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문자-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reator이아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78-
dc.description.abstractAs society rapidly advances technologically and materialistically, individuals become more self centered, isolated, and emotionally calloused. However, in contrast to humans, companion animals are not affected by this change and thus are able to maintain their innocent nature. Their untainted nature replenishes us and provides consolation to our weary souls. Whilst raising a pet myself, I have observed their emotional changes and everyday life. I have chosen to exhibit this in my painting because I wish to relay to the audience this powerful inspiration. The following dissertation i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nalysis of my works. My theoretical research is based on the pet's behavior throughout the day. By observing their behavior, I attempted to interpret what may seem like a subjective experience as objective by connecting their response with their instinct. Noting the sound of their barks, the muscles used when barking, and their body language indicated what state of emotion these pets are in. Another approach I took was in the use of space. The significance and the effects of the spaces are depicted. And because objet is frequently used in my work, I have researched objet in its conceptual term and its' different forms. In the method study of the work, I chose oriental colors to distinguish and portra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ets. I assertively applied objet and installed it to expand space to create plot. I also included the changes that I made in the process of painting. In my earlier works, I created two layers of glue before applying the oriental colors. However, I decided later that the layer of glue was not necessary. Another change I have made in the process is the technique used to portray dimension. Dark and light colors were used to contrast and emphasize detail in my earlier works. But in the final piece, I realized that chiaroscuro was a better approach to illustrate three-dimension. Both theoretical and methodical research was used as a foundation for analyzing in detail the intention, form, composition, method of creation, and technique of my work. My goal is to communicate the charming diversity of pets and their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 with the audience so that they may find some consolation in this cold, modern society. Through this research I want to establish the theory behind my work as well as explore substantial and methodical theory to accumulate knowledge. I believe that this knowledge will assist future works which I hope will be creative and unique method.;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물질이 풍요로워지는 반면, 인간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마음은 고갈되어간다. 하지만 이에 비해 순수한 천성을 그대로 간직하는 반려동물 중 하나인 애완견은 그 존재만으로도 우리에게 위로가 되고 정서를 순화시켜준다. 본인은 이처럼 인간과 더불어 사는 애완견을 소재로 애완견을 길러왔던 경험 속에서 보아온 그들의 일상 모습과 그 순간순간에 느꼈던 그들의 감정을 화폭에 담아 감상자와 함께 느끼며 교감하고 소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방법적인 연구와 함께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분석을 하였다. 이론적 연구로는, 먼저 애완견의 일상 모습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그들의 일상 속에서 보여 지는 모습들을 개의 본능과 연결 시켜 주관적일 수 있는 경험을 통한 표현들이 보다 객관화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짖는 소리와 신체 각 부분을 사용한 그들의 의사소통 방법인 신체언어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감정상태가 신체언어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를 소재로 한 본인의 작품을 미술사적으로도 연구해 보고자 영모화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개를 소재로 한 다른 작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본인 작품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여백의 의미와 효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인 작품은 대부분 오브제를 사용하였기에 오브제의 개념과 여러 가지 유형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았다. 작품의 방법적 연구에 있어서는 수간채색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강아지의 특색을 표현한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애완견의 심리를 더욱 잘 나타내기 위해 오브제의 활용을 적극 도입하여 표현한 것과 오브제의 설치를 통하여 공간의 확장을 꾀하고자 한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인의 초기 작품에서는 표현 전 두 번 정도의 아교포수를 한 뒤 수간채색을 하였으나 나중에는 포수 없이 바로 채색하는 방법을 채택 하였다. 그리고 묘사 부분에 있어서는 초기 작품에서는 입체감을 주기 위해 나온 부분은 진하게 들어간 부분은 옅게 칠해주는 표현 방법을 사용하다 후에는 빛에 의한 명암법에 기초한 입체 표현을 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 방법의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이론적, 방법적 연구를 토대로 작업 의도, 형태, 구도, 제작방법, 기법 등의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본인의 작품을 분석 해보았다. 본인은 애완견들의 다양한 모습과 그들의 감정 표현을 통해 감상자와 함께 느끼며 소통하고자 하였고, 작품 속 귀엽고 사랑스러운 강아지들의 모습이 지친 현대인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를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 세계에 대해 이론적인 바탕을 확립하고, 내용적, 방법적 이론을 연구하고 보완하여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 보다 독창적인 조형 방식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4 A. 이론적 연구 = 4 1. 애완견의 일상 모습 = 4 2. 애완견의 신체언어를 통한 감정표현 = 8 3. 소재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 = 12 4. 여백(餘白)의 의미와 효과 = 17 5. 오브제(objet)의 개념과 표현기법 = 20 B. 방법적 연구 = 28 1. 수간채색(水干彩色)을 이용한 다양한 애완견의 표현 = 28 2. 오브제를 활용한 표현 = 31 3. 오브제를 이용한 공간의 확장 = 34 Ⅲ. 작품 분석 = 37 Ⅳ. 결론 = 74 참고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19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애완견의 신체언어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Lee, A Young-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