나인 Bassin 예측 타이밍 과제 (Bassin Anticipation Timing Task)를 가지고 집단 1에서는 불빛의 속도가 2, 3, 4 mph의 세가지 다양한 조건하에서 연습시행단계를 거쳤으며, 집단 2에는 불빛속도를 3 mph로 고정되게 주어 연습을 하게 하였다. 그 후 전이단계에서는 두집단 모두에게 1 과 5 mph 의 두가지 조건에서 학습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폐쇄기술과제인 직선정치과제 (Linear Positioning Task)를 사용하여 집단 1에서는 정치과제를 300, 400, 500 mm 의 거리로 다양하게 주었으며, 집단 2에서는400mm로 고정되게 주었다. 그 후 전이단계에서는 두 집단 모두에게 200, 600mm로 주어 학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 Ⅰ에서는 연습시행단계에서 시행별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전이단계에서 집단간 조건의 효과가 의의있게 나타났다. 이로써, 개방기술과제에서는 다양성 효과가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험 Ⅱ에서는 연습시행단계에서 집단간 조건의 효과가 나타났을 뿐 전이단계에서는 집단간, 시행간, 시행과 집단간의 상호작용에서 아무런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같은 사실로 미루어 보아, 패쇄기술과제에서는 개방기술과제에서와 같이 연습의 다양성 효과가 운동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What is the practice variability hypothesis on motor learning and how does it apply to characteristics of task?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undertook two following experiments. First, experiment I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the effect of practice variability on learning an open skill task. 20 right-hand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never experienced the experimental task before, were randomly assigned to group 1 and group 2 which refer to constant group and variable one. And they were given a total of 90 practice trials as well as 20 transfer trials. Secondly, experiment Ⅱ delt with closed skill task under the same process as in experimentⅠ. The study's theoretical part reviews Schmidt's schema theory(1975)and its research part tested empirically the theory which suggests that variable practice is superior to constant practice. In addition, it examined whether practice variability theory has an effect on any changes when this theory i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task. Response timing error(Exp.Ⅰ)and respose distance error(Exp.Ⅱ)were analyzed in terms of absolute error with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s. The results showed that: 1. In experiment Ⅰ, there were significant trials and condition effects in practice phase and in transfer phase, respectively. 2. In experiment Ⅱ, Non significant condition, trials, trials condition interaction effects were evidence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suggest that the practice variability effect differs from task to task, i.e., as a function of task n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