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에 관한 일 연구

Title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tthew Bourne's Swan Lake: Based on Intertextuality Concept
Authors
한혜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rive a new interpretation on Matthew Bourne's Swan Lake by analyzing the dance work's texts based on intertextuality theory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considering the context and their background. According to the intertextuality theory, an author's role is only limited to combine existing texts and images. Therefore, texts in a work can function in a three-dimensional dialogue with a horizontal axis connecting the author and the reader and a vertical axis linking one text to others. This opens infinite possibilities for text interpretation, which goes beyond the work itself and takes a broader view on the three-dimensional dialogue between the author, the reader and other texts. Janet Lansdale has adopted an intertextuality approach to dance analys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dance and its texts always co-exist, she identifies each element of the work including movements related to dance text, the musical text chosen, images, and ideas, and also investigates how meaning structure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dance. In addition, she defines a choreographer as a person to co-create a new text called "audience," shedding a new light on the role of the audience in creating one piece of dance. Based on a dance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by Lansdale, this paper analyzes Matthew Bourne's Swan Lake from four perspectives: dancers, movement text, visual text and aural text. The result of the analysis emphasizes on psychological and literary text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e, the Queen, the Swan and the Girlfriend, and historical text demonst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e and the Girlfriend. The intertextuality concept helped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the Prince) and other characters (the Queen, the Swan, and the Girlfriend) and to find out psychological, literary, and historical texts adopted in the ballet. This study assumes that the dance work appeals to the audience with various backgrounds and points of view thanks to the following reason: a psychological factor targeting the commo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a literary factor attracting readers regardless of time, and a historical factor being known to many people. These factors enable a common interpretation of the dance work and also blur the line between fantasy and reality and between characters and the audience. Matthew Bourne's Swan Lake creates innovative meanings by explor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various texts. While adopting psychological, literary, and historical texts as well as texts of other artistic works, it generates a new meaning and interpretation through transformation and reconstruction.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more possibilities for the interpretation of Matthew Bourne's Swan Lake based on intertextuality concept.;본 연구는 매튜 본(Matthew Bourne)의 백조의 호수를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기반으로 춤 작품 텍스트 자체를 분석하고, 춤 작품 텍스트의 맥락과 배경을 고려하여 텍스트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본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호텍스트성 이론에서 작가란 이미 존재한 텍스트, 이미지 등을 조합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작품의 텍스트는 작품을 만든 이와 작품을 읽는 자와의 수평적 관계와 다른 텍스트와의 수직적 관계, 즉 3차원적인 대화 속에서 기능한다. 이것은 텍스트에 대한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해석은 작품 자체를 넘어서서 작가, 독자, 다른 텍스트 간의 3차원적 대화를 폭넓게 조망하기 때문이다. 란스데일(Janet Lansdale)은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을 무용에 적용시킨다. 그는 무용작품과 무용 텍스트는 항상 함께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무용텍스트와 관련된 동작, 선택한 음악 텍스트, 사용된 이미지, 사용하는 아이디어 등 작품 조각들의 요소들을 읽어내고, 무용의 의미 구조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조망한다. 이 이론에서는 또한 관객이란 텍스트를 함께 창조하는 자라고 규정하여 작품 창조과정에서 관객의 역할을 재조명 한다. 란스데일이 제시한 무용 분석 틀을 적용하여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무용수, 동작텍스트, 시각적 텍스트, 청각적 텍스트 등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극의 중심인물인 왕자, 여왕, 백조, 여자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발견되는 심리학적, 문학적 텍스트와 왕자와 여자 친구의 캐릭터와 관계에서 발견되는 역사적 텍스트에 주목해 보았다.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기반으로 왕자를 중심으로 여왕, 백조, 여자 친구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석과정을 통해 작품 속에 차용된 심리학적, 문학적, 역사적 텍스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에는 다양한 성장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여러 관객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 요인으로 인간의 공통된 의식과 무의식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심리학적 요인과 시대를 불문하고 여러 사람에게 읽히는 문학적 요인 그리고 많은 이들에게 친숙한 역사적 요인이 있다. 이 요인들이 어우러져 본 작품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품은 환상과 현실, 작품 속 인물과 작품 밖 관객과의 경계를 넘나들게 만드는 통로를 마련하고 있다.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는 여러 텍스트들의 상호관련성을 통하여 혁신적인 의미를 창조하고 있다. 본 작품은 심리학, 문학, 역사적 텍스트와 다른 예술 작품 텍스트를 차용한 후 변형, 재구축을 통해 새로운 의미와 해석을 창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연구함으로서 보다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