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미숙-
dc.creator장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1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12-
dc.description.abstract인류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는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왔다. 인간이 환경을 적절히 이용하고 그 속에 안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자 공간창조의 예술인 건축이 발생했다. 건축에 있어서의 내부공간은 우리가 생활하는 주거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을 갖는 바, 이는 곧 주택이라 표현될 수 있는데 내부공간의 형성에 있어서 실내 디자인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따라서 주택건축에 있어서 실내 디자인의 반영이 절실히 요청되며, 실내 환경이 우리의 외적생활뿐만 아니라 내적 생활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이 점은 보다 절실한 문제인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이 주택의 실내공간에 있어서 개구부와 실내 디자인과의 관계라는 테마를 연구과제로 삼은 데에는 개구부가 단순히 실내 의장적 성격만을 지닌 것이 아니고 실내와 실외를 유기적으로 상호 유입시키는 중계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지역성과 역사적 전통성에 따르는 개구부가 주거 공간 형성에 끼친 영향이 어떠하며 개구부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일반주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오늘날의 중? 상류 주택 가운데에서 본인이 직접 방문, 조사한 10동, 도면을 통하여 조사한 15동, 도합 25동을 선정한 그 실면적과 개구부 및 가정 면적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본 연구논문에 필요한 자료를 얻어냈으며, 그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하여 실내공간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역할 및 실내디자인과의 관계를 밝히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주거생활은 자연적? 인문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는 대전제 아래 개구부를 중심으로 한 주택의 형식이나 주거생활, 그리고 실내 디자인에 대해서도 실내 디자이너적인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체제를 바탕으로 하여 실내공간의 형성과정이나 실내 디자인과 개구부와의 관계는 물론,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개구부의 특성 가운데 기능적인 면과 시각대상적인 면 및 심리적인 면까지도 분석, 검토한 결과, 현대 주택에서의 개구부는 각 주택의 특성을 무시한 채 획일화 된 규격 아래에서 표현되고 있고 단순히 창이나 문으로서의, 즉 고유의 기능만을 고려했으며 현대에 와서 발생하는 각종 심리적인 요인들이나, 기타 실내 디자인과의 복합성을 통한 문제, 개구부의 위치나 크기 및 시선도가 실내 공간 전체에 줄 수 있는 영향 등에 대한 배려가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에 대한 문헌적 고찰의결과는 각 지역의 특수성이나 시대적인 배경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으며, 한국에 있어서는 꽤 일찍부터 발달된 창호의 형태 및 양식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연구의 최종적 결과를 대체적으로 종합해서 본 논문의 목적에 상응할 수 있는 점들을 열거해 본다면 첫째, 시각대상적인 면 즉 개구부를 통해서 사입되는 광선이 실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겠고, 둘째,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서 주거활동이 제한을 받는다는 점과, 셋째, 각 실의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 개구부가 거기에 맞도록 배치되어 물리적인 여러 기능을 다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실내적인 면만이 아니라 외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해서도 개구부는 중요하고, 다섯째, 한국의 전통적 주택에서의 온돌방에서는 좌식생활에 맞는 개구부의 시선도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valuate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of inter1eukin-1β(IL-1β), Cyc1ooxygenase2(Cox-2) and Prostaglandin E2(PGE2) by RT-PCR analysis but to observe pattern of edema by light microscopic and electron microscope after topical apply of hyaluronic acid in inflammation-guided mouse Material and methods : Mice of this study were devided into 4 groups :Contro1 group( no inflammation guided), Positive control(inflammation guided + vaselin apply ) , Protopic group(inflammation guided +protopic apply), Hyaluronic group(inflammation guided + hyaluronic acid apply) Results : Hyaluronic group showed less expressions of IL-1β, Cox-2, PGE2 than those of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 Hyaluronic group revealed a decreased inflammation than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in Light Microscope. Hyaluronic group appeared decreased edema of ear compare to positive control & protopic group in Elecron Microscope. conclusion : It was considered that Hyaluronic acid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for intercepting the gene expression of cytokines related to inflam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1 B.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C. 연구의 방법 및 전개 5 II. 인간과 주거 7 A. 주거환경 일반론 7 B. 인간의 생활과 주거 9 1. 인간과 주거의식 9 2. 생활의식과 주거 13 C. 주거공간에서의 실내공간형성 21 1. 건축공간으로서의 실내공간 22 2. 실내공간과 실내디자인 27 III. 현대 주거공간의 실내디자인과 개구부 30 A. 개구부의 일반적 고찰 30 1. 개구부의 정의 30 2. 개구부의 역사적 고찰 31 3. 개구부와 지역성 44 B. 각 실내공간의 특성과 개구부 47 1. 가족의 사회적 공간 48 2. 개인의 사적공간 66 3. 생리 위생적 공간 70 4. 가사 노동적 공간 73 C. 실내구성요소와 개구부 77 1. 기능적인 면 77 2. 시각대상적인 면 85 3. 심리적인 면 90 IV. 결론 93 참고문헌 97 [부록] 102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188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택의 개구부와 실내디자인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