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이보미-
dc.creator이보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0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038-
dc.description.abstract'Art Nouveau', literally means 'new art', it took plac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1890-1910). It was a way of opposing the industrial and mechanical development in England and was part of the art and crafts movement. This eventually spread to France, Belgium an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The main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Art Nouveau period came from nature, art was made based on plants and vegetations using soft and organic curves. The art tendency of this era was more decorative in comparison to other periods. Furthermore the forms were asymmetrical with organic linear qualities in addition to having mysterious colors. The external aesthetics of many of the art nouveau forms resemble the female body. Particularly having had the experience of giving birth, it seems that people harmonize with nature, and this strong and infinite connection is constantly changing and moving. For this reason, the study concentrates to combine the two elements. The main focus is on expressing the hidden feminine qualities, both emotionally and physically, in reference to the Art Nouveau period, simultaneously finding a means to depict the close association of the female body with nature. There are two distinctive reasons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The female body is expressed by exaggerating the curves on the body and this is then put in comparison with several different plants and flowers. The basis for the shape, relates to the Art Nouveau expressions using abstract, compositional, symbolical methods along with two dimensional styles that incorporate geometrical shapes. In some works the body is depicted realistically and in others it is either simplified or exaggerated with decorative expressions portraying the inner emotion of the female. The coiling method in ceramics is most apt for expressing curves and organic linear qualities. Together with this technique, wheel-throwing and slab-building methods were also incorporated.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and the surfaces were decorated with a painted effect using iron oxide (Fe2O3), manganese oxide (MnO2) and chrome oxide (Cr2O3). These were applied and then wiped off in different areas for a natural effect. On top of this surface, colored stains were used for further coloring. A transparent glaze was used on most works and depending on the effect, some were decorated with colored glaze. Often it is difficult to apply glaze on to stoneware clay bodies and this problem was overcame by brushing the glaze on to the surface rather that spraying or dipping. Firing was conducted in a 1.5㎥ gas kiln. First firing reached 900℃, in 8 hours. The second firing reached 1260℃. This was an oxidation and reduction firing and it took 10 hours for completion. The study firstly produced various different methods of expressing the female body by combining different depictions with the Art Nouveau style. Secondly feminine emotions were also depicted in the Art Nouveau style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llowed the discovery of the new emotions for the person making the work. Thirdly, close examination and experimentation was required with the use of clay, color stains, and glazes particularly to transmit the concepts followed by this study. Fourthly, the intuition of women is effectively expressed by combining the body with the Art Nouveau form. Furthermore, the study was a means to re-interpret old art tendency with contemporary aesthetic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a new expression in ceramic art was created with the Art Nouveau style of the past. There were many problems that needed to be confronted while researching and working on this study. This will remain as future assignments that require to be tackled. The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more new methods of research in producing a new language and expression in ceramic art.;신예술을 의미하는 아르누보(L'art nouveau)는 19세기 중엽(1890-1910) 영국에서 기계생산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미술공예운동이 도화선이 되어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대륙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퍼져나가 성행하였던 새로운 미술사조이다. 아르누보는 영감의 원천을 자연에 두었고 식물의 형태로부터 오는 부드럽고 유기적인 곡선을 이용해서 그 이전 시대의 어떠한 표현양식보다도 장식적이었으며 주된 특성은 비대칭적인 형태구조, 자연적인 모티브와 유기적인 곡선의 사용, 신비스러운 색채 등이다. 또한, 그 외형이 자연의 유기적 곡선과 닮아 있는 여체는 생명의 잉태와 출산을 경험함으로써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생명력의 강인하고 끊임없는 변화와 움직임은 자연과의 결합에서 그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여 여성만의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내면의 표정을 담을 수 있는 예술적 소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으로서 내재되어 있는 본능적인 감수성을 자연과 동화된 모습으로 아르누보 양식의 표현특성을 이용하여 도자조형 예술로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작품의 디자인 과정에서는 여체의 부드러운 곡선을 아르누보의 표현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장식적 표현, 자연주의적 표현, 곡선적 표현, 여성적 표현 양식을 근거로 하여 조화롭고 장식적인 여체로 나타내고자 하였고 주로 꽃과 식물의 생명력을 응용하여 여체의 곡선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인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단순화 혹은 부분만 강조하여 제작함으로써 장식미와 단순미를 가진 내적인 생명력을 도자조형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의 제작 방법으로는 여체의 곡선과 아르누보 양식의 유기적인 곡선 및 형태를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해 주로 코일링 기법을 사용하였고 작품의 형태에 따라 물레 성형, 판 성형의 방법으로도 제작하였다. 태토는 변화가 다양한 형태 성형에 적합한 석기질 점토와 산백토를 사용하였고 장식적인 효과를 강조하고 회화적인 느낌을 가미하기 위해 작품에 따라 초벌 후 산화철(Fe2O3)과 이산화망간(MnO2), 산화크롬(Cr2O3)의 산화물을 바른 후 닦아내어 흙의 자연스러운 질감표현이 강조되도록 하고 그 위에 다양한 색의 화장토를 붓으로 발라주었다. 유약은 산화물과 화장토를 바른 부분은 색의 발색을 드러내기 위해 물과 투명유를 1:1로 혼합하여 분무 시유하였으며 그 외의 부분엔 각 작품을 표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다양한 색상의 유약들을 사용하였고 석기질 점토가 유약을 잘 흡수하는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붓으로 유약을 여러 겹 발라주었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900℃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한 후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60℃로 10시간동안 2차 산화염 소성하였고 작품에 따라 1260℃로 10시간동안 3차 환원염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예술 표현의 대상으로써 여체에 대한 다양한 조형성 연구와 예술양식으로써 독특한 아르누보의 특성을 재인식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여성의 감성을 아르누보 양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자의 감성적인 면을 새로이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독창적인 도자예술의 표현을 위해서 흙과 유약에 관한 면밀한 탐구가 더욱 더 절실히 요구됨을 느낄 수 있었고 넷째, 자연의 힘을 내포하고 있는 여체와 영감의 원천을 자연에 두고 있는 아르누보 양식과의 결합은 여성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아르누보의 다양하고 독특한 특성을 수용하여 작품에 재구성함으로써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새로운 도자예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알게 된 제작과정 및 작품의 문제점들은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좋은 밑거름이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조형 언어로 본 연구자의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창작활동과 조형언어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여체(女體)와 감성표현 = 4 A. 여체의 조형미 = 4 B. 감성의 의미와 표현 = 5 C. 예술 속 감성표현으로서의 여체 = 6 Ⅲ. 아르누보(L'art nouveau) 양식 = 9 A. 아르누보 양식의 개념 및 형성배경 = 9 B. 아르누보 양식의 표현적 특성 = 11 C. 여체 이미지를 표현한 아르누보 작품사례 연구 = 15 Ⅳ. 여체 이미지로 감성을 표현한 도자조형 작품사례 연구 = 21 Ⅴ. 작품 제작 및 해석 = 33 A. 디자인 과정 = 33 B. 제작 과정 = 47 C. 작품 해석 = 55 Ⅵ. 결론 = 75 참고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022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체(女體) 이미지를 통한 감성표현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르누보(L'art nouveau) 양식의 특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expressing Female Body Images in Ceramics based on the Art Tendencies of the Art Nouveau Period-
dc.creator.othernameLee, Bo Mi-
dc.format.pageⅹ,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