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양자-
dc.contributor.author조영희-
dc.creator조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2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mode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in Korea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7 university students except first grade year, 59 Adapted Physical Activity(APA) Professionals, and 164 APA Instructors. The method of study questionnaire were engaged by the Jun Sik, Park(1995), Jae Seung Kim(2002), Jun Hee Kim(1993) and Soo Kyung Park(1998)'s questionnaire. Questionnaires of students with 108 questions and APA professionals, instructors with 106 questions were used for analysis request intents, major satisfaction, composition content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urriculum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in Korea.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3.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ofessionals, and instructors selected Problems in Motor Development,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p<.05),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Emotional and Behavior Disturbance(p<.05),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p<.05), Study on Special Education, Study on Adapted Physical Activity,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APA in theory aspect, Physical Activit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p<.05), Field Experience in practice aspect. All of three groups answered that Field Experience was most important. Second,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curriculums are neither good nor bad(37.1%). Among students, grade 2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s, followed by grade 4, grade 3(p<.05). The student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showed higher level than them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he students demanded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Emotional and Behavior Disturbance,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hysical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the Visual Impairment,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Study on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theory subject, Physiotherapy, Sports for all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ield Experience in practice subject(p<.05). The student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adapte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demanded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Emotional and Behavior Disturbance,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hysical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the Hearing Impairment,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Learning Disabilities, Teaching Methods Adapted Physical Activity(p<.05), Field Experience(p<.05), Rehabilitation Sports Massage(p<.01), First Aid and Safety Management(p<.001). Third, According to major of APA professionals, the request intents of curriculu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ory subjects(p<.05),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subjects. APA professionals demanded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management in theory aspect, Winter Sport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p<.01), Field Experience in practice aspect. According to filed experience of APA professionals, there wa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ory subject(p<.05). APA professionals demanded Study on Adapted Physical Activity(p<.05), Teaching Methods in sports for the Elderly, Swimming, Physical Activity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ports for all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inter Sport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eaching Methods in sports for the children, volleyball, inlineskate, Rehabilitation Sports Massage. Forth, According to major and degree possession of APA instructors, the request intents of curriculu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ory subjects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e subjects(p<.05). APA instructors of both majors demanded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Management in theory aspect, Sports for all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ield Experience in practice subjects. According to degree possession of APA instructors, there w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ory and practice subject. Fifth, The students, APA professionals, instructors needed component ratio of curriculum of 60(theory):40(practice). They selected Problems in Motor Development, Behavior Management,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APA, Study on APA,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Prescrip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theory subjects, Field Experience, Sport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wimming, in practice subjects as core required subjects, Winter Sport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ports for all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ixth, as the problems of curriculum, the students selected "shortage of subjects connected with the job"(42.1%), they selected "it must plan curriculum for job"(44.2%) as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PA professionals(37.8%) and instructors(30.5%) selected "curriculum of centered special school" as the problems of curriculum, and they needed qualification process for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 and subject of "Collabor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were as follows; they wanted the component ratio of 60(theory):40(practice). it showed Problems in Motor Development, Exercise Prescrip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iomechanics Exercise,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APA, Physic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the Emotional and Behavior Disturbance, Intellectual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Learning Disabilities, Multiple Disabilities, Communication Disability, and Health Disability,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Management, Communication (Counselor ability), Collaboration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s theory subjects, Winter Sport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Volleyball, Swimming, Athletic, Baseball, Sport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lineskate, Sports for all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eaching Methods in sport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 Rehabilitation Sports Massage, Exercise Prescrip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nsory Motor, Field Experience in practice aspect. This conclusion will be foundation of 「Standard Curriculum Model in Korea」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에 필요한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교과과정과 미국의 표준화된 특수체육관련 교과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 전공 학생의 교과 만족도와 교과과정 요구도, 특수체육전문인(전공교수, 연구원, 전공박사)과 특수체육지도자의 교과과정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특수체육 전공자 중 1학년을 제외한 학생 225명, 특수체육전문인 67명, 특수체육지도자 190명으로 하였고, 설문의 충실도를 고려하여 학생 197명(응답율 87.6%), 특수체육전문인 59명(응답율 88.1%), 그리고 특수체육지도자 164명(응답율 86.3%)의 자료를 최종 결과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는 박준석(1995)의 체육계열 대학 교과과정 비교 연구의 교과분류표를 참고하여 교과영역을 분류하였다. 교과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김재승(2002)의 체육계열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에서 신뢰도계수 .8043인 교과과목 만족도에 대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교과과정 요구도 및 필요도와 개선방안은 김준희(1993)와 박수경(1998)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제작&#8228;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는 SPSS 1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지도자가 요구하는 이론교과목은 운동발달장애론, 장애인재활트레이닝, 정서행동장애체육론, 정신지체체육론, 특수교육학, 특수체육론, 특수체육지도법, 그리고 특수체육측정평가이고, 실기교과목은 장애인스포츠와 특수체육현장실습과목이다. 세 집단 모두 특수체육현장실습과목을 요구하는 과목 1순위로 선택했다. 둘째,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학년 전공)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라고 대답했고, 불만족보다는 만족하는 학생이 많았다. 학년별로는 2학년, 4학년, 3학년 순으로 만족도를 나타냈고, 전공별로는 특수체육학과 학생이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보다 높았다. 2, 3, 4학년이 요구하는 이론과목은 정서행동장애체육론, 정신지체체육론, 시각장애체육론, 특수체육지도법, 그리고 특수교사론이며, 실기과목은 장애인생활체육지도, 특수체육현장실습으로 나타났다. 특수체육학과, 특수체육교육학과생이 요구하는 필요교과목은 정서행동장애체육론, 정신지체체육론, 지체부자유체육론, 청각장애체육론, 학습장애체육론, 그리고 특수체육지도법이고, 실기과목은 특수체육현장실습, 재활스포츠마사지, 응급처치 및 인명구조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특수체육전문인들의 전공에 따른 공통 필요이론과목은 특수체육지도법, 행동관리이고, 실기과목은 장애인동계스포츠, 장애인생활체육지도, 그리고 특수체육현장실습이다. 현장경험 유무에 따라서 이론과목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실기과목은 차이가 없었다. 공통이론과목은 특수체육론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특수체육지도자들의 전공에 따른 공통 필요이론과목은 특수체육과, 특수체육교육과, 그리고 특수교육 전공 전문가들이 체육계열 전공 전문가들에 비해 정신지체체육론, 특수교육학, 행동관리, 그리고 특수체육지도법이며, 실기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와 특수체육현장실습 과목으로 나타났다. 특수체육지도자 석박사학위 유무에 따라서는 이론, 실기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이론과목은 운동발달장애론, 정서행동장애체육론, 정신지체체육론, 특수교육학, 행동관리, 특수체육론, 특수체육지도법이고, 실기는 특수체육현장실습, 노인스포츠지도법, 유아스포츠지도법, 수영, 장애인생활체육지도, 그리고 장애인스포츠과목이다. 다섯째,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지도자가 요구하는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교과과정 구성도는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지도자 모두 이론: 실기의 비율이 60:40으로 가장 높았다. 특수체육교육학과, 특수체육학과에서 동일하게 요구된 필수 이론과목은 운동발달장애론, 행동관리, 특수체육측정평가, 특수체육론, 특수체육지도법, 그리고 장애인 운동처방이었고, 필수실기과목은 특수체육현장실습, 장애인스포츠, 수영지도법 및 실습, 장애인동계스포츠, 그리고 장애인생활체육지도이다. 여섯째,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의 문제점은 학생의 경우 졸업 후 사회진출과 연관된 실무과목들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이론과목이 세분화되지 않아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었다. 전문인과 지도자는 (특수)학교 체육중심의 교과과정에 가장 큰 문제가 있다고 나타냈다. 일곱째, 개선방안으로 졸업 후 폭넓은 진로 및 취업을 위한 교과과정 마련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다양한 실기 및 실습과목의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현장인 모두 진로선택을 위한 필요한 교과과정으로 특수체육지도자 과정을 가장 필요로 했다. 여덟째, 미국의 특수체육국가공인 자격시험인 APENS와 미국 11개대학의 Adapted Physical Education Credential Program의 교과목 중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목과 일치하지 않는 교과목 중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지도자 모두 첨부하고자 하는 과목은 특수체육연계성 과목이었다. 건강장애체육론과목은 장애유형별 특성과목의 세부영역으로 현재 한국특수체육교육(학)과에서 다루지 않고 있으나 특수체육현장에서 필요로 하여 채택되었다.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상담능력)은 특수체육대상자 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의사소통능력과 상담능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통합체육교육과목은 미국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연구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장애학생의 증가와 더불어 통합환경 속에서 통합체육교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교육받은 특수체육지도자가 필요하여 채택되었다. 아홉째, 한국 특수체육전문인과 특수체육지도자가 불일치되는 교과목명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기존 체육학 명칭 앞에 특수체육을 붙여 특수체육역학, 특수체육생리학, 특수체육심리학, 특수체육사회학, 특수체육영양학, 특수체육연구법이라 지칭하기 보다는 일반체육학(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영양학, 체육연구법)을 선호했고, 장애(시각, 정서행동,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청각장애, 학습장애)론보다는 장애(시각, 정서행동,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청각장애, 학습장애)체육론을 선호했다. 정신지체체육론은 정신지체란 용어가 지적장애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므로 지적장애체육론으로 변경하였다. 동계, 하계에 할 수 있는 스포츠는 종목을 나누기보다 장애인동계스포츠, 장애인해양스포츠 사용을 선호하였으며, 야외활동은 등산 및 캠핑으로 구체적인 교과목 사용을 선호하였다. 또한 치료라는 용어보다는 재활로 표기하여 교정,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과과정은 이론과목으로 운동발달장애론(필수과목), 장애인운동처방(필수과목), 운동역학, 장애인재활트레이닝, 특수체육측정평가(필수과목), 정서행동장애체육론, 지적장애체육론, 지체장애체육론, 시각장애체육론, 청각장애체육론, 학습장애체육론, 중도중복장애체육론, 언어(의사소통)장애체육론, 건강장애체육론, 특수교육학, 특수체육론(필수과목), 특수체육지도법(필수과목), 행동관리(필수과목),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상담능력), 특수체육의 연계성, 그리고 통합체육교육의 총 21과목이고, 실기과목은 장애인동계스포츠(필수과목), 배구, 수영(필수과목), 육상, 장애인스포츠(필수과목), 인라인스케이트, 농구, 장애인생활체육지도(필수과목), 노인체육(스포츠)지도법, 유아체육(스포츠)지도법, 재활스포츠마사지, 응급처치 및 인명구조법(필수과목), 장애아 감각 운동 놀이지도, 그리고 특수체육현장실습(필수과목)의 총 14과목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과과정의 모형은 학교체육교육에만 국한된 특수체육교육(학)과의 교과과정이 아닌 현장교육을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복지, 재활 등 취업과 관련된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으로서, 한국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한국형 표준화 교과과정 마련에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연구문제 = 6 D. 연구의 제한점 = 7 E. 용어의 정의 = 8 Ⅱ. 이론적 배경 = 10 A. 특수체육에 관한 고찰 = 10 B. 교과과정에 관한 고찰 = 16 C. 특수체육교육(학)과의 교과과정 = 24 D. 선행연구 = 47 Ⅲ. 연구방법 = 49 A. 연구대상 = 49 B. 연구절차 = 52 C. 조사도구 = 53 D. 자료처리 = 57 Ⅳ. 결과 및 논의 = 58 A.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 특수체육전문인, 특수체육지도자가 요구하는 교과목 = 58 B. 특수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학년, 전공)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도 = 65 C. 특수체육전문인들의 개인적 특성(전공, 현장경험유무)에 따른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필요도 = 83 D. 특수체육지도자들의 개인적 특성(전공, 석·박사학위유무)에 따른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필요도 = 94 E.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 구성 요구도 = 104 F.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 문제점과 개선방안 = 113 G. 불일치 교과목명에 대한 선호도 = 125 Ⅴ.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 모형 개발 = 130 A.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 모형 개발 개념도 = 130 B.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 = 133 C.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내용과 선택기준 = 134 D.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 144 Ⅵ. 결론 및 제언 = 149 A. 결론 = 149 B. 제언 = 154 참고문헌 = 155 부록 1. 전문인, 지도자용 설문지 = 160 부록 2. 학생용 설문지 = 167 ABSTRACT = 1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1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모형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iculum Model Developmen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Department for Training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dc.creator.othernameCho, Young Hee-
dc.format.pagexi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