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조부모 및 부모 양육행동의 세대간 전이

Title
조부모 및 부모 양육행동의 세대간 전이
Other Title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by grandparents’ and parents’ generation
Authors
이진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style between generations and the effects of their own parenting practices on child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299 mothers and fathers who have child aged between 2 and 5years, attending 9pre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such as Lee(1983)’s and Hwang(1994)’s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parents and Schaefer (1959)’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ll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parents themselve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fathers perceived own father as affectionate, they showed more affectionate, autonomous parenting while those who had rejecting fathers were less affectionat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Also fathers who regarded their fathers as autonomous were less affectionat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When fathers perceived their fathers as controlling, they were more rejecting and controlling. Second, when fathers perceived own mother as affectionate, they showed more affectionate parenting while those who had rejecting mothers were less affectionat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However, when fathers perceived their mothers as autonomous, they were more affectionate and more autonomous. Also, fathers who regarded their mothers as controlling wer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Third, when mothers perceived own father as affectionate, they were more affectionate and less rejecting while those who perceived own father as rejecting tended to be less affectionat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Also, mothers who regarded their fathers as autonomous were more affectionate, more autonomous, and less controlling while those who regarded their fathers as controlling were more rejecting. Fourth, when mothers perceived own mothers as affectionate, they showed more affectionate, more autonomous, and less rejecting parenting style, but those who perceived rejecting parenting from parents tended to be less affectionate, more rejecting, and more controlling. Fifth, grandparents’ parenting affected to the parenting of the parents generation. When the fathers of parents’ generation showed affectionate parenting, it was mostly affected by own father’s autonomous parenting behaviors and then own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from grandparents’ generation. Furthermore, when the fathers of parents’ generation showed the rejecting parenting, it was related with own father’s rejecting and own mother’s rejecting parenting. Also the fathers’ autonomous parenting was correlated with own father’s autonomous and then own mother’s autonomous parenting behaviors while father’s controlling parenting was affected by own father’s controlling and own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practices. Thes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are strong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style between grandparents’ generation and fathers of parents’ generation. Finally, the grandparents’ parenting practices also affected mother’s parenting of parents generation. When the mothers showed affectionate attitude, they perceived their own mother as affectionate and then own father as autonomous on parenting. Also, mother’s rejecting parenting practices was related with rejecting parenting of the mother of grandparents’ generation and then own father’s affectionate and controlling parenting practices. Moreover, when the mothers of parents generation showed autonomous parenting, they perceived the autonomous, rejecting parenting of own father and autonomous parenting of own mother while those mothers who showing controlling parenting, perceived own mother as controlling and father as rejecting and autonomous. These emphasize that there is a parallel phenomenon between parenting practices of parents’ and grandparents’ generation, the continuity of parenting across generation.;본 연구는 조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의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비롯하여 조부와 조모의 양육행동이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양육행동의 세대간 전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개구에 소재한 9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299명의 만 3-5세 아동의 아버지와 어머니로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황선명(1994)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척도는 Schaefer와 동료들(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번역, 수정한 이원영(1983)의 척도를 수정 ․ 보완한 것이다. 부와 모는 자신의 양육행동과 더불어 어린 시절 자신의 부모로부터 받은 양육행동, 즉 조부모 세대의 양육행동을 회고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아버지가 애정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애정적, 자율적이었으며, 자율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애정적, 자율적이었다. 또한, 자신의 아버지가 거부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덜 애정적이며, 보다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으며, 통제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다. 둘째, 자신의 어머니가 애정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애정적이었으며, 자율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애정적, 자율적이었다. 또한 자신의 어머니가 거부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보다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으며, 통제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부는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다. 셋째, 자신의 아버지가 애정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더 애정적이며, 덜 거부적이었으며, 자율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더 애정적, 자율적이고 덜 거부적이었다. 또한, 자신의 아버지가 거부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덜 애정적이며, 보다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으며, 통제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더 거부적이었다. 째, 자신의 어머니가 애정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보다 더 애정적, 자율적이고 덜 거부적이었으며, 자율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어머니는 보다 더 자율적, 애정적이고 덜 통제적이었다. 또한, 자신의 어머니가 거부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모는 덜 애정적이며, 보다 더 거부적, 통제적이었으며, 통제적이었다고 지각할수록 어머니는 보다 더 통제적, 거부적이었다. 다섯째, 친조부 및 친조모의 양육행동이 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관련하여, 부의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친조부의 자율적 양육행동과 친조모의 애정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적 양육행동에는 친조부의 자율적 양육행동과 친조모의 자율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부의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친조부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친조모의 거부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부의 통제적 양육행동에는 친조부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친조모의 통제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외조부 및 외조모의 양육행동이 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관련하여, 모의 애정적 양육행동에는 외조모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외조부의 자율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율적 양육행동에는 외조부의 자율적 양육행동 및 거부적 양육행동과 외조모의 자율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모의 거부적 양육행동에는 외조모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외조부의 애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에는 외조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외조부의 거부적 양육행동 및 자율적 양육행동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조부모 세대와 부모 세대간 양육행동의 밀접한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이 세대에 걸쳐 얼마나 지속적인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조부모 세대에서 전이된 부정적 양육행동의 다음 세대로의 전이를 예방하고 다음 세대의 긍정적 양육행동 수행을 돕기 위해서는 부모 세대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더 활성화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