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천혜-
dc.creator전천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1Z-
dc.date.issued1977-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4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406-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이 의류를 착용하게 된 여러 가지 목적 중에서 신체장식은 점차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염색술이 발달하고 여러 가지 장식적 문양을 복지에 표현하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후 급속히 발달한 방직기술과, 19세기 말 합성섬유의 출현은 다양한 복지를 우리에게 제공하게 되었으며 복지의 질이 평준화 되어감에 따라 문양의 미적 가치가 복지에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고전문양의 표현이 현대의 발달한 Print공법을 이용하여 다양화되고 새로운 문양이 개발됨에 따라 문양의 명칭도 형태를 나타내는 언어로서 확립되어 널리 유통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직물 생산업계의 시간과 경제적 낭비를 막고 보다 효율적인 문양 개발이 이뤄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직물산업이 전체 생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문양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시급한 것이다. 문양의 명칭과 분류를 연구하기 위해 Textile Design의 제반요소와 원리를 살펴봄으로서 문양의 형성과정을 알아 보았다. 분류에 있어서 문양의 단위형태(motif)별, motif의 구성별, 현대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고전문양의 명칭 등으로 분류하였다. 기계 문명에 시달린 현대의 인간이 자연을 그리워하게 되고 자신의 정신적 만족을 중시하게 되자 복지에서도 보다 다양하고 변화 있는 문양 개성적인 문양을 원하게 되었다. 이런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문양의 소재를 위해 고전의 복지 문양 뿐 아니라 장식문양등도 살펴보고 현대의 응용을 예를 들어 설명 하였다. 우리나라의 직물산업은 이제 수출량의 확대보다는 수출액의 증가를 모색해야 할고 복지의 수출국에서 점차 Fashion의 수출국으로 지양해 나가야 할 실정에 있으므로 복지문양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어 시판? 수출되고 있는 1976년 여름, 가을용 여성 양복지 문양을 분류하여 그 기호도를 조사하고 기호도에 따른 문양의 응용? 표현을 살펴보았다. 그 조사에서, 우리나라 여성 양복지의 문양은 단위형태(motif)의 표현이 다양하지 못하고, motif의 구성이 대부분 일률적이며, 우리나라의 특유한 감각을 지닌 문양은 별로 없는 실정이다. 물론 생산업계 측에서는 시장성에 따른 문양의 design을 하고 있겠으나 수출이라는 국가적 견지에서 볼 때 세계 시장속의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화 ? 개성화 한 문양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특유한 감각을 지닌 문야의 개발은 우리의 문화의 일면을 세계에 알리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현대의 textile design의 방향은 보다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하고, 다양한 개성 표현을 원하는 현대인의 감각에 맞춰 복지를 위한 용도에서 interior decoration을 위한 용도와의 혼용으로 바꿔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지양하기 위해 직물과 문양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여 그 한 방편으로 co-ordinate적인 문양 등도 개발되었다. 이렇게 복지와 생활공간을 꾸미는 요소로서의 textile design을 위해서는 반드시 각 부분의 전문가가 Systematic한 방법으로 연구하여야 하며 Design policy의 확립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직물 생산업계는 아직 이러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기업주는 보다 우수한 designer를 양성하고 design의 System화를 이룩하여야 하며 교육기관에서 반드시 textile design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 이런 방법을 통한 복지분양의 개발 연구는 수출액의 증대와 우리 문화의 일면을 소개하기 위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The significance of decorating ourselves by means of costume has increased to the extent that, it seems to excel any other initial purpose to wear. Therefore, marked development in dyeing, weaving and moreover decorating fabric pattern has been accompanied with the trend. Rapid improvement, in weaving technique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on, and the appearance of synthetic fiber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have enabled us to have various sorts of cloths. Furthermore, as the quality of cloth itself is much improved, we now take the aesthetic sense of it into consideration. Classical fabric pattern is variously applied by the aid of modernized manufacturing print method. Many unsettled names of fabric patterns need. to be terminologically rearranged as terms implying certain forms. Now that fabric industry in our country has great part in the whole industry, the research for worldly-used terminology of fabric patterns is absolutely required. To research in classifying them, the forming procedure of patterns was introduced in this thesis by gathering all elements and principles of textile design. The classifica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motif, compositional arrangement and widely-used classical terms of fabric patterns. Also introduced with suitable examples were classical fabric pattern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modern ones which are highly appealed to the modern society. Fabric industry of our country must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the quality of exports than to the quantity of them, to the export of fashion than to that of cloths. Therefore, newly-released (summer and autumn of 1976) fabric patterns of our country for ladies for domestic and foreign market were classified, And the degree of taste for each pattern was statistically investigated. Results of this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say that our fabric patterns have little variabilities of motif, monotonous composition and little originalities in aesthetic sense. It, is important not only in a, sense of industry but also of culture shown to the whole world that we develop our fabric patterns to be variable and original. The goal of modern textile design is being changed from cloth itself to the mixture of cloth and interior fabric to keep pace with modern sense. Co-ordinate fabric patterns are also designed for the recent stream. We need systematic alliances of fields concerned and design policy to achieve the co-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cloth itself and spatial interior fabric. It is the urgent time when promotors of enterprise an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aring qualified designers and, systematic design policy; that is followed by fabr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furthermore our civilized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Textile Design의 형성 5 A. Textile Design의 요소 5 B. Textile Design의 형성 과정 7 III. 문양의 Design의 분류 17 A. 염직에 의한 분류 17 B. 문양의 분류 20 C. 문양의 소재와 응용의 예 43 IV. 우리나라 여성 양복지의 문양 Design의 분석 58 A. 국내 시판용 직물의 문양 분석 58 B. 수출용 직물의 문양 분석 62 C. 기호도에 따른 문양디자인의 응용 65 V. Textile Design의 방향 74 VI. 결론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075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우리나라 여성 양복지 문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