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Title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Other Titles
Procedures and Garments for wedding Ceremonies of Prince on 『Yeoning-gungaryedeungrok』
Authors
이주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dures and garments of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based on 『Yeoning-gungaryedeungrok(延礽君嘉禮謄綠)』 and examined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It also compared the auspicious ceremonies for crown princes and those for illustrious officials in terms of procedures and garments by investigating that held for Yeoning-gun(延礽君), who was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during the rule of King Gyeongjong( 景宗 1688~1724) and would become King Yeongjo(英祖). A Deungrok(謄錄) is a kind of journal recording preparations, procedures, items, and so on for a ceremony before making an Uigwe(儀軌). Deungroks(謄錄) had been collected since Gwanghaegun(光海君) so that others could consult them for ceremonies. The oldest Garyedeungrok(嘉禮謄錄) remaining today is the collection of records about the auspicious ceremonies held for the princes and princesses during the rule of King Injo(仁祖) and King Hyeonjong(顯宗). It offers a brief summary of procedures and preparations for a ceremony. Since then they left detailed records from the coming-of-the age ceremony(Gwanrye 冠禮) to leaving the palace after a wedding(Chulhap 出閤) in 『Yeoning-gungaryedeungrok』. Later Yeonryeong-gun's auspicious ceremony was held by referring to the Garyedeungrok of Yeoning-gun. In 1893, they consulted the auspicious ceremony held for Yeonryeong-gun(延齡君) in 『Uihwa-gungaryedeungrok(義和君嘉禮謄錄)』,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eremony itself was held in consultation with that of Yeoning-gun. Thus one can say that all the auspicious ceremonies held for Prince Yeoning-gun were based on those of Yeoning-gun. The auspicious ceremony for Yeoning-gun proceeded in the order of ① selecting a bride(Gantaek 揀擇) ② wedding presents sent from the bridegroom's house to the bride's house(Napchae 納采) ③ sending blue and red silks to the bride's house(Nappye 納幣) ④ Myeongbok(命服) ⑤ that hold marriage ceremony in bride's house and take bride(Chinyeong 親迎) ⑥ the first night ritual(Dongroi 同牢) ⑦ a levee of the bride finding herself in the audience with the king ⑧ the prince meeting the bride's parent ⑨ Chulhap(出閤).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the head participate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wearing a black Danryeong(團領) and change into a red one for a drinking ceremony(Jurye 酒禮), a ceremony of giving congratulatory money(Bongrye 奉禮), and a ceremony of giving presents to the staff(Geunrye 給禮) after the main ceremony.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they wore a black Danryeong of habitual use for a ceremony and a red one, an everyday garment for a Jurye and Bongrye.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e royal family and the civil and military functionaries of Grade Four wore a court dress and those who of Grade Five a black Danryeong when the king was present. When the king was not present at a Chinyeongui(親迎儀),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a black Danryeong. The king wore a Myeonbok(冕服) for a Napchae and Imheonchogye(臨軒醮戒) of a crown prince and a Gangsapo(絳紗袍) and Wonyugwan(遠遊冠) for a Napjing (納徵), Gogi(告期), Chaekbinui(冊嬪儀), and Johyeonryeui(朝見禮儀). The king participated only in the Johyeonryeui of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where he wore a Gangsapo and Wonyugwan like the Johyeonryeui for a crown prince's bride. The prince wore an official uniform at a Chinyeongui. In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the government officials wore a black Danryeong and the head of the bride's family an official uniform, which suggests that an official, which suggests that an official uniform was in a higher class than a black Danryeong of habitual use. The bride of a prince wore a red Jang-sam(長衫) that's a wedding outfit in a Chinyeongui and No-ui(露衣) when she's heading to the court after the Chinyeongui. When making a list of garments for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prince, people at the time made the garments for the ceremony and those would be worn at the private residence after the ceremony. Meanwhile, they all omitted plain clothes when it came to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and only made official uniforms and those needed for the ceremony. Unlike a crown prince who would continue to live at the court after the ceremony, a prince would leave the court. Thus they made a proper amount of new clothes for the prince and sent it along with a Chulhap. A list of garments prepared for a prince's bridge and the garments and belts for a crown prince's bride were opposite to the list prepared for a prince and the garments and belts for a crown prince. For a prince's bride, they only put the clothes needed for the auspicious ceremony in the Myeong-bok(命服) box containing wedding presents of a bridegroom to a bride. For a crown prince's bride, they gave diverse ceremonial clothes, dresses, and ornaments she would wear at the court in addition to the garments for the ceremony. Since a prince's bride would not live at the court, she would bring her own from her home. Meanwhile, a crown prince's bride would not have her family make her clothes for the court life, and they would make them along with her garments for the ceremony. Taking a look at the clothes and belts worn by the eunuchs and court ladies in a Bancha(班次) procession after the Chinyeongui, it's clear that the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had more participants, more kinds of clothes, and more diverse and splendid colors than that for a prince. While an auspicious ceremony for a crown prince was a traditional one of the royal family, that for a prince was placed between that of the royal family and a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Since most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were based on a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and held at the court, they followed all the formalities of the royal family.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mpared auspicious ceremonies for a crown prince with the wedding of an illustrious official's family in terms of procedures, clothes, and belts based on 『Yeoning-gungaryedeungrok』. I also estimated the forms and uses of new clothes and belts from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through litera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pieces of research on auspicious ceremonies for queens and crown princes, none exist on those for princes. The reenactments of royal auspicious ceremonies have also been based on those for kings and crown pri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researches on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and help to promote them through their reenactments. There are records of clothes that have not been studied among the clothes for an auspicious ceremony before 『Gukhonjeongrye(國婚定例)』. It's unfortunate that one cannot figure out the accurate uses of those clothes due to the absence of accurate documentary records. In the future they will hopefully continue to study auspicious ceremonies for princes and royal grandchildren and further clothes for those ceremonies.;이 논문은 『연잉군가례등록(延礽君嘉禮謄錄)』을 바탕으로 조선 중후기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을 정리하여 고찰한 것이다. 경종대(景宗代 재위 1688~1724)에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되어 훗날 영조(英祖)가 되는 인물인 연잉군의 가례를 통해서 왕세자 및 사대부가의 절차와 복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왕자의 가례는 왕실에서 거행되는 가례이나 왕세자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는 군(君)의 가례이다. 그리고 종친(宗親), 사대부가의 혼례보다는 높은 가례이므로 절차와 복식에서 차이가 있다는 가정 하에 왕세자가례 및 사대부가의 혼례를 비교하였다. 등록은 의식의 준비과정과 절차, 물목, 준비과정을 담은 문서 등 의궤를 만들기 전에 기록해놓는 일지와 같은 것이다. 광해군 때부터 따로 묶어 의례가 있을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왕자가례등록』 중 가장 오래된 가례는 인조26년(1648)에 거행된 숭선군가례이다. 숭선군의 가례등록은 여러 왕자와 공주의 가례가 함께 묶여 있어 의식의 절차나 준비과정이 간략하게 요약되어있다. 『연잉군가례등록』은 숙종30년(1704)의 기록인데, 관례부터 출합까지 상세하게 기록하여 이후 1707년 연령군가례 때에도 연잉군의 가례등록을 참고하였다. 흥선대원군이 만든 『길례요람』도 『연잉군가례등록』을 참고하였다. 1893년 『의화군가례등록』은 연령군의 가례를 참고하였으나, 연령군가례 자체가 연잉군가례를 참조한 것이기 때문에, 『연잉군가례등록』은 조선시대 왕자가례의 기본으로써 그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연잉군의 가례절차는 ‘①간택(揀擇) ②납채(納采) ③납폐(納幣) ④명복(命服) ⑤친영(親迎) ⑥동뢰(同牢) ⑦부인조현의(夫人朝見儀) ⑧왕자가 부인의 부모를 뵙는 의식[王子君見夫人之父母儀] ⑨출합(出閤)’의 차례로 거행되었다. 왕자가례에서 주인을 포함한 모든 관원은 흑단령을 입고 의식에 참여한다. 의식을 마치고, 주례나 봉례, 급례를 할 때는 홍단령으로 갈아입고 참여한다. 이것은 숙종 당시에 상복인 흑단령을 의례에 입고 다른 주례와 봉례 등에서는 집무복인 시복 즉 홍단령을 입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왕세자가례는 궁에서 왕이 참여하는 의식에서 종친과 문무백관 4품 이상은 조복을 입고,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는다. 왕이 참여하지 않는 친영의에서는 관원 모두 흑단령을 입었다. 왕은 왕세자의 납채와 임헌초계(臨軒礁戒)에는 면복을 입고, 납징(納徵)과 고기(告期), 책빈의(冊嬪儀), 조현례의(朝見禮儀)에서는 강사포에 원유관을 썼다. 왕자가례에서 왕은 조현례의에만 참여하는데, 왕세자빈의 조현례의와 똑같이 강사포를 입고, 원유관을 썼다. 왕세자가례에서는 관원들이 흑단령을 입을 때 부인가 주인은 공복을 입고, 왕자도 친영의에서는 공복을 착용한다. 이를 통해 상복인 흑단령보다 공복이 의례에서 격이 높은 옷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왕자부인은 친영의에는 혼례복인 홍장삼을 입고, 친영의 이후 궁으로 갈 때 노의를 입은 것으로 짐작된다. 『국혼정례』 이전의 왕자가례와 왕세자가례에 제작된 복식 종류와 수량은 신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신랑의 경우 왕세자의 의대가 훨씬 적다. 이것은 왕자는 가례 후 출합하기 때문에 궁에서 살게 될 왕세자와 다르게 가례 이후에 관복과 편복을 미리 만들었다고 판단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신부의 가례복식에서는 왕세자빈의 복식과 수량이 훨씬 많다. 왕세자빈은 가례에 필요한 예복과 함께 궁에서 입을 다양한 복식을 친정에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궁에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왕자부인은 궁에서 생활하지 않기 때문에 가례의식에 필요한 복식만 궁에서 준비하였다. 가례 이후 입을 옷은 친정에서 혼수로 마련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친영의 후의 반차 행렬에 속한 내관과 궁인의 의대에서는 왕세자의 가례가 왕자가례보다 참여인물의 숫자도 많고, 복식 종류가 많아지고 색상에 차이가 있어 더 화려한 행렬인 것을 알 수 있다. 왕세자의 가례가 왕실의 전통적인 가례라고 한다면, 왕자의 가례는 왕실의 가례와 사대부가 혼례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왕자의 가례는 사대부의 혼례를 바탕에 두고, 왕실에서 거행하였기 때문에 왕실의 격식을 갖춘 가례였다. 이 논문은 『연잉군가례등록』을 바탕으로 왕자가례의 절차와 의대를 왕세자 가례 및 사대부가 혼례와 비교 고찰하였다. 또한 왕자가례에 나온 새로운 의대는 문헌을 통해 그 형태와 사용을 유추해보았다. 그동안 왕비의 가례와 왕세자의 가례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왕자가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왕실 가례재현행사도 왕과 왕세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이 왕자가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왕자가례의 재현행사 등을 통해 왕자의 가례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국혼정례』이전의 가례의복에서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복식들이 기록되어 있는데, 문헌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의복의 용도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부분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왕자와 왕손의 가례와 그 복식도 더 많이 연구되길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