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주연-
dc.creator이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6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making and analysis of works which united the universal tradition showed in the colored painting and the Korean view of color with the current particularity by reillumina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colored painting in the Korean tradition of beauty and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lor.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rearranging the position of traditional colored painting within the Korean painting and rediscovering and trying to expression of the Korean color. First, this thesis attempted to reilluminate the colored painting as a traditional painting. The colored painting originated form the use for sorcerous aim or a means of decoration in the prehistorical age. After the time it had succeeded to the tradition as a main stream of northen school of Chinese painting. But, since the latter time of the Yi Dynasty it has been, depressed of the false understanding of the colored painting. Secondly, by examining the tradition of the Korean view of color, I could pro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nse of color are to attach importance to the meaning, symbol, and idea due to affecting the thought of The Five Element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and naturalism and to regard coloar as a means for expression of them. I also confirmed that each of these streams of thought formed the splendid color and the serene color shown in the traditional heritag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aving a unique feature in terms of the mode and art of drawing, the colored painting in the tradition of Korean painting has made a obvious traditio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a color peculiar to the Korean. Continued until recently, therefore, the :false understanding of colored painting and the excessive partiality for the painting in India ink should be corrected. In order to realize this argumen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have a new understanding and revival of the beauty of traditional color. After all, to maximize the outcome and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t has to be continued that the artist rediscovers the subject matter concerned with the image and feeling of Korean living and re-creates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theme of work and needs of the times.; 본 논문은 한국의 미적 전통 속에서 채색화가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부각시키고, 그 속에 나타난 한국적 색채관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규명해 봄으로써, 채색화 및 한국적 색채관 속에 투영된 보편적 전통성의 기반 위에서 오늘날의 시대적 특수성을 결합시킨 작품제작 및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한국화에 있어 전통적 채색화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한국적 색채를 새롭게 발견하여 그 표현을 모색해 본다는 데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전통회화로서의 채색화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하여, 채색화는 선사시대에 주술적인 목적이나 장식의 수단으로 사용된 것을 기원으로 하고, 이후 北晝의 주요한 갈래로서 그 전통을 유지하였으나, 조선 후기 이래 채색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으로 지속적인 침체를 거듭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적인 색채관의 전통을 규명하기 위한 시도에서는, 한국인의 색채의식이 陰陽五行사상과 自然主義사상의 영향으로 의미나 상징 및 관념을 중시하고 색채는 이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했음이 그 특징으로 지적되며, 위의 사상적 흐름들이 각각 五彩를 중심으로 한 화려하고 원색적인 색채와 脫彩色을 강조한 차분하고 은은한 색조를 형성하여 전통적인 문화유산들을 통해 구체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 드러난 채색화의 전통과 그 속에 나타난 한국적 색채관의 특징을 작품제작과 분석을 통해 표현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화의 전통 속에서 채색화는 그 樣式과 畵法에 있어 독특한 특징을 지니면서 뚜렷한 전통을 형성했고, 특히 한국적인 고유색채의 창출과 그 표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따라서, 최근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채색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이에 따른 水墨 일변도의 화풍은 마땅히 바로 잡아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색채가 가져다 주는 아름다움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현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결국, 본 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삶의 모습과 생활감정이 담겨 있는 다양한 소재들을 재발견하고, 그 속에 내재된 전통적인 美意識을 주제의식과 시대적 요구에 맞게 재창조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問題 및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2 Ⅱ. 本論 = 4 A. 傳統繪畵로서의 彩色畵 = 4 1. 彩色畵의 개념 = 4 2. 彩色畵의 발달과정 = 7 3. 한국화단에 있어서의 彩色畵 = 11 B. 韓國的 彩色觀 = 13 1. 韓國的 色彩觀의 사상적 배경 = 13 2. 韓國的 色彩觀의 특징 = 18 3. 生活文化 속에 나타난 色彩意識 = 20 i) 소극적·금욕주의적 색채의식 = 20 ii) 적극적·개방적 색채의식 = 21 C. 作業을 통한 表現過程 = 23 1. 主題設定 및 內容 -傳統色을 바탕으로 한 彩色表現 = 23 2. 表現 및 傳達方法 = 24 i) 전통적 채색방법 = 25 ii) 색면의 분할, 공간의 분할 = 26 iii) 우연적 효과 = 27 Ⅲ. 作品分析 = 29 Ⅳ. 結論 = 45 參考文獻 = 50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90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dc.title채색기법에 의한 한국적 색채의 추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