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4 Download: 0

암검진 수검 결정요인 분석 모형 개발

Title
암검진 수검 결정요인 분석 모형 개발
Other Titles
A Prediction Model for Stages of Change in Cancer Screening
Authors
계수연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인옥
Abstract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하여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이며, 우리나라 암발생 및 암사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암사망의 1/3은 조기검진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제시하는 바, 우리나라는 1996년부터 국가차원의 암관리사업을 시작하여, 1999년부터 무료 암검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수검률은 낮아 선진국에 비해 60~70% 수준에 불과하여 수검률을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 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1차로 암검진 수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문헌고찰을 통해 파악하였고, 2차로 전문가자문을 통해 가설모형을 구축하였으며, 3차로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2009년 1월 12일부터 2월 16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서울 및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성인 734명을 편의표본추출하였고, 조사내용은 문헌고찰 및 전문가자문을 통해 중재가능한 암검진수검영향요인으로 선정된 변화과정, 이득적요인,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이었다. 가설모형은 외생변수인 변화과정과 내생변수인 이득적요인,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변화과정은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설정하였으며,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을 통해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설정하였다. 변화과정,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은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직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가설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 수준은, 위암검진, 유방암검진, 자궁경부암검진에서는 유지단계가 가장 많았고, 대장암검진에서는 고려단계가 가장 많았으나, 암검진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받을 의도가 전혀 없는 경우가 16.2%~23.5%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가 사고, 감정, 행동을 수정하는데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일종의 내적, 외적 경험인 변화과정의 분포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들은 암검진에 대한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을 가장 원활히 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친구가 검진을 받았다고 하면 잘했다고 격려하는 의사소통을 할 것이라는 변화과정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암검진수검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를 생각하는 변화과정 수준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아플때 의사에게 가기보다는 혼자서 낫기 위한 노력을 한다는 변화과정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민간요법을 신뢰한다는 변화과정 수준도 낮은 편이었다. 셋째, 암검진을 통해 얻게되는 긍정적인 측면인 이득적요인과 부정적인 측면인 장애적요인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들은 장애적요인보다 이득적요인수준이 높았으며, 이득적 요인 중 가족 중에 암환자가 없더라도 암검진이 필요하다는 인식수준이 가장 높았고, 의사의 암검진수검권고가 있을 경우 암검진을 받겠다는 의식이 두 번째로 높았다. 암검진수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암검진수검을 통해 암을 발견하게 될까봐 두렵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암검진수검비용이 부담스럽다는 인식이 두 번째로 높았다. 자기효능감의 분포를 살펴보면, 암검진기관을 찾을 수 있고, 원한다면 반드시 암검진을 받을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검진장소에서 사람들과 암검진수검에 대한 걱정을 이야기한다든가, 암검진수검비용 마련에 대한 자기 신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암검진 수검 모형과 자궁경부암검진 수검 모형은 변화과정이 이득적요인과 자기효능감,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이 변화과정과 함께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위암검진과 자궁경부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변화과정이며, 다음으로 이득적요인, 장애적요인의 순이었다. 대장암검진 수검 모형과 유방암검진 수검 모형은 변화과정이 이득적요인과 자기효능감,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장애적요인이 변화과정과 함께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대장암검진과 유방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변화과정이며, 다음으로 장애적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재가능한 요인들인 변화과정, 이득적요인,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을 토대로 최종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검률 향상을 위한 중재전략 및 메시지개발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즉, 암검진수검에 대한 의무감을 가지고 있고 사람들과 암검진수검에 대해 의사소통하는데도 불구하고 암검진수검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암검진수검에 대한 정확한 정보습득과 객관적인 위험인식을 위한 올바른 암검진정보의 생산과 보급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암검진 수검률을 높이기 위하여 암검진 수검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의무감을 갖도록 독려하고 암검진 정보를 원활하게 찾아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사람들과 암검진수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나눌 수 있도록 암검진관련 이슈를 개발하여 대중매체 및 개인간 접촉 등을 통해 전파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암검진방법에 있어서 보다 개인적인 보호가 필요한 암종에서는 보다 배려적인 차원의 암검진장소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고, 소리, 조명, 터치 등이 검진자에게 부담스럽지 않아야 하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감성적 접근과 의료진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암은 조기에 발견되면 치유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강조하여 암검진수검을 통해 조기에 암을 발견하는 것이 건강에 더 도움이 되는 것이라는 인식전환을 위한 메시지전략이 필요하며, 암검진수검의 신체적 불편감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는 메시지 전략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별 변화과정의 차이가 있었으므로 대상자의 변화단계간 특징을 고려한 암검진 수검 독려 상담매뉴얼을 개발하여 전화 및 1:1 건강상담 시 변화단계에 따른 맞춤형 암검진 수검 독려 메시지 전달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Cance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Korea and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years. WHO indicated that a third of the total deaths caused by cancer can be reduced by early detection. In light of this, Korea established the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in 1996, which provides the public with free cancer screening. However, Korea's cancer screening rate, which is around 60~70%, is lower than those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in cancer screening, and develop a model explaining these stages of chang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investigation comprised three steps: the first step was the analysis of data pertaining to current situations, the second step involved expert advice, and the third step involved a survey that was processed by the order of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model construction, model modification,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final model.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we constructed our hypothetical model that consisted of five theoretical constructs, seven paths among the constructs, and eighteen measurable variables. The exogenous variable was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pros", "cons", "self-efficacy", and "stage of chang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tical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12 to February 16, 2009. Selected by a convenience sampl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734 adults aged between 40 and 69 residing in the provinces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and AMOS 6.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stomach cancer screening, the maintenance stage of change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47.1%), followed by the contemplation stage (21.5%). In the case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the contemplation stage was the most common (40.6%), followed by the action stage (23.0%). For breast cancer screening, the maintenance stage was the most common (45.8%), followed by the contemplation stage (20.5%).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maintenance stage was the most common (44.7%), followed by the contemplation stage (15.4%). The unaware stage constituted approximately 6.7%~14.6% in each cancer screening.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change, the subjects exhibited the highest level in the index of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3.88±0.64), and the lowest level in the index of "avoids contact with the health care system" (3.25±0.84). The item of "I give my friends encouragement when they say they are planning to have a mammogram" showed the highst level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change at 4.15±0.69, and the item of "when I'm sick, I try to cure myself rather than go to the doctor" was the lowest level at 2.86±1.04. In the case of decisional balance, the item of "no cancer history, still need cancer screening" constituted the highest level among the pros at 4.16±0.68, and the item of "worry about cancer after cancer screening" was the highest level among the cons (3.57±1.03). With regard to self-efficacy, the item of "you know for sure you can get a cancer screening if you really want to" was the highest level at 4.05±0.70, and the item of "you can talk to people at the cancer screening center about your concerns" was the lowest level at 3.56±0.81. The results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ree items of cons and the variable of "avoides contact with the health care system" should be deleted from the hypothetical model because the squared multiple correlation for these items showed a value less than 0.3. All constructs showed consistency and validity indicating that the value of construct reliability was above 0.7 and that of the variance extracted was over 0.5. In the final model of the stage of change for stomach cancer screening, there was a direct influence of pros (γ=.249, p<.01), the process of change (γ=.460, p<.001), and cons (γ=.156, p<.001) on the stage of change with the terms of GFI .931, AGFI .903, RMR .037, NFI .929, and NNFI .933. In the case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there was a direct influence of the process of change (γ=.562, p<.001), and cons (γ=.132, p<.01) on the stage of change with the terms of GFI .931, AGFI .904, RMR .038, NFI .930, and NNFI .936. With regard to breast cancer screening, there was a direct influence of the process of change (γ=.727, p<.001), and cons (γ=.146, p<.05) on the stage of change with the terms of GFI .920, AGFI .901, RMR .042, NFI .921, and NNFI .941.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re was a direct influence of pros (γ=.301, p<.01), the process of change (γ=.465, p<.001), and cons (γ=.171, p<.01) on the stage of change with the terms of GFI .908, AGFI .901, RMR .043, NFI .907, and NNFI .928.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it is necessary to produce and disseminate evidence-based cancer screening information, which can mitigate the negative attitude among the public toward cancer screening. Moreover,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safer and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at cancer screening center with respects such as conducive temperature, sound, light, touch and familiarity with clinical profession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